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55 건

소개
  1. 선운사 영산전 목조삼존불상 전북유형문화재 제 28호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6

    88e08556813cb45c6a07ebc25fb5ab41_1714993719_08.jpg
     

    대웅보전 서편의 영산전에 봉안된 목조삼존상으로서, 석가모니불 좌상을 주존으로 제화갈라보살과 미륵보살 입상이 양쪽에서 협시하고 있다. 석가모니불의 높이는 3m, 협시보살의 높이는 2.4m에 이르는 거대한 규모이며, 주존은 16각의 난간을 두른 목각연화대좌(木刻蓮花臺座)에 모셔져 있다.

    가운데 석가여래좌상은 몸에 비해 머리가 크고 육계는 없으며, 얼굴은 방형(方形)에 가깝다. 목부문 아래에 삼도(三道)가 좁게 표현되어 있고, 통견납의(通肩衲衣)의 간략한 의습에 가슴 밑 군의상단(裙衣上端)이 직선적이다.

    수인(手印)은 오른손을 무릎 위에서 손 등을 위로 하여 중지(中指)를 무릎에 접하고 있고, 왼손은 손 등을 밑으로 하여 제2지(第二指)와 무지(拇指)를 맞대고 있다.

    양 협시보살은 화려하게 장식된 보관(寶冠)을 쓰고 손에는 연꽃을 들고 있다. 이 삼존상은 목조불로서는 희귀한 우수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2. 선운사 육층석탑 전북유형문화재 제 29호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6

    88e08556813cb45c6a07ebc25fb5ab41_1714993675_77.jpg
     

    선운사 대웅전 앞마당에 자리하고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방형의 축대 안에 지대석을 놓고 그 위에 정사각형의 돌 윗변을 둥글게 처리한 하대석을 얹었다. 그 위에 다시 방형의 중석(中石)을 세우고 중석의 네 귀는 우주(隅柱)로 조각하였다.

    갑석(甲石)은 방형으로 되어 있는데, 아랫면은 수평으로 다듬고 중앙에는 1단의 받침을 새겼으며 윗면은 약간의 경사를 이룬 채 중앙에 1단의 옥신(屋身) 괴임이 있다. 각 층의 옥신은 하나의 돌로 만들고 네 귀마다 우주를 조각하였으며, 추녀는 수평을 유지한 채 하늘을 향해 약간 반전되어 있고 낙수면의 경사는 완만한 편이다.

    전체적으로 탑신의 2층 옥신 높이가 급격히 줄어들고 3층 옥개석 역시 2층에 비해 폭이 좁아져 체감률이 심한 편이며, 3층 이상부터는 동일한 체감률로 이루어져 있다. 6층의 옥개석 위에 노반이 있고 노반 위에 복발(覆鉢)이 남아 있으며, 그 위에 팔각의 귀꽃으로 각출된 보개(寶蓋)를 얹어 놓았다.

    사적기에는 조선 성종 때 행호선사(幸浩禪師)가 홀로 우뚝 솟은 이 9층 석탑을 보고 사찰의 중창을 도모하였다고 적고 있어, 현재의 탑은 성종 이후 3층이 유실된 것으로 추측된다.

  3. 선운사 범종 전북유형문화재 제 31호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6

    88e08556813cb45c6a07ebc25fb5ab41_1714993627_46.jpg
     

    선운사 천왕문 2층에 걸려 있는 조선 후기의 범종이다.

    종신(鍾身)의 높이는 103㎝, 구경(口徑) 93㎝, 견경(肩徑) 56㎝이며, 종을 매다는 고리인 용뉴를 포함한 전체의 총 높이는 129㎝이다.

    이 범종은 한국 범종의 특징인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용통이 없는 대신 윗면에 1개의 구멍을 뚫었고, 용뉴는 2마리 용으로 만들었다. 어깨부분에는 2줄의 선을 둘렀는데 선 안쪽으로 명문(銘文)을 새겼다. 몸체 중앙에는 3개의 돌출된 선을 둘러 위와 아래로 구분해 놓았고, 윗부분에는 연화당초문대(蓮花唐草紋帶)로 사각형 유곽대를 만들었으며, 그 안에 가운데가 돌출된 모양의 유두를 9개씩 두었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두 손을 마주 잡은 채 서 있는 보살을 양각하고, 머리 위로 8개의 작은 원을 만들어 원 안에 범자(梵字)를 하나씩 새겨 넣었다.

    용추는 머리부분이 외방을 향한 쌍두용(雙頭龍)을 투각하였고, 복잡한 세부처리는 주조한 다음 동편(銅片)을 잘라 부착시키는 수법을 사용하였다. 이 범종에는 음각된 '茂長縣禪雲寺大鍾重六百五十斤 嘉慶二十三年戊寅九月日 改鑄 都片手 嶺南 權東三 副 李命還…'이라는 명문이 있다.

    이를 살펴보면 순조 18년(1818)에 도편수 권동삼과 부편수 이명환에 의해 개주(改鑄)되었으며, 이때 선운사 주지인 처영(處英)스님이 도감으로서 주조를 감독하였음을 알 수 있다.

  4. 선운사 백파율사비 전북유형문화재 제 122호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6

    88e08556813cb45c6a07ebc25fb5ab41_1714993589_91.jpg
     

    백파율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조성한 이 비석은 선운사 입구로 들어서서 오른쪽 숲 속의 부도 밭에 세워져 있다.

    조선 철종 9년(1858)에 건립한 것으로 비명(碑銘)은 조선시대의 대명필가인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필적이다.

    조선조의 억불정책에도 불구하고 오랜 침체기를 헤치며 조선후기 불교의 참신한 종풍(宗風)을 일으킨 화엄종주(華嚴宗主) 백파율사의 업적이 적혀 있는 이 비석은, 율사의 업적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비석은 네모난 받침 위에 몸통을 세우고 지붕돌을 씌운 모습으로 되어 있다.

  5. 선운사 사적기 전북유형문화재 제 155호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6

    88e08556813cb45c6a07ebc25fb5ab41_1714993550_28.jpg
     

    선운사적(禪雲寺蹟)」ㆍ「참당사사적기(懺堂寺事蹟記)」ㆍ「운사고적(雲寺古蹟)」의 3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운사의 규모와 연혁 등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사적이다.

    「선운사적」은 조선 영조 22년(1746)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70㎝ 47㎝의 크기에 표지를 포함하여 총 29장이다.
    내용은 선운사 각 건물의 규모와 전각ㆍ요사에 봉안된 불상ㆍ탱화ㆍ기물(器物)ㆍ경전 등의 물목(物目)을 기록하였다.

    「참당사사적기」는 77㎝ 57㎝의 크기에 표지를 포함하여 총 21장이며, 참당사와 선운사의 사적이 기록되어 있다. 임상우(林相雨)가 정조 18년(1794)에 쓴 「도솔산대참사고사」와 『대참사법당기」, 호월자(浩月子)가 숙종 39년(1713)에 쓴 「대참사사적기」, 능허후인(凌虛後人)이 숙종 33년(1707)에 쓴 「선운사창수승적기」 등이 실려 있다.

    「운사고적」은 70㎝ 47㎝의 크기에 표지를 포함하여 총 31장이다. 숙종 33년(1713)에 능허후인이 쓴 「도솔산선운사창수승적기」와 계사년 5월에 쓴 「사중대종명(寺中大鍾銘)」, 광해 6년(1614)에 쓴 「전각요사창건연대방명열목」 등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