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53 건

소개
  1. 대흥사 대웅보전(大雄寶殿)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11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342_73.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342_94.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343_15.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343_35.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343_54.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343_76.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343_96.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344_17.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344_4.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344_62.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344_83.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345_05.jpg
     

    대흥사의 중심법전으로 대흥사 가람 북원에 자리한다. 심진교와 침계루, 대웅보전이 남북으로 일직선을 이루며, 여기서 직교하여 좌측에 대향각과 우측에 백설당이 중정을 형성하며 배치되어 있다.

    정면 5칸, 측면 4칸의 단층 전각으로 다포계 양식의 팔작건물이다. 건물은 장대석으로 바른층쌓기 한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민흘림기둥을 세웠으며, 기둥머리는 창방으로 결구하여 평방을 얹었다.
    공포는 다포로 내삼출목(內三出目)ㆍ외이출목(外二出目)을 주간마다 2구씩 공간포를 놓았으며, 건물 안팎으로 화려한 조각솜씨를 뽐내듯 처마 아래 촘촘히 배열되어 있다. 포의 형상은 교두형(翹頭形)으로 외부로 뻗은 쇠서 위에 연봉을 조각하였으며, 내부는 모양을 판형으로 만들어 운봉형(雲峰形)으로 단장하였다.

    건물 전면은 주간 모두 2분합의 두툼한 빗살문을 달고 하부 2단을 구획하여 화려하게 수장된 안상문양과 태극문을 궁방에 치장하였다. 측면과 배면에는 중인방까지 막돌을 쌓아, 상부에 팔상도와 법당을 수호하는 사천왕도를 벽화로 장엄하고 있다.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372_03.jpg 


    특히 이 건물의 외부장엄 중 눈길을 끄는 것은 어칸 상부에 자리한 2행 종서의 ‘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는 편액이다. 원교(員嶠) 이광사(李匡師, 1705~1777)의 글씨로 추사와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현재 이 글은 백설당에 걸린 추사의 ‘무량수각’ 편액과 함께 대흥사 명필로 손꼽혀 장성 백양사 및 승주 송광사에서 그 글을 모각할 만큼 뛰어난 필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 건물 계단석 소맷돌에는 두 눈을 부릅뜬 사자머리 한 쌍이 주목을 끄는데, 구한말 일본 석공이 조각한 것으로 귀신상의 모습을 하고 있다. 대웅전 축대 앞에는 괘불을 고정한 용두를 조각하여 불전을 수호하는 벽사의 뜻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다.

    건물 내부는 우물마루 상부에 이단층의 우물천장을 가설하고 그 내부에 반자와 운궁형 닫집을 형성한 화려한 불전으로, 대들보 사이에 용두와 칠보문양을 단장하고 있다. 대들보는 자연목을 그대로 이용한 투박한 수법이지만, 대들보 위를 넘어서 뽑아낸 충량의 용두는 불전의 신성함을 더하며 다소 과장된 장엄의 극치를 보여준다.

    후불벽 앞에 가설된 수미단 상부에는 목조 삼세불을 비롯하여 육봉선사(六峯禪師)가 화주한 삼불회도가 헌괘되어 있으며, 중앙 불단 좌우로 20세기 초 대흥사 불화 조성에 참여한 명응환감(明應幻鑑)ㆍ예운상규(禮芸尙奎)와 그의 권속들이 그린 삼장탱ㆍ신중탱ㆍ칠성탱ㆍ감로탱 등이 봉안되어 있다. 이외 대웅보전에는 영단을 비롯하여 수미단 우측에 근래 조성된 목조관음보살좌상과 천수천안관음탱이 모셔져 있으며, 천장 상부에 서수를 탄 동자들이 비천하는 목조각이 장엄되어 있다.

    현재의 대웅전은 침계루에 걸린 ‘대웅전중창상량문(大雄殿重創上梁文)’과 ‘대웅전중건기(大雄殿重建記)’를 통해 1667년 건립되었다고 전해지나, 화려한 치장과 치목수법, 조각기법 등으로 보아 1899년 북원 일곽의 화재 이후 육봉선사의 발원으로 중건된 것으로 보여진다.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384_71.jpg
     


  2. 대흥사 응진전앞 삼층석탑(應眞殿前 三層石塔) 보물 제320호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11

    삼층석탑(보물 제320호)

    대흥사 산신각과 청운당 사이에 서 있는 탑으로, 전하는 말에 의하면 신라 자장(慈藏)이 중국에서 가져온 석가여래의 사리를 모신 사리탑이라 한다.
    탑의 형태는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신라의 일반형 석탑이다.
    아래·위층 기단은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도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처마가 두껍고 윗면은 경쾌하게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밑면에는 4단의 받침을 두었다.

