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49 건

소개
  1. 3. 전등사 명부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0

    약사전 옆의 서남쪽에 세워진 명부전도 정확한 창건 연대는 밝혀지지 않는다.

    명부전에는 지장보살상을 비롯해, 시왕·귀왕 등 모두 29존상이 모셔져 있다. 대개 명부전은 지장전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죽은 이를 재판하는 시왕이 있는 곳은 명부전, 지장보살을 모셨을 경우에는 지장전이라고 부른다. 이 전각은 죽은 사람들이 49일이 지나 재판을 받을 때까지 그들의 넋을 위해 치성을 드리는 곳이다.

    지장보살은 모든 중생이 극락을 가기 전까지는 결코 성불하지 않겠노라는 원을 세운 보살이다. 그래서 지장보살은 녹색의 머리를 깎고 주장자를 짚은 채 지옥 문 앞에서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이처럼 명부전에는 부처님 원력으로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제사의 공덕으로 극락을 가라는 정성어린 마음이 담겨 있다.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757_01.jpg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757_1.jpg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757_18.jpg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757_64.jpg
     

  2. 4. 전등사 삼성각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0

    삼성각은 산신, 독성(나반존자), 칠성 등 삼성(三聖)을 모신 건물이다.

    본래 삼성은 중국의 도가 사상과 관련이 있는 성인들이지만 이 땅에 불교가 전래하면서 불교 사상과 융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698_94.jpg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699_05.jpg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699_54.jpg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699_61.jpg
     

  3. 5. 전등사 무설전 및 서운갤러리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0

    기존 가람의 분위기를 해치지 않으면서, 지하에 새로운 공간을 조성하게 된 배경이다. 외부는 크게 표 나는 부분이 없지만, 내부는 현대식 공간으로 조성한 이색적 법당이자 복합 문화공간이다. 젊은 세대의 감각에도 부담감을 주지 않도록 디자인 특성을 배려했다.

    새로운 불사를 위해 전등사는 현역 미술가 중심의 전문 창작단을 조직했고, 이들에게 새로운 불교미술의 실행을 당부했다. 미술대학 교수이자 미술계에서 주목받은 작가로서 새로운 불교미술의 창출에 의지를 모은 것은 국내 초유의 일로 기록된다. 창작단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전통과 현대, 종교와 미술, 독창성과 시대정신, 민족성과 국제성 등의 주요 사항을 숙지하고 평소 작품에 반영한 경우에 해당한다.

    불상 작품은 전통성을 바탕으로 하여 현대적 감각 특히 인체 비례를 반영시켰다. 주불 석가모니불 좌상은 토함산 석굴암 본존상을 연상시킬 만큼 당당한 대장부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주불의 늠름한 기상은 예배 대상으로서의 존엄미와 더불어 깨달음에 이르는 인도자로서의 원만함과 장엄함을 보여준다. 반면에 협시보살은 현대인의 인체 비례 감각을 감안하여 제작된 바, 지장보살 좌상은 이웃집 아저씨처럼, 관음보살 좌상은 이웃집 보살님처럼 친근미와 더불어 품격 있는 원만상이다. 이들 다섯 분의 불보살상은 비슷한 것 같지만 相好와 옷매무새 등을 자세히 보면 각기 다르다. 주불을 비롯해 협시보살상과 1천불 원불은 모두 청동주물 작업에 백색 도료를 입힌 작품들이다.

    주불이 봉안된 공간은 궁륭형(돔)으로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곳 후벽에 벽화작업을 시도한 바, 화가 오원배 교수는 서구식 프레스코 기법을 활용하여 제작했다. 정통 프레스코 벽화제작 기법은 이번 무설전 후불벽화 제작에 응용되어 새로운 불교회화의 장을 마련했다고 평가된다. 프레스코 기법의 벽화와 천정화 작품은 국내 유일의 사례에 해당한다. 신중탱은 紅幀의 일종으로 붉은 색 바탕에 銀線으로 작업한 것이다. 여기의 인체 비례는 서구식에 익숙한 젊은이들도 호감 갖도록 배려했다.

    무설전 내부 공간 디자인은 여타의 법당과 커다란 차별상을 보일만큼 하나부터 열까지 새롭게 시도한 창작품이다. 천정 공간의 연등 디자인으로부터 기둥 처리 그리고 벽면 공간처리 등 모든 것이 조화와 개성을 기본으로 하여 이룩한 성과물이다. 공간 디자이너 이정교 교수는 이미 국내 유수의 건축물에서 실력을 발휘하여 높은 평가를 받은 바 있다. 그의 이번 무설전 디자인은 사찰 불사의 첫 사례라는 점에서 남다른 주목을 받을 것이다.

    서운 갤러리는 무설전의 입구 부분의 공간을 특화하여 운영하는 특수공간이다. 이 갤러는 바로 불교와 미술의 만남 즉 종교와 예술의 공존/조화를 기도하는 공간이지 않을 수 없다. 이 갤러리는 현대 미술작가의 창작품을 전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아 운영된다. 이를 위해 전등사는 이미 오래전부터 현역 미술작가의 창작품을 구입하여 상당량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이번 서운갤러리 개관기념 전등사 소장품 전시는 이를 공개하는 전시이며, 사찰 운영의 이색적 현대미술 전시공간임을 천명하는 현장임을 확인시킨다.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651_09.jpg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651_18.jpg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651_69.jpg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651_81.jpg
     

  4. 6. 전등사 월송요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0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589_74.jpg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589_85.jpg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589_93.jpg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590_4.jpg
     


  5. 7. 전등사 대조루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0

    전등사의 남동쪽으로는 멀찌감치 강화해협이 내려다보인다. 강화해협은 일명 ‘염하’라고도 부르는데 이 염하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곳이 전등사 대조루이다.

    전등사의 남문이나 동문으로 올라와 두 길이 합치는 지점에 이르면 2층 건물이 보이고 1층 이마에는 ‘전등사’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이 건물이 바로 전등사의 불이문 구실을 하는 대조루이다.

    지금의 대조루는 1932년에 중건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건물 자체가 주변 경관과 잘 어울리며 전등사의 여러 건물 중에서도 아주 소중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대조루에서 대웅전을 바라볼 때의 시선은 25도쯤 위쪽으로 향하게 된다. 대웅전의 석가모니불을 가장 존경하는 시선으로 보게 하는 각도로, 이런 부분까지 섬세하게 고려해 지어진 건물이 대조루이다.

    대조루에는 1726년 영조 임금이 직접 전등사를 방문해서 썼다는 ‘취향당’이라는 편액을 비롯해 추사가 쓴 ‘다로경권’ 등 많은 편액이 보관되어 있다.

    본래 대조루는 기도를 하거나 법회를 열던 공간이었으나 지금은 불교 서적과 기념품 등을 파는 곳으로 사용되고 있다. 인천문화재자료 제7호로 지정되어 있는 건물이다.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541_38.jpg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541_48.jpg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541_56.jpg
    ac0888fa44bb29e92eb962037402b6d1_1713582541_6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