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9 건

소개
  1. 연곡사 3층 석탑 (보물 제151호)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9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878_18.jpg
     

    이 석탑은 기단이 3층으로 옥개석이 전형적인 방형탑으로 각층의기단이 여러개의 석재를 사용하여 건립되었다.
    하층기단은 지대석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위 아래에 하대 갑석과 하대 저석을 두고 그 사이에 낮은 하대 중석을 놓았다.

    하대중석 좌우에는 우주가 새겨져 있고 중앙에는 탱주가 도드라지게 새겨져 있다.
    하층 기단 갑석의 상면에는 중층 기단의 저석을 받치기 위한 낮은 단이 있다.
    이들 하층 기단의 석재는 하대 면석이 8개, 하대 갑석이 6개의 석재로 이루어졌다.
    중층 기단의 전반적인 모습은 하층 기단과 유사하나 갑석 바깥쪽으로 완만한 경사를 보이고 중앙에는 각형과 호형의 몰딩이 있다.
    중층기단의 면석은 6개, 중층기단 갑석은 3개의 석재로 결구되었다.

    상층 기단 역시 하층, 중층 기단보다 높아진 모습이며, 상층 기단 면석은 좁아졌고 각면에 우주와 탱주가 표현되었다.
    상층기단의 상대 갑석 아래에는 부연이 있고 상면은 비스듬하게 기울며 각지게 꺽인 2단의 탑신괴임을 두었다.
     사층기단 면석은 4개 갑석은 1개의 석재를 사용하였다.

    탑신부는 모든 층의 옥신에 우주가 표현되었으며,2층,3층의 옥신은 급격히 줄어 들었다.옥개는 한 개의 서재로 쌓았고 층급 받침은 모두 4단이다.

    이 석탑은 1967년 보수를 위해 해체,복원 되었으며, 해체과정중 상층 기단내 자연판 석상에서 높이 23.5CM 크기의 금동여래입상 1점이 발견되어 현재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이 불상은 턱이 양간 들려진 모습이며 머리에 비해 어깨가 좁고 전체적으로 경직되어 있다.

    이 금동불은 U자형으로 겹쳐지는 법의와 우수상,좌수하 형식의 수인, 상대 하대만 갖춘 대좌의 모습에서 통일신라 금동불 양식의 잔영을 발견할 수 있는데 경직된 상호, 자세, 의습으로 보아 고려초에 제작한 불상으로 추정된다.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888_36.jpg
     

  2.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보물 제152호)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9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778_18.jpg
     

    현각선사 탑비는 조선총독부 박물관 소장 탁본에 의하면 경종 4년(979)에 건립되었다고 한다.
    귀부는 지대석과 한 돌로 네다리를 사방으로 뻗쳐 납작 엎드린 형상이다.

    동승탑비와 반대로 왼쪽 앞발을 살짝 들고 있다. 비신 받침에 구멍이 나 있어 배수를 위한 시설로 보인다.
    조각 수법은 몸체에 비해 큰 머리나 비좌 사면에 안상과 귀꽃이 새겨져있다. 이수 앞면 중심에 현각선사탑비이라는 전액이 음각되어있다.

    문헌에 의하면 학사 왕융이 지었고 주국 장신원이 썼다고 한다.
    글씨는  2센치 정도의 해서로 구양순체를 바탕으로 하는 체이며 자형을 바르게 하여 고박한 글체를 나타내고 있다.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787_82.jpg
     

  3. 연곡사 의병장 고광순 순절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9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722_18.jpg
     


  4. 지리산 피아골 연곡사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9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774(내동리 산 54-1)번지에 위치한 연곡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9 교구 화엄사의 말사로 백제 성왕 22년 인도승 연기조사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엄계 사찰이었던 연곡사는 신라시대 말기부터 고려시대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승탑과 승탑비 및 현각선사탑비 (979년 건립) 등이 남아 있어 선종계 사찰로 성격이 바뀌었다.
    연곡사에 대한 고려시대 후기 기록으로는 목은 집에 이색이 연곡사 주지인 인우스님에게 서찰과 차를 받으면서 지은 시 정도가 남아있다.

    조선시대 전기 작성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연곡사가 구례 지리산에 위치하고, 고려시대 학사 왕융이 지은 현각선사비문이 남아있다.
    현각선사탑비의 명문을 알 수 있는 비편은 7개로 조선금석총람 122자, 금석유문 14자, 대동금석서 68자, 한국금석문대계 6자, 전남대학교 박물관 시굴조사 비편 12자, 연곡사 전주지 고봉스님 습득비편 2자,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비편 13자로 총 236 자이다.

    조선 시대 연곡사는 1598년 4월 10일에 왜적이 사찰에 들어와 살육을 자행하고 불을 질러 소실된 것을 조선 인조 5년(1627)에 소요대사 태능(1562-1649)에 의해 중건하였다. 조선후기(1745년) 연곡사를 율목주재봉산으로 삼아 연곡사 주지가 도제조가 되었다.

    정조 3년(1779) 동파당 정심선사가 대웅전을 중건하였으며, 현각선사비는 임진왜란 이후 문자의 획이 박락되다가 19세기 후반에 마침내 깨어졌다.
    구한말(1895년) 율목주재봉산이었던 연곡사는 밤나무 남용으로 사세가 기울어 승려들이 사방으로 흩어져 절이 폐망할 지경에 이르렀으며, 1907년 고광순이 의병을 거느리고 이곳에서 일본군과 싸우는 과정에서 다시 불타버렸다.
    1924년 박승봉이 연곡사 경내에 심우암을 창건하고 쌍계사 손범성 스님이 운영하다. 한국전쟁당시 피아골 전투로 다시 소실되었다.
    1965년 대웅전과 요사채를 겸한 전각을 건립하고,1981년에 종인스님이 대웅전을 헐고 대신 그 자리에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대적광전을 신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