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38 건

소개
  1. 범어사 보제루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2

    ‘널리 중생을 제도한다’는 뜻이 담긴 보제루는 각종 예불과 법요식이 열리는 강당입니다. 중앙 정면에 금강계단이라는 편액이 보이지요? 보살계 등의 수계 행사가 거행되는 계단으로도 이용되어 정면은 금강계단이라고 합니다. 당초에는 벽체가 없이 지었으나 법회용 강당으로 사용하면서 벽체를 쳤습니다. 1699년, 숙종 25년 자수 스님 때 2층 누각 식으로 창건된 후 1813년 순조 13년 중건 시 단층으로 바뀌었고 일제 강점기 때 벽체가 쳐지는 등 일본식으로 변개되었습니다.

    또한 진입 방식이 누각의 측면을 돌아서 들어가는 ‘우각 진입’ 방식에서 2012년에 전통 법식인 누각 아래를 통과하는 ‘누하 진입’ 방식으로 복구되었습니다. 복구 전 우각 진입 방식 시에는 북쪽 외벽에 우리나라 사찰에서는 보기 드문 ‘목우도’ 벽화가 그려져 있었습니다.

    대웅전 정면 입구에는 ‘금강계단’이라는 편액이 붙어 있습니다. 금강계단은 보살계 수계 법회를 여는 계단으로 주련에는 동산 스님이 1965년 열반 전 금강계단 보살계 기념 휘호로 남긴 불설일체법(佛說一切法, 부처님이 설하신 모든 법은), 위도일체심(爲度一切心, 모든 중생의 마음을 제도하려 하심이라), 약무일체심(若無一切心, 만일 사람이 아무 생각-일체심도 없다면), 하용일체법(何用一切法, 일체의 법이 어디에 쓰일 것인가)이 씌어져 있습니다.


    5925f5c674ee780e696d90876c9e3635_1713735259_45.jpg
     


  2. 범어사 종루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2

    ‘종루’는 사찰의 불전 사물을 보존하기 위해 지어진 곳입니다. 불전 사물이란 부처님의 진리를 중생에게 전파하고 교화하기 위한 소리 관련, 범종, 법고, 목어, 운판의 네 가지를 말합니다.

    기품 있고 우아한 외형에 웅장하면서도 이슬처럼 맑고 영롱한 소리를 내는 것이 특징인 범종을 치는 것은, 지옥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하여 새벽4시경에33번, 저녁6시경에28번을 칩니다. 예불 시간에 마음‘심’ 자를 그리며 두드리는 큰 북, 즉 법고는 법을 전하는 북소리가 가죽을 가지고 태어난 축생들의 마음을 울려 불심을 깨우치게 하기 위함입니다. 물고기 모양으로 나무를 깎고 그 속을 비워 작은 나무 채로 두드려서 소리를 내는 목어는 물속에 사는 수중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수행자에게는 눈을 감지 않는 물고기처럼 깨어서 수도 정진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합니다. 운판은 뭉게구름 모양의 청동판으로 하늘에 날아다니는 조류나 허공에 떠도는 영혼들을 제도하기 위해서 칩니다. 형태가 구름 모양인데 구름이 비를 머금고 있으므로 화재를 막고자 부엌에 걸어 두고 치기도 했다고 합니다.

    범어사에서는 매일 새벽 운판– 목어– 법고– 범종 순으로, 밤새 잠들었던 미물을 깨우며 하루를 시작합니다. 자기를 비우고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온몸을 울리는 사물의 소리. 그 속에 담긴 뜻과 의미에 귀를 기울이며 우주 만물의 참된 가치를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5925f5c674ee780e696d90876c9e3635_1713735226_15.jpg
     

  3. 범어사 3층석탑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2

    3층석탑은 비교적 규모가 작고 상하 기단에 모두 안상이 조각된 점과 옥개석과 받침, 면석, 우주 등이 간소화 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범어사의 창건 당시인 신라 후기 석탑의 특색을 갖춘 보물제250호입니다. 1937년 일제 강점기 때 탑을 보수하면서 기단 맨 아랫부분에 돌이 첨가되었고, 주위로 일본풍의 돌 난간도 함께 설치되면서 표석 뒷면에 ‘조선총독부’라고 되어 있었으나 2010년 해체 복원 시 석탑 주위에 둘러진 난간을 철거 후 원형대로 복원하였습니다.

    2010년 해체 복원 시 1층 몸돌에서 도굴되고 깨어진 유리병과 신문조각만 발견되어, 사리함에 부처님의 진신사리 6과와 삼층석탑의 역사자료, 반야심경, 금강경, 법화경 등의 경전과 오색 천, 오색 실, 오보, 오향 등을 함께 새로 봉안하였습니다

    탑은 사리 신앙을 바탕으로 발생한 불교의 독특한 조형물인데 인도에서 최초로 석가모니 부처님 열반 후 화장을 함으로써 사리를 얻게 되었고 이 영롱한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쌓은 것이 바로 불탑입니다. 예로부터 사찰에서는 신도들이 밤새 불탑을 돌며 마음 속의 괴로움을 씻어내고 소원이 성취되도록 비는‘탑돌이 행사’를 열어왔습니다. 수많은 이들의 염원을 함께해온3층석탑, 그 곁에 여러분 마음 속 무거운 짐도 가만히 내려놓아 보시는 건 어떨까요?


