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14 건

소개
  1. 다산과 혜장스님이 걷던 뿌리의 길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07

    acb889c05aa375a65f97c46485846d9b_1717744316_5.jpg
     

    다산 정약용과 전남 강진과의 인연은 조선 후기 정조가 세상을 떠난 직후인 1801년 11월에 시작됩니다. 신유박해에 뒤이은 황사영 백서사건에 연루된 다산은 마흔살에 한양에서 1000리나 떨어진 전라도 강진으로 유배를 오게 된 것이죠.

    낯선 땅 강진에서 다산이 처음 머문 곳은 강진읍 동문 주막집 뒷방입니다. 주막 할머니의 배려로 거처를 마련했으나 견디기 힘든 절망의 나날을 보내던 중, 주막 할머니로부터 '어찌 그냥 헛되이 사시려 하는가? 제자라도 기르셔야 하지 않겠는가?'라는 얘기를 듣고 마음을 추스려 1년만에 학당을 개설하고 제자를 맞았습니다.

    이후 다산은 "내가 강진에 귀양오기를 참 잘했다"라고 말할만큼 강진땅과 강진사람들을 좋아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동문 밖 주막집에 이어 절집, 제자 집을 거쳐 1808년 외가인 해남 윤씨가 마련해준 초당에 거처를 정합니다. 이곳에서 그는 귀양이 풀리기 까지 18년 동안 제자를 가르치며 600여 권의 저서를 남겼습니다.

    그때 쓴 책들이 <목민심서>, <흠흠신서>, <경세유표>와 같은 불후의 명저들입니다.


    acb889c05aa375a65f97c46485846d9b_1717744328_83.jpg
     

  2. 다산 정약용과 혜장스님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07

    acb889c05aa375a65f97c46485846d9b_1717744238_75.jpg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은 백련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인물입니다.

    다산 정약용이 강진에 유배 온 지 4년 후인 1805년 백련사의 아암 혜장선사(兒巖 惠藏禪師 1772~1811)를 찾아와 <주역>과 <역경> 이야기로 밤을 지새운 일화는 너무나도 유명합니다. 정약용은 혜장선사를 만나자마자 경학에 대한 그의 놀라운 이해와 식견에 찬탄했고, 혜장선사 역시 정약용의 학문에 깊이 빠져들고 말았습니다.

    혜장선사는 동문 밖 주막집에 머물고 있는 정약용에게 고성사 보은산방으로 거처를 옮겨 지낼 수 있도록 주선하였고, 이후 서로 친밀한 교류를 이어 갔습니다. 이 무렵 주고받은 편지를 모아 엮은 <견월첩(見月帖)>에는 서로를 향한 지극한 마음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정약용이 귤동 다산초당에 기거하게 된 것은 해남 윤씨의 자제들을 가르치기 위해서 였지만 백련사의 주지 혜장스님과 가까이 지내기 위함이기도 했습니다.

    다산과 아암은 나이가 열 살이나 차이 나고 유가의 경학자와 불가의 수도승이라는 입장 차이도 있었지만 나이와 종교의 벽을 훌쩍 뛰어넘어 진솔한 만남을 이어갔습니다. 이렇듯 파격적인 둘 사이의 교류는 이들이 속세의 한계를 뛰어넘어 인간사를 통찰하는 보편적 진리를 추구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당시 백련사의 본찰이었던 대흥사는 불경에 침잠(沈潛)하되 유가(儒家)와 도가(道家)에도 관심이 많았습니다.

    대흥사에서 스물아홉이라는 젊은 나이에 강백(講白, 지도자)을 지냈고 승려였지만 술을 즐겨 마실 정도로 자유로웠던 혜장선사에게 경학에 밝은 학자 정약용은 비록 귀양을 온 사람이지만 가뭄에 단비와 같은 존재로 여겨졌습니다. 백련사와 다산초당을 오가는 오솔길은 그런 둘 사이의 애틋한 사연이 담겨 있는 길입니다. 둘은 서로를 그리워한 나머지 하루가 멀다하게 숲길을 오가곤 했는데, 어느 날에는 하루종일 정담을 나눈 후 밤늦게 돌아와서도 다시 가서 보고 싶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혜장스님은 서른아홉살 나이에 요절하고 맙니다.

    정약용은 혜장선사의 입적을 몹시 슬퍼하면서 ‘아암(兒巖) 장공(藏公)의 탑명(塔銘)’을 써서 그를 기렸습니다. 이 글에서 정약용은 둘이 처음 만나 <주역>을 논하던 광경을 마치 사진처럼 선명하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혜장스님은 대흥사에 있던 초의선사(草衣禪師, 1786~1866)와 정약용의 교류를 주선했으며, 그의 제자 철경응언, 기어자굉, 침교법훈, 철선혜즙도 정약용과 교유했습니다.

