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림사 대웅전 > 경상북도 Gyeongsangbuk-do, 054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전각]  송림사 대웅전

054-976-8116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림길 73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91-6

전각

  스크랩     0건

지정번호 : 보물 제2131호
지정일 : 2021년 7월 21일
소유자 : 송림사
관리자 : 송림사
수량(면적) : 1동(147.92㎡)

이 건물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다포계 겹처마 맞배지붕으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정면 3칸, 측면 3칸 건물이 유형화되는 흐름 속에서 당시 송림사는 다른 사찰과는 구별되는 지위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승려장인 각원이 조선 인조 27년(1649)에 대웅전을 재건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으며, 편액은 숙종(1674~1720 재위)의 어필로 알려져 있다.
대웅전에 관한 기록은 『대웅전중수기』(1775), 『칠곡송림사대웅전중수상량문』(1850) 등에 남아있다.
이 기록에 의하면 선조 30년(1597)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영조 31년(1755)과 철종 1년(1850)에 중수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양난 이후 서서히 살아나는 불교건축은 17세기 후반 맞배지붕의 다포 주불전 건물이 일반화되며 송림사 대웅전은 이에 속하는 대표적인 건물 중 하나이다.
특히 경상도 일원에서 조성된 가장 큰 다포계 맞배지붕 건물로서 공포의 형식, 배면의 창호, 신방목, 불단의 조각수법 등은 당시 건축 및 장엄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aab752d6df5eb12ff359df75e90d3892_1645203122_77.jpg
aab752d6df5eb12ff359df75e90d3892_1645203122_61.jpg
 

