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34 건

소개
  1. 운문사 전각 조영당(祖影堂)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2

    운문사에 주석하였던 원광국사·보양국사·원응국사 등 3대 중창주와 운문사에 주석했던 열한 분 조사의 영탱과 운문사 수호에 공이 많은 손 장군과 김 장군의 영정을 봉안한 공간이다.
    부처님을 모신 전각이 아니므로 당(堂)이라 하였으며, 해마다 음력 9월 9일에 여러 조사와 두 장군을 위한 합동 제(祭)의식을 거행한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6964_11.jpg 


    원광국사 (558~638)
    신라 중기의 스님.
    중국 구법승으로 성은 박씨, 진한 사람이다.
    579년(신라 진평왕 1) 25세에 출가하여 30세에 경주 안강의 삼기산(三岐山)에 들어가 수도하였다.
    589년 중국 장안에 가서 담천(曇遷)의『섭대승론』강의를 듣고, 혜원·영유등에게『열반경』을 비롯한 여러 경전을 배워 600년에 귀국했다.
    이후『 여래장경사기』, 『 대방등여래장경』등을 지어 불교의 새로운 지식을 신라에 도입했다. 또한 가슬갑사에 주할 때 화랑도인 귀산과 추항이 찾아와 교훈을 청하므로 세속오계를 주었다.
    황룡사에서 나이 84세, 법랍 59세로 입적했다.
    명활산(明活山)에 장사 지내고 삼기산 금곡사(金谷寺)에 부도를 세웠다.

    보양국사 (생몰연대미상)
    신라말 고려초의 스님.
    중국 구법승으로 운문사를 중창한 스님으로 운문사에서 입적했다. 일명 지식(智識)이라고도 한다.
    당나라에 가서 법을 전해 받고 귀국하다가 서해에서 용왕의 영접으로 용궁에 들어가 경을 설하고 금라가사(金羅架娑)한 벌을 받았다.
    처음 당나라에서 들어와 밀양 봉성사(奉聖寺)에 있을 때, 고려 태조가 군사를 거느리고 청도에 이르니 산적들이 견성(犬城)에 모여 항복하지 않았다. 태조가 국사에게 항복 받을 도리를 묻자 '개는 밤만 지키고 낮은 지키지 않으며, 앞만 지키고 뒤는 지키지 못하니 낮에 북쪽을 치라'고 가르쳐 주었다. 태조가 이 말대로 하여 산적을 항복받았다고 한다.
    얼마후 후삼국을 통일한 태조가 작갑사가 지어진 내력을 듣고 밭 500결을 봉납했다.
    937년 고려 태조는 '운문선사雲門禪寺'라는 사액을 내렸다.

    원응국사 (1052~1144)
    고려 숙종 때 승려로서 성은 이씨이고 속명은 학일(學一)이며, 자는 봉거로 11세에 진장법사에 의해 입산하여 희함선사(喜含禪師)에게 학문을 배웠다.
    33세 때 송나라에 건너가 종전삼장과 천태교를 배워 34세에 귀국하였다. 그후 삼중(三重)대선사라는 칭호를 받았고, 예종 2년에 국사가 되었다.
    93세로 입적하자 업적을 찬양하여 '원응'이란 시호를 내리고 많은 전답과 노비를 하사하고 비를 세워 공덕을 추모하였다.
    비문은 윤언이가 지었으며, 서체는 대감국사 탄연이 썼다고 전한다.

    성파당 현척 대선사
    부도는 1791년(이조영조 27년)에 건립하였으며 운문사 동편 부도전에 위치해 있다.
    가로 77cm, 세로 112cm

    도봉당 유문 대선사
    전기는 미상이며 부도는 본사 동편에 있으며 1751년(이조영조 27년)에 건립하였다.
    가로 74.5cm, 세로 114.5cm

    연파당 대선사
    전기는 미상이고 부도는 본사 동편에 있으며 비명은 마멸되어 판독할 수 없다.
    가로 79cm, 세로 154.5cm

    운문보익정암당 효원대사
    전기는 미상이나 1845(헌종 11년)사리암을 중창하였다.
    가로 74cm, 세로 114cm

    운악대사
    조선말기의 고승으로 속성은 김씨요. 이름은 두안이고 자는 운악이며 본군 신원동사람이다.
    만일회를 창건하여 선과 염불을 쌍수하고 1851년(조선 철종2년)에 응진전을 초창하였으며 전각과 내원암, 북대암등을 중수하고 대종을 조성하였다.
    부도와 본사 중수 후의 행적은 미상이다.
    가로 74cm, 세로 113..5cm

    설송대사
    조선중엽의 고승으로 속성은 백씨요, 호는 설송이며 자인현 사람이다.
    13세에 삭발하고 운문사에 입산한 후 선교에 통달하여 강설함에 많은 학승들이 따랐다.
    1690년(조선 숙종 16년)에 본사를 제 4차 중창하고 1694년(조선 숙종 20년)에 입적하시니 통도사와 운문사 두곳에 사리탑이 있다.
    부도는 본사 동편에 있다.
    가로 74.5cm, 세로 113.5cm

    동호당 대선사
    선교양종 동호당 대선사는 전기 미상이다.
    가로 76cm, 세로 112cm

    진계당 대선사
    전기는 미상이고 부도는 본사 동편에 있으며 건립년대는 미상이다.
    가로 73.5cm, 세로 112.5cm

    김식희 대장군
    본관은 강릉 김씨이며, 신라말, 고려초의 사람이다.
    태조 왕건의 선봉장으로 많은 공훈을 세운 문무를 겸비한 장군이다.
    두 장군이 유언하시기를 우리는 죽은 후에도 운문사의 수호신이 되겠다는 말에 따라 조영당에 모시고 있다.

