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12 건

소개
  1. 백련사 명부전(冥府殿)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18

    명부전(지장전)은 중생구제의 큰 원력을 세운 지장보살(地藏普薩)을 모신 전각이다.
    그러나, 지장보살이 지옥중생의 구제수이기 때문에 협시인 도명존자 및 무독귀왕이외에도 염라대왕을 위시한 지옥의 시왕상(十王像)을 봉안하고 있어 지장전보다는 명부전(冥府殿)이라 더 많이 불린다.
    지옥시왕(地獄十王)은 인도 고대신화에 나오는 사후세계의 지배자인 야마왕이 불교에 들어와 지옥을 다스리는 염마왕이 되었다. 그것이 중국의 도교영향을 받아 10가지 지옥과 그곳의 왕을 설하는 시왕사상으로 발전하면서 오히려 시왕 중에 한 분으로 변모하였다.
    시왕의 각 명호는 진광대왕, 초강대왕, 송제대왕, 오관대왕, 염라대왕, 변성대왕, 태산대왕, 평등대왕, 도시대왕, 전륜대왕 등이다.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2_67.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2_81.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2_92.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3_02.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3_13.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3_23.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3_33.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3_41.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3_53.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3_62.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3_71.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3_8.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3_9.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4.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4_09.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4_17.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4_27.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4_36.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4_44.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4_55.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4_64.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4_74.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4_83.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654_93.jpg
     

  2. 백련사 칠성각(七星閣)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18

    '칠성'이란 북두칠성을 일컫는 것으로, 사찰에 칠성을 모시게 된 것은 중국의 도교사상이 불교와 융합되어 나타난 형상이다.
    칠성을 부처님들로 화한 경우가 보통인데, 치성광여래를 주존으로 모시고 있다.
    손에 금륜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이 좌우에 협시로 배치된다.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446_96.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447_13.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447_22.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447_65.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447_76.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448_23.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448_31.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448_41.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448_52.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448_61.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448_7.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448_79.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448_88.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448_97.jpg
     

  3. 백련사 독성각(獨聖閣)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18

    나반존자라는 분이 모셔져 있으나 정확히 어떤 분인지는 밝혀져 있지 않아서 16나한의 한 분인 빈도라발라사가 아닌가 여겨진다.
    빈도라발라사는 코삼비국 재상의 아들로서 석가모니 부처님께 귀의하여 구족계를 받았다고 한다.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317_75.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317_9.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318_42.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318_5.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318_6.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318_67.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318_75.jpg
     

  4. 백련사 종각(鐘閣)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18

    종을 매달아 놓은 것으로 종루(鐘樓)라 부르기도 하며, 북을 매단 곳을 고루(鼓樓)또는 고각이라 하지만 대개 절의 사물(四物)이 함께 안치되어 있어 통칭하여 종각이라 부른다.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222_22.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221_59.jpg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221_74.jpg
     

  5. 백련사 일주문(一柱門)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18

    일주문은 산문(山門)이라고도 하는데, 산사에 들어서면 맨 먼저 만나게 되는 문으로 절 이름이 적힌 현판이 걸려있다. 일주문에 들어설 때는 오직 일심(一心)으로 불법에 귀의해야 하겠다는 마음을 다지며 이 곳을 기준으로 승(僧)과 속(俗), 세간(世間)과 출세간(出世間), 생사윤회의 중생계(衆生界)와 열반적적의 불국토(佛國土)가 나누어 진다.


    7f29a40b0ae61b5ec2a5f64520814a4c_1713368153_6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