    정상에는 머리장식으로 몸돌로 보일만큼 큰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 위에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 앙화(仰花:솟은 연꽃모양의 장식), 보륜(寶輪:바퀴모양의 장식) 등이 올려져 있다.
    탑신은 1층 몸돌에 비해 2층 이상의 몸돌 높이가 크게 줄었으나, 넓이는 거의 줄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통일신라의 석탑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기단의 가운데기둥수가 하나로 줄어들고, 지붕돌 밑면의 받침수가 4단인 점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에 세워진 작품으로 추측된다.
    대둔산 정상부근에 세워진 대흥사북미륵암삼층석탑(보물 제301호)과 함께 통일신라의 석탑양식이 서남단 지방에까지 전파되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1967년 1월 보수공사 때 기단 안에서 높이 12cm의 동조여래좌상(銅造如來坐像) 1구(軀)가 발견된 바 있다.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097_3.jpg
     

  3. 대흥사 응진당 산신각(應眞堂·山神閣)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11

    북원 일곽의 대웅보전 좌측에 자리한 이 건물은 왼쪽으로부터 응진당ㆍ산신각을 한 채에 연이어 수용한 점이 특이하다. 건립에 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사지에 의하면 북원 일대에 나한전이 있었고, 침계루 현판 중 ‘나한전급사리탑축장의록(羅漢殿及舍利塔築墻○義錄)’이라는 현판이 1917년 헌괘되어 있음을 살필 때 그렇게 오래전에 지어진 것은 아닌 듯하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주심포식 맞배건물로 2벌대의 장대석을 바른층쌓기 한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세웠다. 공포는 2익공으로 건물 전면에 1ㆍ2분합의 빗살문을 단장하고 측ㆍ배면에 막돌과 흰줄눈친 담장과 단청으로 장엄하였다.

    건물은 응진당이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구획되고 산신각이 정면 2칸, 측면 3칸으로 나누어지는데, 그 사이 판장으로 담을 쌓고 출입에 용이하도록 쪽문을 달아 놓았다. 그 어칸에는 흑지에 백서로 양각한 ‘응진당(應眞堂)’과 ‘산신각(山神閣)’ 두 기의 편액이 걸려 있으며, 그 중 응진당 편액은 명부전과 백설당의 편액을 쓴 해사(海士) 김성근(金聲根)의 글씨로 알려져 있다. 건물 내부는 우물마루 상부에 연등천장을 가설하고 불단을 설치한 모습으로, 천장 상부에는 구름 위를 비천하는 청룡과 황룡도가 장엄되어 있다.

    응진당은 목조석가삼존과 16나한ㆍ판관ㆍ사자ㆍ인왕을 권속으로 모시고, 그 후면에 1901년 금어 석옹철유(石翁喆侑) 외 5인이 조성한 석가모니후불탱과 16나한탱ㆍ 사자탱을 봉안하고 있으며, 불단 상부에는 관음과 세지의 보살패를 두고 있다. 산신각은 연등천장 상부에  황룡과 청룡도를 단청하고, 불단 위에 1901년 조성된 산신탱과 독성탱을 봉안하였다.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043_93.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044_04.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6044_52.jpg
     

  4. 대흥사 청운당(靑雲堂)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11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5934_41.jpg
     

    북원 일곽의 산신각 좌측에 자리한 청운당(靑雲堂)은 스님 및 재가 종무원들의 대중방으로, 현재 요사체 및 스님들 후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정면 7칸, 측면 3칸의 민도리집 맞배건물로 건물 전후에 툇마루를 가설하였다. 건물 외부는 2ㆍ3분합의 띠살문을 단장하고 외부 단청으로 장엄하였으며, 어칸 상부에는 흑지에 백서로 양각된 ‘청운당(靑雲堂)’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건물 내부는 감실형의 불단 위에 목조석가여래좌상과 석가모니후불탱이 봉안되어 있으며, 선방으로서의 내부시설을 갖추고 있다. 청운당 일곽에는 대중들이 이용할 수 있는 세면실과 휴게실이 갖추어져 있다.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5944_83.jpg
     


  5. 대흥사 명부전(冥府殿)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11

    고통받는 중생을 구제하는 지장보살을 봉안하고 있는 명부전은 대웅보전의 북서쪽에 남향하고 있다. 장대석으로 바른층쌓기 한 낮은 기단 위에 초석 없이 두리기둥을 세워서 정면 3칸, 측면 2칸을 구획하고, 상부 맞배지붕을 얹혀 세운 건물이다.

    건물은 1899년 북원 일곽의 화재 뒤 20세기 다시 건립된 것으로, 1901년 지장탱의 봉안과 함께 시왕과 명부권속들이 함께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건물 외부는 1ㆍ2분합의 빗살문으로 단장하고 단청으로 장엄하였으며, 공포는 주심포의 2익공 양식이다. 특히 어칸 상부에 걸려 있는 ‘명부전(冥府殿)’ 편액은 구한말 미불체의 대가인 해사(海士) 김성근(金聲根)의 글씨로, 그가 전라도 관찰사로 재직 중일 때 대흥사와의 교류를 짐작할 수 있다.

    건물 내부는 5량가로 우물마루 상부에 연등천장을 수장하고, 지장보살과 무독귀왕ㆍ도명존자의 삼존을 중앙 불단에 봉안하고 있다. 그 외 좌우로 ‘ㄷ’자형의 불단을 만들어 저승의 심판관인 시왕(十王)과 판관ㆍ녹사ㆍ사자 등 여러 명부의 권속들을 정렬하게 배치하고 있으며, 지장보살 뒷면에는 1901년 금어 경선응석(慶船應釋)이 그린 지장탱이 봉안되어 있다. 이 건물은 건축 양식상 주심포식 맞배집으로 특별한 특징은 없으나 20세기 초의 명부전 양식의 한 예로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

    불화로는 1901년에 조성된 지장후불탱화가 있다. 그 밖에 1906년(광무 10)에 쓴 <두륜산대흥사명부전헌답기> 현판이 걸려 있다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5765_91.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5766_39.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5766_57.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5766_71.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5766_85.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5766_99.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5767_14.jpg 


    0ba86e1a6ce03e03ea10fefc4559481f_1715375767_2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