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30 건

소개
  1. 보문사 사천왕상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1

    6d7071ec7f84ba44fcf3d8d963e6b8f9_1718037753_71.jpg
    6d7071ec7f84ba44fcf3d8d963e6b8f9_1718037753_8.jpg
     

    마치 저 옹기장이가
    흙을 개어 그릇을 만들었어도
    그것 모두 깨어지는 것처럼
    사람의 목숨도 그러하니라. (법구경)

  2. 6d7071ec7f84ba44fcf3d8d963e6b8f9_1718037282_64.jpg
    보문사 전각 배치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1
    6d7071ec7f84ba44fcf3d8d963e6b8f9_1718037282_64.jpg
     

    1 석굴암 / 2 산령각 / 3 묘보탑 / 4 법보전 / 5 극락전 / 6 선불장 / 7 종무소, 공양간 / 8 범종루 / 9 진여단 / 10 보광전
    11 시왕전 / 12 묘승전 / 13 심우당 / 14 극락보전 / 15 노전 / 16 삼성각 / 17 관음전 / 18 중실 / 19 동별당 / 20 서별당
    21 청화당 / 22 남별당 / 23 쉼터(만남의장소) / 24 향운각 / 25 호지문, 사천왕 / 26 수위실 / 27 화장실 / 28 만불전, 은영유치원, 어린이집
    29 외부주차장 / 30 명상숲길 / 31 보암당 은영큰스님 공덕비

  3. 보문사 석굴암(石窟庵)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1

    6d7071ec7f84ba44fcf3d8d963e6b8f9_1718037258_42.jpg
     

    보문사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바로 이 석굴암이다.

    보문사 석굴암은 삼각산 자락의 암산을 살려 조성한 인공석굴로 경주 석굴암(국보 제24호)을 모본으로 하여 조성하였다. 1970년 3월에 시작하여 23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호남지방의 화강석과 경기석등 총 2,400톤의 화강석이 사용되었다. 주불은 15톤의 원석으로 제작되었으며, 높이는 3.38미터이다. 전체적인 것은 경주 석굴암의 문이 정면에 하나인데 비해서 이곳은 세 곳의 문을 두었고 경주 석굴암 전실에 있는 팔부신장이 생략되었다.

    석굴암 내부 성현(石窟巖 內部 聖賢)의 배치는 본존불을 기준으로 좌로부터 제석천왕 - 문수보살 - 다문제일아난존자 - 십일면관세음보살 - 설법제일부루나존자 - 해공제일수보리존자 - 두타제일가섭존자 - 신통제일목건련존자 - 지혜제일사리불존자 - 보현보살 - 대범천왕 순(順)이며, 위 감실 안의 좌상은 좌로부터 다보탑 - 선의보살 - 바수밀보살 - 동자보살 - 정취보살 - 외도보살 - 비구보살 - 미륵보살 - 장자보살 - 석가탑 순이다.

    그리고 외부 입상은 좌로부터 나라연금강 - 다문천왕 - 증장천왕 - 광목천왕 - 지국천왕 - 밀적금강 순이다.

  4. 보문사 산령각(山靈閣)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1

    6d7071ec7f84ba44fcf3d8d963e6b8f9_1718037213_99.jpg
     

    석굴암 오른쪽에는 산신과 독성님을 함께 봉안한 산령각이 자리한다.

    산신은 불교가 전래되기 전에 많이 믿던 토착신으로 산지가 70%나 되는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말에 이르기까지 산신신앙이 널리 유행하였다. 이 산신은 불교에 수용되면서 호법신중(護法神衆)의 하나로 자리 잡았고, 보문사에서 가장 명당이라는 이곳에 은영스님이 1963년에 건축하여 지금까지 불자들의 귀의처가 되고 있다.

  5. 보문사 묘보탑(妙寶塔) 부처님 진신사리 봉안탑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1

    6d7071ec7f84ba44fcf3d8d963e6b8f9_1718037183_18.jpg
     

    석굴암이 있는 왼쪽 산자락에 자운(慈雲)율사께서 스리랑카에서 모셔온 부처님의 치아(齒牙) · 정골(頂骨)등 진신사리 3과가 봉안된 구층석탑 묘보탑(妙寶塔)이 자리하고 있다.

    보문사 팔각 구층 사리석탑은 월정사 구층탑을 모본으로 하여 1977년도 동원정사 신축공사 직후 조성하기 시작하여 1979년 완성하였다. 탑신은 위로 올라 갈수록 점점 좁아지며 노반(露盤), 복발(覆鉢), 앙화(仰花), 보륜(寶輪), 보개(寶蓋), 수연(水煙) 등은 모두 석재로 만들었고 하단에는 팔정도를 뜻하는 팔엽화(八葉花)가 조각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