소개글

총 41 건

소개
  1. 도선사 석불전 진신사리탑(眞身舍利塔)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15

    구전에 따르면 조선 말엽인 철종 14년 동호(東湖)스님이 명산을 두루 다니며 관세음보살 염불수행을 하다가 도선사에 인연이 닿아 머물게 되었다. 10년 동안 석불전에서 부처님의 광명을 보고 부처님의 광명을 보고 부처님의 수기(受記)를 받으리라 발원하며 주야를 쉬지 않고 지성으로 정진하던 중, 어느 날 갑자기 주위가 금빛으로 빛나는 가운데 홀연히 한 도승(道僧)이 주장자를 들고 나타나 남쪽을 가리키며 “어찌하여 저쪽으로 나가보지 않느냐?”며 일갈한 후, 홀연히 사라져버렸다. 꿈을 깨듯 정신을 차린 동호 스님은 예사로운 일이 아님을 직감하고 남쪽으로 길을 떠났다. 며칠을 열심히 가다가 보니까 폐사가 된 남지장사(南地藏寺)에 닿았다. 그곳에서 방광하는 부처님의 사리와 치아를 발견 하게 되어 소중히 모시고 와 석불전에 7층 석탑을 세우고 봉안하였다 한다.


    4558674a9f16019387730bb6b036837b_1713177159_17.jpg
     

  2. 도선사 삼성각(三聖閣)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15

    대웅전 옆쪽이자 아래쪽엔 칠성광여래불, 일광보살, 월광보살을 모신 삼성각이 있다. 원래 이곳은 조선 말엽인 철종14년 9월, 세도가 김좌근이 칠성각을 건립해 명(命)과 복(福)을 빌었던 원당(願堂)이었다. 이후 말세의 복밭이라고 신앙하는 나한인, 머리카락이 희고 눈썹이 긴 빈두로존자, 즉 나반존자를 모신 독성각으로 개조 되었으며, 다시 중 · 개축을 하여 지금의 삼성각으로 구조를 바꾸었는데, 많은 신남신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4558674a9f16019387730bb6b036837b_1713177091_2.jpg
    4558674a9f16019387730bb6b036837b_1713177091_3.jpg
    4558674a9f16019387730bb6b036837b_1713177091_77.jpg
    4558674a9f16019387730bb6b036837b_1713177091_84.jpg
     

  3. 도선사 반야굴(般若窟)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15

    쌍용그룹 창업주인 고(故)김성곤 회장이 석굴암을 참배한 후 감동을 받아서 세 분의 보살님을 조성하여 도선사에 모셨다. 중앙이 십일면관세음보살, 오른쪽이 잔을 든 문수보살, 왼쪽이 경책을 든 보현보살이다.


    4558674a9f16019387730bb6b036837b_1713177009_84.jpg
    4558674a9f16019387730bb6b036837b_1713177009_95.jpg
     

  4. 도선사 대웅전(大雄殿)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15

    도선사 대웅전은 1,100여년전 신라 경문왕 때 창건하여 몇 차례의 중수를 거쳐 그 후 고승 혜명, 관수, 연은, 근명스님 등이 광무황제의 어명을 받아 중건하는 한편 아미타불 본존불상을 개금하고 상단불화 등을 그려 봉안하였다. 법당내부에는 아미타불·관세음보살·대세지보살 등 삼존불이 봉안되었고, 외벽에는 팔상도가 조성되어 있다.

    대웅전의 현판은 당대의 신동(神童)이었던 12세 강창회(姜昶會)가 쓴 글씨로 유명하다.


    4558674a9f16019387730bb6b036837b_1713176935_45.jpg
    4558674a9f16019387730bb6b036837b_1713176935_55.jpg
    4558674a9f16019387730bb6b036837b_1713176935_66.jpg
    4558674a9f16019387730bb6b036837b_1713176935_74.jpg
     

  5. 도선사 윤장대(輪藏臺)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15

    윤장대는 법보인 부처님 가르침이 시방세계에 널리 퍼지라는 의미와 자신의 업장을 소멸하고 지혜가 수승해져 삼독심(三毒心)을 걷어내 깨달음에 이르게 하기 위해 불교경전을 안에 넣어 두고 손잡이를 돌려가며 불경을 외는 장치로, 경전을 읽는 것과 같은 공덕이 있다고 전해진다.


    4558674a9f16019387730bb6b036837b_1713176850_5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