대웅전이란 법화경에 석가모니 부처님을 큰 영웅, 즉 대웅이라 한데서 유래한 것으로 석가모니 부처님이 계시는 집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대웅전에는 석가모니 부처님만 모셔야 하지만, 대웅이 모든 부처님을 가르키는 위대한 어른이란 뜻이므로 모든 부처님을 모시고 대웅전이란 현판을 걸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사찰에서는 일반적으로 법당의 중앙에 석가모니 부처님을 중심으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의 3존을 모셔놓은 법당을 대웅전 혹은 대웅보전이라 합니다.
또한 석가모니 부처님을 중심으로 불단을 바라볼 때 오른쪽에 동방 유리광세계의 교주인 약사여래부처님과 왼쪽에 서방 극락세계의 교주인 아미타부처님을 모시고 그 전각을 대웅보전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의 부처님들은 공간적으로 삼세계를 대표하므로 삼세불이라 부르는데, 조선시대에 조성된 큰 사찰에서는 대웅보전 내에 삼세불상과 함께 삼세불화를 봉안한 곳이 많습니다.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석가모니 부처님은 B.C 623년(지금으로부터 약2600여년전)에 히말라야의 산기슭, 즉 오늘날의 네팔 국경지대에 있는 룸비니 동산에서 태어나셨습니다.
그 날이 음력 4월 8일 이라고 해서 우리는 사월 초파일을 부처님 오신날로 정해 기리고 있습니다.
석가모니의 아버지는 석가(Sakya 사카)족의 왕 정반왕(Suddho-dana숫도다나) 이였으며, 어머니는 마야(Maya)부인 였습니다
깨닫기전 이름은 고타마 싯다르타(Gotama Siddharata)였습니다. 여기서 고타마란 가족명, 즉 성(性)을 말하는데, 좋은 소를 일컫는 의미로 중국에서는 구담(瞿曇)이라고 번역했습니다.
싯다르타(실달타悉達陀)란 목적을 달성한 자, 뜻을 성취한 자라는 의미입니다.   
이 싯다르타 태자가 훗날 피골이 상접할 정도로 처절한 고행과, 그 고행마저 부정하는 철저한 수행 끝에 깨달음을 얻어 석가모니(Sakyamuni)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석가란 출신 부족을 일컫는 말이요, 모니란 존귀한 자를 뜻하는 말로 석가족 출신의 존귀한 자라는 뜻입니다. 한마디로 석가모니란 석가족의 고타마라는 성을 가진 존귀하신 분입니다.
고타마 싯다르타는 깨달았으므로 고타마 붓다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고타마는 고유 명사이지만 붓다는 깨달은 자를 뜻하는 보통명사입니다.
불전(佛傳)에 의하면 고타마 싯다르타는 태어나자마자 일곱 발자국을 걸으면서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天上天下 唯我獨尊, 三界皆苦 我當安之) 즉, “하늘과 땅 사이에 오직 나홀로 존귀하다,
세상이 모두 고통이니 내가 마땅히 이를 편안케 하리라” 고 외쳤다고 합니다.
이러한 사실을 액면 그대로 믿을 수는 없을 것입니다. 거기에는 신화적인 포장이 엿보입니다.
그러나 신화라 하여 그것이 전혀 허무맹랑한 이야기는 아닐 것입니다.
신화 속에는 실존의 의미가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신화적인 이야기라 하여 일소에 붙칠 것이 아니라 그 신화를 탈신화하여 실존적인 의미를 되새기는 작업이 중요하다 하겠습니다.
일곱 발자국을 걸은 것은 여섯 가지 즉, 천상,인간,수라,축생,아귀,지옥의 윤회의 수레바퀴에서 크게 한 발 더 건너뛰었다는 상징적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라는 외침은 ‘나 하나만의 제일’이라는 독아론(獨我論)적 발언이 아니라 “신에 의지하거나 물질에 의지하는 의타심을 벗어나, 인간의 고귀함과 자존성에 대한 우렁찬 외침이며 천지건곤(天地乾坤)을 당당하게 거니는 인간의 본래 모습에 대한 확신에 찬 외침”인 것입니다.
이러한 의미를 되살려 오늘날에도 사월 초파일이 오면 자그마한 탄생불에 관불(灌佛)의식을 합니다.
이는 석가모니 탄생시 하늘에서 용이 내려와 싯다르타의 몸에 향탕(香湯)을 부었다는 데서 유래하지만, 그 진정한 의미는 탄생불에 물을 부으면서 인간의 존귀한 가치와 그 가치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지 스스로 되새기는 것입니다.
싯다르타는 16세에 아쇼다라(Yasodhara)를 만나 결혼해서 아들 라훌라(Rahulla)를 낳고는 생의 아수라장으로부터 벗어나고자 29세에 출가를 감행했습니다.
이를 위대한 포기(The Great Renunciation)라 합니다. 왜 위대한 포기인가?
부친을 이어 일국의 왕이 될 왕자가 왕국과 아름다운 부인과 그리고 귀여운 자식을 뒤로하고, 일반인으로서는 도저히 엄두도 못낼 일을 감행한 결과 그 떠남에서, 자기 버림에서 커다란 깨달음을 얻어 깨침의 빛이 영원토록 사바세계를 비추어 뭇 생명의 갈 길을 인도해 주었기 때문입니다. 바로 교묘하게 위장된 집단적 이기성의 대명사로 곧잘 표현되는 가정이나 국가의 테두리를 박차고 나가 보편적 인류의 지평을 열었던 것입니다.
그러한 지평을 연 깨달음은 6년간 각고의 수행 끝에 새벽 별을 보시고 깨달음을 얻으셨던 것입니다. 드디어 싯다르타는 마음속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던 번뇌 더미를 단숨에 쓸어버리고 위대한 승리자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대웅(大雄)이라 하며, 그 분을 모신 궁전을 대웅전(大雄殿)이라고 칭하게 된 것입니다.
그 때 고타마 붓다의 나이 35세. 그날이 음력 12월 8일로 우리나라에서는 성도제일이라 하여 전국의 사원에서 철야 용맹정진을 합니다.
깨달은 그 날을 기념하여 부처님처럼 치열하게 정진하는 것입니다.
커다란 깨달음을 얻은 후 80세에 이르러 열반에 이르기까지 석가모니 부처님은 어느 한곳에 머물지 않고 길에서 길로 진리의 전파에 나선 것입니다.
자신의 가르침을 뗏목에 비유하여 강을 건너고 난 뒤에 뗏목에 대한 집착을 버리듯 자신의 가르침에도 애착하지 말 것을 당부하였습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45년 동안 교화하고 다니셨지만 자신은 한 마디도 말 한바가 없노라고 했습니다.
열반에 들려 할 때 20년 동안 그의 곁에서 시중을 들었던 아난(阿難)이 흐느끼면서 마지막 설법을 간청하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스스로를 등불로 삼고 스스로에 의지하라, 진리를 등불로 삼고 진리에 의지하라” 『자등명 자귀의, 법등명 법귀의 自燈明 自歸依, 法燈明 法歸依』
“내가 간 후에는 내가 말한 가르침이 곧 너희들의 스승이 될 것이다.
모든 것은 덧없이 흘러가니 쉬지 말고 정진하라.”고하셨던 것입니다.
석가모니부처님의 형상은 자금색으로 조성되며 그 수인은 대체로 항마촉지인으로 조성됩니다.
그러나 그 기능과 역할에 따라 설법인 선정인 여원인 시무외인 등 다른 수인의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석가모니부처님의 가사는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우견편단식과 양어깨를 덮는 통견식이 있습니다.


