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 86 건

소개
  1. 흥천사 극락보전 신중도(興天寺 極樂寶殿 神衆圖)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2

    5acc405df0d6e700e52b6f7c09e04339_1718197468_41.jpg
     

    흥천사 극락보전 신중도(興天寺 極樂寶殿 神衆圖)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407호


    군도형식의 신중도로서, 화면을 상하로 나누어 상단에는 제석·범천 등 천부세계를 표현하고, 하단에는 위태천을 중심으로 천룡부를 나타내고 있다. 남아있는 화기 내용 으로 보아, 광서 11년인 1885년 대허체훈(大虛體□訓)이 책임화승을 맡고 보조화승으로 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 활약했던 서울경기지역의 대표적 화승 중 한명인 비구 긍법(比丘肯□法)에 의해 조성된 왕실발원 불화로 짐작된다.


    참여 화승들이 만세루에 봉안된 1890년 작 신중도 제작에도 동참하였으며 두 신중도가 공간배치 및 도상이 거의 일치하고 있어 두 불화의 영향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에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흥천사 천룡도(興天寺 天龍圖)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2

    5acc405df0d6e700e52b6f7c09e04339_1718197400_04.jpg
     

    흥천사 천룡도(興天寺 天龍圖)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408호


    흥천사 천룡도는 위태천과 천룡팔부를 함께 그린 것으로서 흥천사 극락보전에 봉 안되어 있다. 화면 중앙에 위태천이 합장하고 서 있으며 천녀와 일월천자, 여러 신중 들이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인물표현에 음영법이 사용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붉은색 이 많이 사용되고, 일부 화려한 금박이 사용되어 19세기 서울·경기지역 불화의 특색 을 보여준다. 화기에 의하면 1898년 용담(蓉潭)이 초본을 그렸다.


    신중도 중 천룡도 형식은 예가 많지 않은 가운데, 19세기 말 서울·경기지역의 천룡 도 양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할 가치가 있다.


  3. 흥천사 만세루 아미타불회도 (興天寺 萬歲樓 阿彌陀佛會圖)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2

    5acc405df0d6e700e52b6f7c09e04339_1718197354_07.jpg
     

    흥천사 만세루 아미타불회도(興天寺 萬歲樓 阿彌陀佛會圖)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409호


    만세루에 봉안된 아미타불회도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보살, 십대제자, 사천왕 등 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궁들이 시주한 왕실발원 불화로 금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이 불화는 수화승 긍조(亘照)를 비롯하여 만파정익(萬波定翼), 혜산축연(慧山竺 衍), 보암긍법(普庵肯法) 등 주로 19세기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왕성하게 활동했 던 화승들이 조성하였다. 조성연대는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1890년 제작된 만세루 의 신중도에 수화승 긍조 등이 참여한 바, 만세루 신중도와 함께 제작된 것으로 추 정된다. 저명한 화승인 긍조가 수화승으로 참여한 왕실발원의 불화로서 서울시 유형 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4. 흥천사 만세루 신중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2

    5acc405df0d6e700e52b6f7c09e04339_1718197305_34.jpg
     

    흥천사 만세루 신중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410호


    화면을 상하로 나누어 상단에는 제석범천 등 천부세계를 나타내고, 하단에는 천 룡부를 표현하였다. 극락보전에 봉안된 1885년 조성의 신중도와 채색에서만 약간의 차이를 보일 뿐 도상이 거의 일치하고 있는데, 이 신중도의 조성에 참여한 화승(碧㶏 □誌□閑, 比丘肯□法)이 극락보전 신중도 조성에도 참여한 사실에서 관련성을 찾을 수 있 다.


    화면 하단의 화기 내용으로 보아 광서 16년인 1890년 긍조(亘照)가 수화승을 맡 았다. 화기에 의해 조성연대, 봉안사찰, 조성화승이 명확하며, 동참화승의 기록을 통 해 극락보전 신중도와의 영향관계 및 화풍 파악, 19세기 후반 서울·경기지역의 신중 도 도상 비교 등을 위한 자료적 가치가 있어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하는 바이다.

  5. 흥천사 만세루 제석천도(興天寺 萬歲樓 帝釋天圖)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2

    5acc405df0d6e700e52b6f7c09e04339_1718197254_86.jpg
     

    흥천사 만세루 제석천도(興天寺 萬歲樓 帝釋天圖)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411호


    제석천을 중심으로 천부세계를 표현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의 신중도로, 화면 중앙에 제석천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을 이루며 천부중과 여신 등 권속들이 배치되어 있다.


    화면 하단 중앙에 화기가 있으며, 조성연대, 봉안처, 화승, 시주자 등을 기록하였 다. 광서 16년인 1890년 도편수 ‘긍조(亘照)’가 책임화승을 맡고 ‘정익’과 ‘성전’이 참여하였다.


    조성연대와 봉안사찰, 조성화원 등이 명확하며, 19세기 후반 한성부과 경기도 지 역의 제석천 중심의 신중도 도상을 보여주는 자료로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