    5925f5c674ee780e696d90876c9e3635_1713735188_65.jpg
     

  4. 범어사 석등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2

    석등은 불전 앞마당에 등불을 켜는 공양구이며 부처님의 진리를 중생의 마음에 비추어 불성을 밝혀주기 위한 법등입니다. 조각, 장식 등으로 보아 범어사 3층 석탑이 건립된 통일신라 말에 함께 조성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석등’이란 말 그대로 불을 밝히기 위해 돌로 만든 등을 의미하는데 불교에서의 등불은 중생의 어리석음을 다스리는 지혜를 상징하며 등불을 밝히는 것을 공양 중에서도 으뜸 공양으로 여겼습니다. 상대석에 불을 밝힐 수 있도록 4개의 창이나 있는 화사석을 받치고 그 위에 지붕돌을 덮은 형태로 하대석 윗면엔8장의 연꽃 잎 모양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번뇌를 떨치는 지혜를 밝혀온 석등의 그 은은한 아름다움을 함께 감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5925f5c674ee780e696d90876c9e3635_1713735147_9.jpg
     

  5. 범어사 대웅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2

    현재의 부처님인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신 범어사 최고의 법당인 보물 제434호, 대웅전입니다. 임진왜란 이후 유행했던 전형적인 다포식 맞배 건물로 범어사 국가지정건축문화재4가지 보물 중 하나입니다. 임진왜란 후 1602년, 선조 35년에 관선사가 법당이란 이름으로 재건하였으나 곧 불타 버린 후 광해군6년, 1614년 묘전 화상이 중건하였습니다. 기단의 명문에 따르면 현 건물은 1658년 이건 및 중창 후 1680년, 숙종 6년에 도대목(都大木)인 조헌 스님 등이 대웅전의 면모를 갖추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단 동쪽 끝 면석에 ‘강희 19년4월’이라고 새겨져 있어 1680년, 숙종 6년에 건립되었음을 재확인하여 주고 있습니다. 전각 내의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은 1661년, 현종 2년에 조각승인 희장이 조성한 보물 제1526호입니다.

    가람의 중심에 위치한 주불전인 대웅전의 ‘대웅’이란 법화경에서 언급된 ‘크고 위대하다’는 의미를 가진 부처님의 덕호 이며 사마(四魔)에게 항복을 받아 낸 큰 영웅이라고 한데서 유래했습니다. 따라서 ‘대웅전’이란‘위대한 성자이신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셔놓은 건물’이라는 뜻입니다. 대웅전은 범어사의 가람 중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해 아래를 내려다 보고 있으며 중앙인 수미단 위에는 현세불인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과거 제화갈라보살을, 우측에는 미래에 오실 미륵보살을 삼세불을 모셨습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앉는 자리 위에는 용, 선녀, 학 등 정교하고 화려한 닫집 장식이 꾸며져 있어 위엄을 더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삼세불의 후불 탱화로 1882년 수룡당 기전 스님이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인도 영축산에서 제자와 신도들에게 묘법연화경을 설법하는 장면을 표현한 부산시 유형문화재 67호 ‘석가영산회상도’ 불화가 걸려있습니다. 벽면에는 동방 약사삼존도, 서방 아미타삼존도, 관음보살도, 혜가단비도 등 벽화 14개가 그려져 있습니다.

    삼세불은 시간을, 벽화 동방 약사삼존도와 서방 아미타삼존도는 공간을 나타내어 시공을 초월하여 물고기로 상징되는 모든 중생들을 구원한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범어사 대웅전은 다른 사찰에서는 볼 수 없는 정교한 건축 기술이 동원된 조선시대 불교문화의 대표적인 건축물로 꼽힙니다. 손으로 깎아 만든 주춧돌과 기둥 위 창방과 평방의 역동적인 짜임에서 한국의 전통 목조 건축의 구조미를 엿볼 수 있습니다.

    대웅전 기둥에는 동산 스님이 금강경 오가해 중 야보(冶父) 스님의 삼세불 찬탄게송에서 발췌하여 쓰신 마하대법왕(摩訶大法王, 거룩하고 위대하신 진리여), 무단역무장(無短亦無長, 짧지도, 길지도 않으며), 본래비조백(本來非皂白, 본래 모습이 검지도 희지도 않고), 수처현청황(隨處現靑黃, 인연에 따라 청으로 황으로 나타나네)의 4개 주련이 걸려져 있습니다.

    범어사의 정기가 깃든 깨달음의 성전 대웅전에서 우주 만물을 아우르는 부처님의 자비와 참된 기운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5925f5c674ee780e696d90876c9e3635_1713735111_8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