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18 건

소개
  1. 봉원사 대방(大房)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18

    이 대방은 원래 염불수행을 전통으로 해온 봉원사의 염불당(念佛堂)이다. 이 건물은 본래 조선말 흥선 대원군의 별장인 "아소정(我笑亭)" 본채 건물을 이건하면서 일부 변형 및 축소되어 건립되었다. 주불은 아미타불이고 300년전 북한 철원군 소재 보개사 (심원사)의 불상을 백련사와 몇개의 사찰에 모셔놓았는데 영험이 있다하여 모셔놓은 불상이다. 이 건물은 1966년 ~ 1967년 주지 최영월 스님, 도화주 김운파 스님에 의하여 복원되었다.

    형식은 팔삭지붕 민도리집 형식이며 중앙(中央)대중방과 마루사이는 벽이 없어서 행사시 전체를 한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조선시대 서도가 추사 김정희가 쓴 "청련시경(靑蓮詩境)" , "산호벽루(珊湖碧樓)"와 추사의 스승인 옹방강(翁方綱)의 행서체현판 "무량수각(無量壽閣)" 있고 부엌문의 신장도는 인간문화재 이만봉 스님의 작품이다.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6339_4.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6339_45.jpg
     

  2. 봉원사 삼천불전(三千佛殿)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18

    1945년 화주 김기월 스님과 화주 김운파 스님의 연력과 전 사부대중이 원력을 합하여 46간(間) 대규모의 광복기념관으로 건립한 바 있으나 불행히도 1950년 9월 25일 6.25사변중 한강 도하작전대 소실되었다. 이때 영조의 친필 "봉원사" 친필을 비롯한 "이동인, 김옥균"의 유물 등 중요 문적(文籍)이 소실되었다.

    1986년 주지 조일봉 스님과 사부대중의 원력으로 건물허가 및 준비 과정을 거쳐 1988년 삼천불전의 복원불사가 시작되었고 주지 김성월스님, 주지 김혜경 스님과 사부대중의 원력을 합하여 단일 목조건물로는 국내 최대의 (210평) 건물로 9년여만에 완성하였다. 대들보 무게 7톤으로 알라스카산 수령 227년된 나무들을 사용하였고, 못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으며 내부에는 비로자나불과 삼천불을 봉안하였다.

    부처님 진신사리탑
    봉원사 대중스님과 신도 75명은 불연으로 불기2535년 7월 22일(서기 1991년 음력 6월 21일) 스리랑카 공화국 초청을 받아, 캔디의 불치롬보 소재의 강가라마사의 그나니사라 대승정배려로 사리 1과를 모셔오게 되었다. 여러 사정으로 사리를 탑에 모시지 못하고 있던중 구대 이구품행 회장의 원력과 여러 신도님의 원력으로 사리를 모시게 되었다.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6249_53.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6249_6.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6249_65.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6249_7.jpg
     

  3. 봉원사 대웅전(大雄殿)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18

    내부(內部) 공간구성에 있어서는 내부 고주없이 중앙불단을 뒤로 후퇴하여 설치함으로서 예불공간을 크게 확보하였다. 즉 고대의 탑(塔)중심의 의식에서 불상(佛像)의 등장으로 인한 법당중심의 가람(伽藍)이 구성되어 근세(近世)에서는 법당내부에서 불상(佛像)에 직접적인 의식과 예불이 많아졌다.

    깊이가 깊은 예불공간의 구성(構成)은 의식(儀式)의 원활성과 많은 불자(佛子)들이 들어올 수 있는 효율성을 가지고 있다. 대웅전은 내부공간이 예불중심의 공간으로 전환된 조선말(朝鮮末)후기의 사찰(寺刹)의 특징을 대변하는데 봉원사(奉元寺)대웅전 내부구조(構造)가 좋은 실례(實例)이다.

    이 건물은 영조(英祖) 24년(1748년)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이건(移建)전의 모습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 후기의 작품으로 보이고 외9포 내11포 위에 5량 5포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대웅전에는 영조대와의 하사품인 "대웅전" 현판이 있었으나 화재로 소실되었고, 1991년~ 1993년 도화주로 김혜경 스님과 대중스님들의 원력으로 재건하였다.

    법당안의 보물급 탱화들은 그때 소실되었으며 지금의 탱화와 단청은 인간문화재 이만봉 스님의 작품이고 법당안의 범종(梵鐘)은 충남 덕산 가야사에 있던 종인데 조선시대 억불정책(抑佛政策)을 수행하던 흥선 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의 묘를 쓰기 위해 가야사를 불태웠고 그때 타지 않고 있던 종을 옮긴 것이다. 대웅전 건물은 서울시 유형문화재 68호로 지정되었다.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6141_19.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6141_2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