    손긍훈 대장군상
    본관은 밀양 손씨이다.
    나말여초 고려 태조 왕건의 선봉장으로 많은 공훈을 세운 무관이다.
    두 장군이 유언하시기를 우리는 죽은 후에도 운문사의 수호신이 되겠다는 말에 따라 조영당에 모시고 있다

  2. 운문사 전각 작압(鵲鴨)·작압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2

    작압(鵲鴨)·작압전
    운문사의 전신인 대작갑사의 유래를 알게 하는 유일한 건물인 작압전은 전면 측면이 모두 한 칸에 불과한 작은 건물이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한 신승(神僧)이 중국에서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신비로운 새 떼가 날아오른 것을 본 자리에 이르러 암자를 짓고 수행하여 큰 도를 이루었다고 한다.
    그가 처음 새를 보고 이른 터에는 무너진 석탑이 있어서, 무너져 있는 석조물로 다시 탑을 쌓으니 파편이 모자라지도 남지도 않는 것을 보고 좋은 징조로 여겼다고 한다.
    그가 깨달음을 얻은 뒤 절을 짓기 시작하였는데, 동쪽에 가슬갑사·남쪽에 천문갑사·서쪽에 대비갑사·북쪽에 소보갑사를 짓고 중앙에 대작갑사를 창건하였다고 한다. 이 다섯 사찰을 두고 오갑사(五鴨寺)라고 하였다.
    작압전은 신승이 발견한 석탑터에 지어진 전각으로, 나말려초의 보양국사가 전탑형식으로 초창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된 이후 현재의 목탑형식으로 재건되었다. 내부에는 보물 제 317호 석조여래좌상과 318호 사천왕 석주를 봉안하고 있다.

    보물 제 317호 석조석가여래좌상

    작압전에 봉안된 통일신라 말기의 작품으로 화강암으로 조성되었다. 항마촉지인(부처님께서 정각을 이루신 뒤 마왕 파순에게서 항복을 받을 때 취하신 수인으로, 地神이 부처님의 깨친 바를 증명하며 진동을 일으키도록 명하신 자세를 일컫는다.)을 하고 있다. 부처님을 봉안한 좌대와 광배가 모두 갖추어진 완전한 불상으로 불상 높이 63CM, 대좌높이 41CM, 광배 높이가 92CM에 이른다.

    보물 제 318호 사천왕 석주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측되는 운문사 사천왕 석주는 그 예가 드물어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탑의 기단부를 장식하기 위해 조각되었던 것이 파편으로 남은 것으로 추정하기도 하지만, 석주 네 기가 각각의 높이가 달라서 정확한 추정으로 인정받고 있지는 않다.
    사천왕은 사방에서 불법을 수호하겠노라 서원을 세우고 수미산의 동서남북에서 악을 물리치는 천신(天神)으로 동방 지국천왕(비파), 서방의 광목천왕(용과 여의주), 남방의 증장천왕(칼), 북방 다문천왕(보탑)을 통칭한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6888_22.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6888_3.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6888_75.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6888_81.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6888_89.jpg
     

  3. 운문사 전각 청풍료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2

    대중이 운집하여 발우공양을 하고 자자·포살 및 차례법문 등의 행사를 열 수 있을 만큼 큰 요사채가 청풍료다. 이곳에는 평상시 사미니과(1학년)와 사집과(2학년) 스님들의 방사이기도 한데, 상주인원이 약 120여 명으로 수행과 대중생활에 필요한 하심과 화합을 체득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6802_97.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6803_05.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6803_5.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6803_58.jpg
     

  4. 운문사 전각 칠성각(七聖閣)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2

    독성(나반존자), 칠성, 산신 등 세 성현을 모신 전각이다. 삼성각은 우리나라 재래의 수(壽), 복(福), 재(財)의 삼신 신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전각이다. 독성이라는 불교적 성현 외에도 칠성·산신과 같은 전통신앙의 대상을 불교로 흡수하여 불교가 가진 원융의 성격을 드러내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부처님을 모신 전각이 아니기 때문에 전(殿)이라 하지 않고 각(閣)이라 이름한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6747_68.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6747_82.jpg
     

  5. 운문사 전각 회성당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2

    1973년 신축한 이 건물은 현재 사미니과(1학년) 스님들의 강의실과 전산실 및 서도실을 갖추고 있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6157_13.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6157_0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