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선사 마애불입상 > 서울특별시 Seoul, 02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문화재]  도선사 마애불입상

02-993-3161~3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173길 504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 산 69 도선사

성보문화재

  스크랩     0건

도선사 마애불입상 (시도유형문화재 제34호)

도선사의 대표적인 유물로 손꼽히는 <마애불입상>은 대웅전 뒤편 석불전 영역에 있는데, 높이 20m 정도의 커다란 바위 면에 얕게 돋을새김한 여래상으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4호로 지정되어 있다.

석벽(石壁) 상단에 보개(寶蓋)를 만들기 위해 암벽을 파내고 직사각형의 석재 일곱 개를 끼워 넣었고, 근래에는 <마애불입상> 주변으로 청동 보호각을 설치하였다. <마애불입상> 앞쪽으로는 예배를 드릴 수 있는 넓은 공간이 있고, 1887년에 세운 <칠층석탑>과 조선말기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는 <석등>이 자리하고 있다.

<마애불입상>은 소발(素髮)의 머리 위에 낮은 육계(肉髻)가 솟아 있다. 머리 중앙에는 부채꼴의 중앙계주가 새겨져 있고, 각진 얼굴에 가늘게 뜬 눈을 음각으로 처리하여 눈두덩과 눈 밑 살이 두툼해 보인다. 코는 넓은 콧등과 둥근 콧볼 및 반달 모양의 콧구멍을 표현하였으며, 인중이 짧고 입은 작아 전체적으로 평면적인 느낌이다. 작은 입주변으로는 수염을 새겼다. 사적기 등에 언급된 것처럼 도선국사에 의해 조성된 상으로 보기에는 양식적인 면에서 다소 차이가 있어 신라시대 조성설은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양식적인 특징으로 미루어 보아 고려시대에 유행했던 마애불입상 양식을 이어받아 조선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사진과 현재의 모습을 비교해 보면, 청동으로 제작한 보호각과 공양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구조물은 근래에 새롭게 만든 것임을 알 수 있다. 머리 위쪽에 보개 역할을 하는 석재 일부는 근래에 보수한 것이다. <마애불입상>앞쪽으로는 공양단이 설치되어 있다.


aab752d6df5eb12ff359df75e90d3892_1646003270_06.jpg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개암사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 보경사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보경로 523
  • 선운사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 구룡사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 구룡사로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