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34 건

소개
  1. 내소사 해우소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7

    9cc3e5f0041bf6637c78ba9a36f1c3b3_1715041115_57.jpg
     

    1640년 청민선사가 건립한 8평의 맞배지붕으로 된 재래식 화장실은 2층으로 되어 있으며 전면 일부를 흙으로 쌓아 지면과 평평하게 하여 출입구를 내었다.
    전체를 목재만을 이용해서 만들었는데 윗층을 타원형으로 뚫어 용변을 보게 만들었다. 목재가 부식되어 우암혜산선사가 1984년 해체 복원하였다.

  2. 내소사 능가원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7

    9cc3e5f0041bf6637c78ba9a36f1c3b3_1715041084_7.jpg
     

    2020년도에 증, 개축하여 관람객 편의시설 및 템플스테이 홍보관으로 사용

  3. 내소사 향적당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7

    9cc3e5f0041bf6637c78ba9a36f1c3b3_1715041052_88.jpg
     

    2020년도에 신축한 전통한옥 양식의 건축물로 템플스테이 전용관(1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체험, 학습을 위한 대방과 샤워실 등 편의시설을 갖춘 방사가 있다.

  4. 내소사 안심료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7

    9cc3e5f0041bf6637c78ba9a36f1c3b3_1715041014_95.jpg
     

    2020년도에 신축한 전통한옥 양식의 건축물로 템플스테이 전용관(2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참가자들의 편의를 위해 샤워실 등을 갖춘 방사가 있다.

  5. 내소사 대웅보전(大雄寶殿)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7

    9cc3e5f0041bf6637c78ba9a36f1c3b3_1715040573_98.jpg
     

    지정번호 : 보물 제291호
    지정연도 : 1963년 1월 21일
    소장 : 내소사
    시대 : 조선 중기
    크기 : 정면 3칸, 측면 3칸
    종류 : 불당

    대웅보전 안에는 석가 불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봉안되어 있고, 불화로는 영산후불탱화, 지장탱화 및 후불벽화로 '백의관음보살좌상'이 그려져 있는데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후불벽화로는 가장 규모가 큰 것이다. 관음조가 그렸다고 하는데, 자세히 살펴보니 정말 인간의 솜씨를 넘은 성스러운 모습이다. 관음보살님의 눈을 보면서 좌 우로 왔다 갔다 해보면 관음보살님 눈동자가 내가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데(물론 사람에 따라 안보일 수도 있다.), 눈동자가 움직이는 모습이 보이면 소원이 이루어 진다는 속설이 있다.
    대웅보전은 높게쌓은 기단위에 덤벙주초를 놓고 40尺×35尺의 정면 3칸, 측면 3칸인 단층 팔작집이다. 기둥간살은 넓은 편이며 중앙칸은 더넓으며, 기둥은 두껍고 낮아 평활하며 모서리 기둥에는 배흘림이, 안기둥에는 민흘림으로 안정감이 있다. 대웅보전의 공포는 외3 출목 내5 출목으로 내외출목간의 차이가 심한편이어서, 이러한 차이로 인해 내부공간은 높은 천장을 가지게 된다. 외부에서 공포는 살미끝이 심한 앙서형이고 살미에 연봉형의 조각이 새겨져 매우 장식적이고, 내부의 공포 역시 살미끝을 앙서형으로 처리했고 중도리 열주쪽은 빗반자를 사면으로 돌리고 그것을 다시 조각하였다. 정면창호는 2짝-4짝-2짝 구성으로 보다 더 안정감이 있으며 창호에는 정교하게 해바라기꽃, 연꽃, 국화꽃 등의 꽃무늬가 새겨져 있는데 그 새긴 모양이 문마다 다르고 섬세하고 아름다워 전설속의 목수가 얼마나 많은 공을 들였는지 엿볼 수 있다. 수백년의 세월속에 채색은 다 지워지고 나무결 무늬만 남아있지만 만져보면 감촉이 참 좋다. 대웅보전 현판은 원교 이광사(조선후기 유명한 서화가)가 쓴 글씨다.
    내부의 후불벽은 측면의 기둥열에서 약간 뒤로 물러나면서 내부공간을 확보하고 후불벽을 형성하였고 후불벽 뒷부분에는 유명한 '백의관음보살좌상'이 있는데, 이 그림은 바위에 앉아있는 백의를 입은 관음을 묘사한 것으로 조선말기의 작품으로 추정할 수 있다. 백색의 天衣는 중생의 소원을 들어주는 관세음보살의 특징을 잘 잡아낸 것으로 보이는데,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후불벽화로는 가장 규모가 큰 것이다. 불단의 기둥을 뒤로 물려 넓은 내부공간을 이루며 상부의 포작들은 연꽃봉오리모양으로 조각되어있고, 천장에도 가득히 장식을 했다. 안팎모두 장식으로 충만해 있지만 적절히 절제되고 통일되어 있어서 번잡한 인상은 주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