    훗날 초의선사가 서울의 명망 있는 학자들과 교류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런 인연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차를 중심으로 한 이러한 인연은 백련사가 간직하고 있는 수많은 이야기 중 하나입니다.


    acb889c05aa375a65f97c46485846d9b_1717744251_7.jpg
     

  3. 차와 동백이 아름다운 천년고찰 백련사(白蓮寺)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07

    f977ae51b7790fd996812a1b6eccf0ed_1717716235_66.jpg
     

    차와 동백이 아름다운 천년고찰 백련사(白蓮寺)

    백련사는 신라 문성왕 때 무염국사(801~888)가 산 이름을 따라 만덕사(萬德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고 전해집니다. 이후 쇠락했다가 1211년(고려 희종 7년)에 원묘국사 요세(1163~1245) 스님에 의해 옛터에 중창되었고, 백련결사를 맺어 수행하면서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고려 후기 무시정권 시기에 정치와 종교는 제 기능을 상실했고, 몽고와 왜구의 침략으로 민중의 삶이 살육과 눈물로 점철된 고난의 시대에 요세 스님은 어둠의 한가운데에서 희망을 열어 가고자 했고, 현세의 인간에 대한 무한한 신뢰를 보여주는 결사운동을 벌였습니다. 이러한 백련결사는 개경에서 멀리 떨어진 남도 땅 끝에서 민중들과 함께 참회와 염불수행을 통해 정토세계를 염원하는 민간 결사운동이었습니다.


    f977ae51b7790fd996812a1b6eccf0ed_1717716266_58.jpg 


    당시 요세 스님을 필두로 한 변혁적 열망을 서원했던 스님들과 그 뜻에 공감한 개경의 국자감 유생들(23명), 그리고 지역의 토호 세력들이 주축이었고, 불교적 진리에 가까이 하고자 한 광범위한 대중들의 참여가 있었습니다. 백련결사는 그로부터 120여 년간 크게 번창하였습니다. 세상이 어지럽고 국권이 흔들리던 무렵, 승려들을 비롯한 당대의 수많은 유생들을 비롯한 지식인들과 수령방백들, 불교적 진리로 새로운 세상을 열어가고자 했던 백성들이 그 주역이었습니다. 그 힘이 전국에 퍼져 당시 경상도 상주 등 각지에 백련결사가 분포되었습니다.

    또 국교가 불교였던 고려 조정에서는 결사를 이끈 8분(원묘국사, 정명국사, 진정국사, 원조국사, 원혜국사, 진감국사, 목암국사)을 국사로 모셨습니다. 이 시기 고려사기를 보면 공민왕자가 1351년(충정3년)에 백련사에서 살았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크게 흥했으나 이내 나라가 혼란해지고 왜구가 세 차례나 사찰에 침입하여 폐허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이후 조선조가 성립된 뒤인 1430년(세종12년)에 행호대사가 효령대군의 후원으로 동원 20동과 서원 4동을 건립하고 왜구의 침입에 맞서 행호토성을 쌓고 사찰의 기틀을 다시 세웠습니다.


    f977ae51b7790fd996812a1b6eccf0ed_1717716284_61.jpg 


    세종의 둘째 형인 효령대군은 불교에 귀의하고 백련사에 입산하여 8년간 큰 법회를 여는 등 다양한 종교 활동을 하며 불/법/승(佛/法/僧) 삼보에 기원하는 수륙제를 지내기도 했습니다. 조선시대 말기에도 백련사는 청허 휴정선사의 의발을 전수 받은 8명의 종사(소요대사, 해운대사, 취여대사, 화악대사, 설봉대사, 송파대사, 정암대사, 연파대사)를 배출하며 법맥을 이어왔습니다. 백련사가 참 세상을 염원하는 상징으로 자리했던 것입니다. 일설에 의하면 ‘백련사에서 8국사와 12종사가 나온다’고 하였는데 8국사는 고려 때 나왔고, 조선시대 8종사가 배출되었으니 이로 볼 때 앞으로 4종사가 배출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f977ae51b7790fd996812a1b6eccf0ed_1717716298_91.jpg 


    다산 정약용(1762~1836)이 강진에 유배 내려와 백련사 인근 다산초당에서 여유당전서 500권을 찬술했을 때에는 대흥사 12대 강백을 지낸 아암 혜장선사(1772~1811)가 백련사 주지로 계시면서 다산과 종교와 나이를 초월한 애틋한 우정을 교유한 사찰로 유명합니다. 백련사에는 다산 정약용이 기거하며 저술활동을 펼쳤던 다산초당과 넓은 차밭, 천연기념물 제 151호 동백나무 숲 등이 그런 역사의 숨결을 간직한 채 여전히 오롯하게 남아있습니다.

  4. 백련사 문화재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13
    백련사 사적비 (보물 제1396호)

    이 비는 대웅전의 북서쪽으로 약 50m 떨어진 빈터에 자리잡고 있다. 조선 숙종 7년(1681) 5월에 세운 것으로 비문의 백련사의 중수, 원묘국사의 행적과 백련결사에 관한 내용 등이며 뒷면에는 이 비의 건립에 참여한 72명의 승려명과 인명이 음각되어 있다.

    백련사 원구형 부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3호)
    백련사 내에 있는 부도 중 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나 탑신이나 기단부에 당호 또는 기타 명문이 없어 그 주인공이 누구인지를 알 수 없다. 탑신은 원구형이며 탑신 당산쪽 사방으로 연꽃무늬의 연주문띠를 장식하고 있는데 이것은 매우 특이한 기법이다.

    백련사 대웅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6호)
    대웅전은 조선 후기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내부에는 목조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으로 앞면 2개의 주두에 용두를 장식하여 단청과 함게 전체적으로 화려한 느낌을 주는 다포식 건물이다.


    557f452dad236da9b3d272e2aa08bb13_1715560847_2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