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19 건

소개
  1. aab752d6df5eb12ff359df75e90d3892_1645202882_27.png
    송림사 복장전적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2

    지정번호 : 유형문화재 제366호
    지정일 : 2005년 05월 23일
    소유자 : 송림사
    관리자 : 송림사
    수량(면적) : 21종 34책

    2002년 조계종 총무원의 조사 당시 명부전 석조삼장보살좌상 중 천장보살상의 복장에서 천장보살상중수발원문과 함께 총 21종 34책의 경전, 다라니류, 후령통 등이 발견되었다.

    중수발원문은 연대가 적혀있지 않아 작성 연대를 알 수 없지만 모든 재해가 사라지고 수복이 증장하며 돌아가신 부모와 조부모를 비롯한 모든 영가들이 극락왕생하기를 기원하며 천장보살상을 중수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경전류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은 조선 성종 19년(1488) 고산 화암사에서 개판된 『금강반야파라밀경』이며 가장 늦은 시기의 것은 영조 29년(1753) 팔공산 동화사에서 개판된 『불설아미타경』이다.
    이를 통해 천장보살을 비롯한 석조삼장보살좌상의 조성 상한연대를 1753년 이후로 추정할 수 있다.


    aab752d6df5eb12ff359df75e90d3892_1645202882_27.png
    aab752d6df5eb12ff359df75e90d3892_1645202882_39.jpg
    aab752d6df5eb12ff359df75e90d3892_1645202882_88.jpg
    aab752d6df5eb12ff359df75e90d3892_1645202882_8.jpg

  2. 송림사 산신각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2

    산신은 누구이며 어떻게 불교에 들어 왔는가.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불교권내에서는 불보살과 인도나 중국에서 형성된 그 호법신들을 받아 들었지 산신은 섬기지 않았는데 조선중기에 들어 와서 산신을 정식으로 부처님 품안으로 받아들이게 되었습니다.
    학자들의 여러 가지 설에 따르면 단군 왕검이 죽은 후 다시 이 땅에 돌아와서는 산신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단군보다는 여자 산신이 그 시원(始原)을 이루며 점차 남자 산신의 모습으로 정형화되었다고 보는 것이 정설입니다.

    불교에 유입된 산신의 개념은 가족 구성원의 부귀와 장수를 기원하거나 가람의 수호신으로 모습이 변모하게 된 것입니다. 산신탱화에 등장하는 산신의 대부분은 호랑이를 타고 있거나 호랑이를 앞뒤로 거느리고 있습니다.
    산신을 보좌하는 시좌로 호랑이 외에 탱화 속에는 앳된 동자상이 귀엽고 앙증맞은 얼굴로 미소를 짓고 있습니다.
    동자상은 산신령에게 과일이나 차, 꽃, 또는 불로주를 올리는 모습으로 많이 묘사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만히 살펴보면 동자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동녀도 있습니다.
    어느 탱화에서는 동자 두명이 등장하기도 하고 동자와 동녀가 짝을 이루어 나타나기도 합니다.

    산신을 여성으로 모시는 곳은 지리산 계룡산 속리산 등이 있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21564_76.jpg
     


  3. 송림사 삼성각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2

    불교 사찰에서 산신(山神)·칠성(七星)·독성(獨聖)을 함께 모시는 당우. 삼성 신앙은 불교가 한국 사회에 토착화하면서 고유의 토속신앙이 불교와 합쳐져 생긴 신앙 형태이다. 전각은 보통 사찰 뒤쪽에 자리하며, 각 신앙의 존상과 탱화를 모신다.

    삼성을 따로 모실 경우에는 산신각·독성각·칠성각 등의 전각 명칭을 붙인다. 삼성을 함께 모실 때는 정면 3칸, 측면 1칸 건물을 짓고 따로 모실 때는 정면 1칸, 측면 1칸의 건물을 짓는다.

    산신(山神)은 한국의 토속신 산신령에 해당하는 호법선신으로 산신이라는 인격신과 화신인 호랑이로 나타난다. 인격신으로서의 산신은 나이 든 도사의 모습이고, 호랑이는 대부분 산에 위치한 사찰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독성은 천태산(天泰山)에서 홀로 선정을 닦아 독성(獨聖)·독수성(獨修聖)이라 불린 나반존자(那畔尊子)를 일컫는다. 대부분의 사찰에서는 수독성탱(修獨聖幀)·나반존자도(那畔尊者圖)라는 독성탱화(獨聖幀畵)를 모신다. 그림은 천태산과 소나무·구름 등을 배경으로 희고 긴 눈썹을 드리운 비구가 오른손에는 석장(錫杖), 왼손에는 염주 또는 불로초를 들고 반석 위에 정좌한 모습이다. 때로는 독성 외에 차를 달이는 동자가 등장하기도 하고 동자와 문신(文臣)이 양쪽 협시로 그려지는 경우도 있다.

    칠성은 수명장수신(壽命長壽神)으로 일컬어지는 북두칠성을 뜻하며, 본래 중국의 도교사상과 불교가 융합되어 생긴 신앙이다. 대개는 손에 금륜을 든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를 주존으로 하여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좌우에 협시로 둔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21523_09.jpg
     

  4. 송림사 삼천불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2

    삼천불전 보물 1606호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21479_03.jpg
     

  5. 송림사 선불장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2

    선불장은 부처 되는 곳이다.
    참선하고 수계산림도량을 말한다.
    남녀노소가 마음 공부를 하는 곳이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21423_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