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23 건

소개
  1. 보현사 전각 부도군(浮屠群)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5

    보현사 부도군은 2021년에 강원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보현사(普賢寺) 입구에는 부도전이 있습니다.
    조선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한 줄에 10기씩 두 줄로 20기의 석종형부도가 세워져 있다. 이 중 15기는 ‘화곡당대사탑(華谷堂大師塔)’, ‘월암당대사사리탑(月岩堂大師舍利塔)’ 등 주인의 이름이 부도 탑신에 새겨져 있다. 부도는 대부분 보주(寶珠)와 탑신(塔身) 사이에 연주문(連珠文)을 갖춘 돌대문(突帶文, 돋을띠무늬)을 조각하여 꾸며놓고 있다. 이 중 몇 기는 약식화하여 돌대문만 표현하였다. 크기는 평균 110cm 정도이고, 가장 큰 것은 153cm이다. 별도로 세운 부도비는 없고, 15기만 부도 탑신에 부도주인의 이름을 새겨 놓았다.
    글자는 마모가 심하고, 글자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서 명확한 판독을 하기가 어렵다. 보현천 쪽 부도열의 남측에서부터 부도주인의 이름을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春波堂大師淨蓮之塔/무명/浦雲堂大師 楚/雲階堂楚欽/무명/무명/무명/(嵩?)峯堂大師∇宗之塔/ 峯堂∇∇大師之(塔)/華谷堂大師塔/醉蓮堂孟律之塔/浦月堂聿悟塔/淸信居士雲月堂弼淨大士/月∇堂∇士/무명/∇荷月堂∇連大禪師/(明?)巖堂法宗/月岩堂大師舍利塔/五岩堂六森塔/海溪堂大師有暹之塔
    부도 중에서 화곡당대사탑(華谷堂大師塔)은 1860년에 판각된 「보현사중수기」에서 보이는 스님과 동일인으로 생각되며, 월암당대사사리탑(月岩堂大師舍利塔)은 보현사의 향도조직인 『미타계좌목』에서 그 이름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자료는 보다 세밀한 분석을 통한다면 조선후기의 보현사에 주석하였던 스님의 법맥을 비롯하여 부도의 시기적 양식, 사회경제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b7d494e9e395ea69afb53743726991f2_1714020934_71.jpg
     

  2. 보현사 전각 성황당(城隍堂)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5

    토지의 수호신을 모신 전각이다.
    보광리 입구에 들어오면 마을 어귀에 마을성황당이 있고 보현사를 거쳐 선자령을 넘어 횡계로 가는 길목에 두 개의 보현사 성황당이 있었다고 전하여 진다.
    2019년 성황당을 지금자리에 복원하여 강릉시민의 안녕과 액운을 물리치고 각자의 소원을 기원하는 전각이다.


    b7d494e9e395ea69afb53743726991f2_1714020847_19.jpg
     

  3. 보현사 전각 보현성지(普賢聖地)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5

    보현사로 올라오는 초입에 보현성지(普賢聖地)라고 새겨진 석물이 세워져있습니다.
    보현사의 창건설화에서도 보현보살의 신력으로 절터를 찾아 보현사를 지었다 라는 말이 전해 내려오며, 또한 고려시대 말에 조성되었다는 목조보살좌상(보현보살)이 보현당에 모셔져 있다.
    이와 같이 보현사는 보현보살이 상주하는 성지로서 천년의 시간이 흘러오는 동안 불자들의 기도도량으로 모습을 이어오고 있다.


    b7d494e9e395ea69afb53743726991f2_1714020810_8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