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49 건

소개
  1. 전등사 양헌수 승전비(인천기념물 제36호)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0

    전등사 경내에는 인천기념물 제36호로 지정된 양헌수승전비가 있다. 이 승전비는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을 물리치고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 양헌수(1816~1888) 장군의 공적을 기념하기 위해 1873년(고종 10)에 건립된 것이다. 이 때는 아직 양헌수 장군이 살아있을 때였지만 대원군이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겪은 뒤 외침을 물리친 것을 널리 알리기 위해 기념비를 세운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양헌수 장군은 1838년(헌종 4)에 무과에 급제한 이래, 병인양요 때 공을 세워 한성부좌윤으로 특진되었으며 중군을 거쳐 어영대장·금위대장·형조판서·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충장공이며 저서로는 <하거집(荷居集)>이 있다.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0591_26.jpg
     

  2. 전등사 정족산성진지 (인천시 기념물 제66호)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0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던 정족산사고(鼎足山史庫)를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한 군사 주둔지 정 족진(鼎足鎭)이 있던 곳이다. 1907년 방화로 소실되었으나, 2009년 발굴 조사하여 11개소의 건물지를 포함해 대규모의 유구가 발굴되었다.
    1870년대 무렵에 제작된 정족산성 일대 지도인 ‘정족산성진도(鼎足山城鎭圖)’에 보이는 진사(鎭舍), 내사(內舍) 및 무기와 군량을 저장하던 창고인 포량고(砲糧庫) 등의 건물지와 담장 시설, 문지 등이 대부분 확인되었다. 포량고 건물 바닥 전면에는 벽돌을 깐 것으로 파악되며, 정족진 내부에서 전면 외부로 빗물 등을 빼내기 위해 배수구 시설도 온전한 모습으로 발굴되었다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0538_01.jpg
     

  3. 전등사 정족산사고지 (인천시 기념물 제67호)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0

    정족산사고지(鼎足山史庫址)는 정족산성 안 전등사 서쪽 높이 150m에 위치하며, 사고지의 보호철책 안쪽에는 주춧돌들이 놓여져 있다. 또한, 성내에는 수호사찰(守護寺刹)인 전등사가 사고를 보호해왔으므로 1910년 조선 총독부 학무과 분실로 실록과 서적들이 옮겨질 때까지 보존될 수 있었다.
    사고 건물이 언제 없어졌는지 자세히 알 수 없으나, 1931년에 간행된 ≪조선고적도보 朝鮮古蹟圖譜≫에 정족산 사고의 사진이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때를 전후해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사고 건물에 걸려 있었던 ‘장사각(藏史閣)’과 ‘선원보각(璿源寶閣)’이라 쓰인 현판이 전등사에 보존되어 있다.
    이 사고에 보관되어오던 정족산사고본 실록들은 많은 변동은 있었지만, 임진왜란 때에 유일본으로 남은 전주사 고본이 묘향산사고로 피난했다가 마니산사고로 옮겨졌고, 이 마니산사고본의 잔존실록들을 옮겨서 보관, 관리해 오늘에 전해질 수 있게 된 것이다. 현재 정족산사고본 실록은 서울대학교 도서관에서 보존, 관리하고 있다.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0495_49.jpg
     

  4. 전설속 전등사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0

    전등사에는 두 그루는 커다란 은행나무가 있다. 수령이 5백 년이 넘는 나무들이다. 한 나무는 노승나무, 다른 한 나무는 동승나무로 불리는가 하면 암컷, 수컷으로 불리기도 한다. 은행나무는 암컷과 수컷이 서로 마주보고 있어야 열매를 맺는다. 그런데 전등사 은행나무는 꽃은 피어도 열매가 맺지 않는다고 한다. 이 신기한 나무들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강화도령 철종 임금 때의 일이다. 조정에서는 전등사에 은행을 스무 가마나 바치라고 요구한다. 전등사 은행나무는 기껏해야 열 가마밖에 열매를 맺지 않는데 스무 가마를 요구하니 관리들의 횡포가 이만저만 심한 게 아니었다.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0274_05.jpg 


    이 지시를 듣게 된 동승이 노스님께 고했다.
    “스님! 정말 관가에서 너무들 하는 것 아닙니까요?”
    “허허, 참으로 난감한 일이다. 얘야, 그렇다고 그 사람들을 미워해선 안 되느니라. 참아야 하느니…….”
    노스님은 이렇게 타일렀지만 자신도 깊은 고민에 빠졌다.
    은행 스무 가마를 내놓을 수도 없었고 관리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으면 더욱 더 불교를 탄압할 것이 분명했다. 노스님은 하는 수 없이 백련사에 있는 추송 스님에게 도움을 청하기로 했다. 추송 스님은 도력이 높기로 소문이 난 분이었다.
    며칠 후 추송 스님이 전등사에 나타났다.
    곧 전등사 일대에 ‘전등사 은행나무에서 은행이 두 배나 더 열리게 하는 기도가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퍼졌다. 사람들이 구름처럼 모여들어 추송 스님의 3일 기도를 지켜보았다. 그 중에는 관리들도 섞여있었다.
    “어떻게 은행이 두 배나 많이 열린단 말인가?”
    “맞아! 추송 스님이 제 아무리 정성을 드려도 소용없는 짓이겠지.”
    사람들은 저마다 이렇게 수군거렸다.

    이윽고 기도가 끝나는 날이었다.
    갑자기 추송 스님의 기도를 지켜보던 관리들의 눈이 얻어맞은 것처럼 퉁퉁 부어버렸다.
    “이제 두 그루의 나무에서는 더 이상 은행이 열리지 않을 것이오.”
    추송 스님이 기도를 끝내고 사람들에게 말했다.
    사람들은 저마다 어리둥절한 표정을 짓고 있었다. 바로 그때 때 아닌 먹구름이 전등사를 뒤덮더니 비가 무섭게 내렸다.
    사람들은 두려움에 떨며 일제히 땅에 엎드렸다.

    얼마 후 사람들이 고개를 들었을 땐 추송 스님은 물론 노스님과 동자승까지 모두 사라졌다. 사람들은 보살이 전등사를 구하기 위해 세 명의 스님으로 변해 왔다고 믿게 되었다. 그 때부터 전등사 은행나무는 열매를 맺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