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39 건

소개
  1.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0233_52.jpg
    쌍계사 청학루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3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0233_52.jpg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1507_02.jpg
     

    지방문화재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5호

    이 건물은 진감선사가 창건당시에 지은 건물로, 1930년 쌍계사 주지 손민선사가 중수한 맞배지붕의 2층 누각이며, 1985년 지붕 기와를 한 차례 보수했습니다. 초심자初⼼者 스님들의 수행 장소로 사용된 곳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백곡도인⽩⾕道⼈의 청학루 수행기문이 있습니다. 또한 1902년 8월 면암 최익현(崔益鉉)이 남쪽을 여행할 때 이 지방의 사림 32명과 주지 1명과 함께 창수시(唱酬詩)를 짓고 음사(吟社)를 창립하여 청학루음사(⾭鶴樓吟社)라 하였는데, 그 현판이 청학루에 게시되어 있습니다.

  2.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0184_35.jpg
    쌍계사 팔상전(雙磎寺 ⼋相殿)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3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0184_35.jpg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1449_23.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1449_87.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1450_06.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1450_3.jpg
     

    지방문화재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7호

    팔상전은 석가모니부처님의 일대기를 여덟 장면으로 나누어 그린 팔상도(회화)나 조각상을 모시는 전각입니다. 쌍계사 팔상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 크기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 지붕의 건물입니다.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다포계 건물로, 기둥 위에서 지붕 처마를 받치는 공포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형식으로 지어졌습니다. 기둥이 높고 기둥 사이의 간격이 넓어 대웅전과 같은 웅장함이 느껴집니다. 건물 안의 기둥머리에는 장식이 많은데, 그 장식들을 안쪽으로 피어오르는 것처럼 만들어 공간이 웅장하고 화려해 보입니다. 또한, 천장은 격자 모양으로 짜 맞춘 우물정(井)자 천장이며, 가운데로 갈수록 점차 올라가는 층단을 두어 시야가 트이게 했습니다. 불상을 모셔 둔 불단 뒤에는 영산회상도와 팔상도가 모셔져 있습니다. 이 전각은 고려 충렬왕 16년(1290)에 진정 국사가 처음 세우고 나서 여러 차례 손질하고 고쳤는데, 지금의 건물은 1978년에 고산 화상이 고친 것입니다.


  3. 쌍계사 영모전(雙磎寺 永慕殿)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3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0136_9.jpg
     

    영모전은 쌍계사 창건주인 진감선사 진영(동치 2년, 1863)을 비롯하여 쌍계사 역대조사님의 진영을 모신 전각으로, 중앙세분은 진감·남악·벽송선사님의 진영이고, 왼쪽 5분은 등계·서산·사명·소요·호연선사님 진영이며, 오른쪽 5분은 부용·부휴·벽암·백암·응암선사입니다. 또 왼쪽벽면에 모신진영은 월조선사 그리고 오른쪽벽면에 모신 진영은 고산선사(2023)진영입니다. 641(인조 19)년에 벽암이 고쳐지었고, 1978년 고산 화상이 새로 고쳐 지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영모전은 불교의 진리와 중생에게 생명의 감로수를 내린 여러 큰스님의 뜻을 길이 숭모한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입니다. 단층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포작을 짜지 않은 간결한 도리집으로 정면에는 모두 2분합의 세살문을 달았습니다.

  4.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0094_77.jpg
    쌍계사 금당(雙磎寺 ⾦堂)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3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0094_77.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1338_91.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1339_11.jpg 


    지방문화재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5호

    육조정상탑전은 쌍계사의 개산(처음으로 산문을 연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삼법과 대비 두 화상이 신라 성덕왕 22년(723)에 중국 불교 선종의 제6대조인 혜능 조사의 정상(頭上:두상)을 모시고 와서, “설리갈화처(雪裏葛花處, 눈 속에 칡꽃이 핀 곳)에 봉안하라”는 불보살의 계시를 받고 호랑이의 인도로 이곳을 찾아와 정상을 봉안하고 산문을 연 데서 유래했습니다. 그 후 신라 문성왕 2년(840)에 진감 선사가 쌍계사 창건 당시에 건물을 짓고 육조영당이라 했습니다. 건물 안에 있는 육조정상탑은 7층으로 용담 선사가 세웠다고도 하며, 주변 목압사 터에서 옮겨 왔다고도 합니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입니다. 건물을 받치는 기단 없이 툇마루를 두어 지면과 떨어뜨린 것이 특징입니다. 기둥 위에서 지붕 처마를 받치는 공포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형식으로 지어졌습니다. 기둥 간격이 매우 좁고 높이가 낮아 건물이 작은 데 비해, 기둥머리의 장식이 많고 커서 화려하고 장중해 보입니다. 천장은 낮지만 건물 안의 기둥 장식들을 중앙으로 피어오르는 것처럼 만들었고, 탑의 위쪽에는 작은 집 모양의 닫집을 만들어 장엄한 느낌을 줍니다. 건물의 앞쪽에는 조선 후기 명필인 추사 김정희가 쓴 현판이 걸려있으며, 지금의 건물은 고산 화상이 1979년에 고쳐 지은 것입니다. 쌍계사 건물 가운데 균형미가 가장 돋보입니다.

  5. 쌍계사 방장실(고산대선사 기념관)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3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0038_47.jpg
     

    쌍계총림 초대방장이자 중창주이신 고산대선사님께서는 이 방장실에서 45년간 기거하시며 ‘불식촌음’을 실천하셨습니다.
    선사님의 뜻을 기리기 위하여 일생동안 사용하셨던 유품들을 전시하여 후학들에게 귀감으로 삼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