aab752d6df5eb12ff359df75e90d3892_1645196520_63.jpg 

문수보살(文殊菩薩)
석가모니불이나 비로자나불의 좌 협시보살로서 부처님의 지혜를 상징하는 분입니다.
따라서 왼손에는 지혜를 나타내는 여의주나 칼, 오른손에는 청련화를 들고 있으며 해태(사자와 비슷함)를 탄 모습으로 조성하여 모시기도 합니다.
문수보살이 해태를 타고 날카로운 칼을 차고서는 어떠한 장애도 베어 버리고 모든 번뇌를 없애는데 그침이 없는 지혜를 나타내는 보살입니다.
문수보살은 사위국의 바라문의 아들로서 석가모니 부처님 입멸 후 이 세상에 출생했던 실존 인물이라고도 하고 여러 보살들과 더불어 대승경전을 결집했다 하나, 그 역사적 근거는 희박합니다. 지혜를 강조하여 문수보살는 모든 불보살의 어버이요, 모든 부처님은 그의 제자라는 설이 나오기까지 합니다.
불교에서는 지혜를 일러 반야(般若)라 하는데, 이는 이분대립적인 지식을 뛰어넘는 초월지(超越智)로서 어떠한 사태를 상대적, 부분적으로 아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사태와 완전히 하나가 되어 이치를 꿰뚫는 것을 말합니다. 그것이 바로 공(空)에 투철한 진여(眞如)입니다.


aab752d6df5eb12ff359df75e90d3892_1645196434_04.jpg
 


보현보살(普賢菩薩)
석가모니불이나 비로자나불의 우 협시보살로서 부처님 자비의 실천적 행위을 상징하므로 흔히 연꽃(연꽃위에 경책을 얹기도 함)을 들고, 흰 코끼리를 탄 모습과 혹은 연화대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조성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보현보살은 세계 곳곳에 빠짐없이 모습을 드러내는데, 그 나타나는 모습이 가장 뛰어나기 때문에 바로 문수보살의 智(지)와 대응하는 실천적이고 구도적 행(行)의 보살로 일컬어지고 있습니다.
문수보살이 해태를 타고 날카로운 칼을 차고서는 어떠한 장애도 베어 버리고 모든 번뇌를 없애는데 그침이 없는 지혜를 나타내는 보살이라면, 보현보살은 월색(月色)의 몸을 한 채 여섯 개의 상아를 지닌 흰 코끼리를 타고 두루 일체의 장소에 몸을 나투어 청량의 빛으로서 중생을 길러내는 자비를 상징하는 보살입니다.
이렇게 보현보살이 흰 코끼리를 탄 모습으로 그려지는 근거는 “법화경”- ‘보현보살권발품’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aab752d6df5eb12ff359df75e90d3892_1645196447_48.jpg
 

aab752d6df5eb12ff359df75e90d3892_1645196642_87.jpg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개암사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 송광사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 봉선사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
  • 화엄사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