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3교구 신흥사 > 강원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메인으로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3교구 신흥사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소개글 1개 / 자유게시판 0개 등록
위시리스트0
대표전화 033-636-7393
   033-636-7044, 템플스테이 033-636-8001, 회계 033-636-7393
팩스 033-636-7556
홈페이지 http://www.sinheungsa.kr/
  주소 강원 속초시 설악산로 1137
   강원 속초시 설악동 170 신흥사
   1137, Seoraksan-ro, Sokcho-si, Gangwon-do
Tag 전통사찰, 설악산신흥사
  • 상품 정보

    상세설명

    신흥사는 652년(신라 진덕여왕 6년)에 자장(慈藏)율사가 설악산의 동쪽에 창건한 향성사에서 비롯되었다.
    자장율사는 향성사, 계조암, 능인암을 창건하였고 구층탑을 만들어 부처님 사리를 봉안했다고 한다.
    698년(효소 왕 7년)에 향성사와 능인암이 불에 타고 3년 뒤 의상조사가 향성사를 능인암터에 중건해 선정사라 개칭하여 약 1,000여년 동안 번창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구층탑이 파괴되고 선정서 화재에 소실되었다.
    후에 선정사 옛터 10리 아래 절을 중건하였는데 세 명의 스님 꿈에 이 곳에 절을 지으면 3재가 범하지 않고 널리 불법을 펼 수 있는 도량이 될 것이라 일러주는 꿈을 똑같이 꾸고 절터를 잡아 신흥사라 하였다고 한다.
    본래는 절 위에 미륵봉과 피팔라굴이라고 불리는 곳이 있어 미륵불이 피팔라굴에서 출현한다고 하는 <화엄경>의 내용처럼 장차 이 곳이 미륵불이 출현할 불연의 땅으로 그를 위해 새로운 법등을 일으켜 갈 것이라는 서원과 바람을 담아 신흥사라 하였다.
    신흥사에는 1651년(조선 효종2년)한자와 한글, 범어가 함께 쓰여진 부모은중경언해본, 묘법연화경, 다라니경 등 경판 280매가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9기의 부도와 6기의 비석이 있는 절 입구의 부도군이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15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외에도 효종이 하사한 향로와 김정희의 글씨 등이 있고, 순조가 하사하여 역대 왕조의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도록 했던 청동시루가 있으며, 1,400년 전 향성사의 종 이라고 전하는 범종과 6척 크기의 비자나무통에 황우 6마리분의 가죽으로 만들었다는 법고가 보제루에 보관되어 있다.
    또한 절 일원이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7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산내 암자로 선정사의 옛터에 세워진 내 원암과 계조암, 1785년(조선 정조9년)에 창건한 안양암 등이 있다.

    신흥사의 역사
    전통을 지닌 관음도량 신흥사(新興寺)는 설악산(雪嶽山)의 신비한 기운과 빼어난 자태를 배경으로 고즈넉하게 자리했으며, 신흥사 사적기에 따르면 신라 진덕여왕 6년(서기 652)에 자장율사가 설악산 동쪽에 향성사(香城寺)를 창건했습니다.
    향성사라는 이름은 불교의 중향성 불토국이라는 글에서 따온 것인데, 중향성은 금강산 철위산을 의미하고 불토국은 부처님께서 교화할 대상적 국토라는 의미와 정치적 형태의 국가를 의미합니다.
    처음 향성사지는 지금의 켄싱턴호텔 자리에 세워져 46년간 존속하다가 효소왕 7년 (서기 698)에 능인암과 함께 화재로 소실되고 현재는 켄싱턴호텔 앞쪽에 3층 석탑만 남아있습니다.

    향성사(香城寺)는 화재 후 3년 동안은 폐허로 남아있었습니다.
    그 후 의상조사께서 능임암(현재 내원암) 터에 다시 절을 중건하고 사명(寺名)을 선정사(禪定寺)라고 했습니다.
    이후 1,000여 년간 번창했지만 1642년(인조 20년)에 소실되자 영서, 연옥, 혜원 스님만 남고 모든 스님들도 떠났습니다.
    그런데 이 세 분의 스님이 불사기도 발원을 정진하던 중 이 세 분의 꿈에 백발신인이 나타나 지금의 신흥사 터를 점지하며 "이곳에 절을 지으면 수만 년이 지나도 삼재가 미치지 못하는 신역이니라"는 말씀 끝에 홀연히 사라지셨습니다.
    그리하여 1644년 그 자리에 세운 절이 지금의 신흥사(新興寺)입니다.
    처음에는 절 이름을 '신인(神人)이 길지를 점지해 흥왕(興旺)하게 되었다'는 뜻의 신흥사(神興寺)라 하였으나, 최근에는 새롭게 일어난다는 뜻의 신흥사(新興寺)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504f91fa29506fe180f6e30bbff6e398_1644144502_63.jpg
    504f91fa29506fe180f6e30bbff6e398_1644144499_4.jpg
    504f91fa29506fe180f6e30bbff6e398_1644144500_02.jpg
    504f91fa29506fe180f6e30bbff6e398_1644144502_41.jpg
    504f91fa29506fe180f6e30bbff6e398_1644144501_85.jpg
    504f91fa29506fe180f6e30bbff6e398_1644144501_46.jpg
    504f91fa29506fe180f6e30bbff6e398_1644144500_21.jpg
    504f91fa29506fe180f6e30bbff6e398_1644144500_79.jpg
    504f91fa29506fe180f6e30bbff6e398_1644144501_06.jpg
    504f91fa29506fe180f6e30bbff6e398_1644144502_17.jpgb5ca0b6c252914150ef4b6fe29be400c_1713861282_56.jpg504f91fa29506fe180f6e30bbff6e398_1644144500_52.jpg504f91fa29506fe180f6e30bbff6e398_1644144501_62.jpg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67476_44.jpg
    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67475_95.jpg
    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67475_43.jpg

    50m
    Kakao 맵으로 이동(새창열림)
    , 국토지리정보원, OpenStreet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