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대각사 > 서울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메인으로

대한불교조계종 대각사 Daegaksa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소개글 2개 / 자유게시판 0개 등록
위시리스트0
대표전화 02-744-4502
   02-744-4503
팩스 02-742-2126
이메일 daegaksa1234@naver.com
  주지 반야종원 합장
홈페이지 http://daegaksa.kr/
  주소 서울 종로구 율곡로10길 87
   서울 종로구 봉익동 2 대각사
   87 Yulgok-ro 10-gil, Jongno-gu, Seoul
Tag 전통사찰, 대각회
  • 상품 정보

    상세설명

    대각사(大覺寺)는 서울시 종로구 창덕궁 후원 앞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재단법인 대각회(大覺會)의 사찰로서, 1911년 용성(龍城) 진종(震鍾) 대종사가 창건하였다.
    대각회는 불교포교단체의 하나로 석가모니불의 대각불교사상을 선포하여 민족번영의 원리로 발전시킨 용성 스님의 대각사상을 선도하며 이에 필요한 시설을 유지 경영함을 목적으로 1968년 자운(慈雲) 스님 등에 의하여 기존의 대각사를 중심으로 설립되었다.
    창건 이후 용성 스님의 대각교는 이곳을 중심으로 교세를 확장해나가 1928년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대각일요학교가 설립되었고, 이듬해에는 선회(禪會)가 개설되기도 하였다.
    또 1930년에는 대각성전(大覺聖殿)과 요사가 새로이 지어지기도 했다. 그 뒤 1939년 조선불교 선종 총림 1944년에는 다시 경성포교당 대각선원 등으로 절이름이 바뀌었다.

    그러나 이 무렵 대각교가 대각사를 중심으로 민족자주성을 일깨운다고 판단한 일제는 본격적인 탄압을 시작하여 대각교는 억지로 그 재산을 신탁하게 되는 등 수난을 겪다가 결국 일제에 의해 폐지되었다.
    하지만 폐지 이후에도 대각사와 만주 간도(間島)포교당을 중심으로 대각교운동은 꾸준히 전개되었다.
    1969년 동헌(東軒) 완규(完圭) 대선사를 비롯한 용성 스님의 제자들이 스님의 대각교 창립정신을 기리고 대각사상을 널리 드러내기 위하여 재단법인 대각회를 대각사에 설립하였으며, 1986년 대각사 경내에 있던 건물을 모두 철거하고 지하1층 지상3층 총건축면적 1,322.32m²의 신축건물을 짓는 등 면모를 일신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80571_08.jpg
    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80571_28.jpg
    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80571_43.jpg
    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80575_49.jpg
    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80575_75.jpg
    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80575_92.jpg
    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80576_1.jpg
    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80576_29.jpg
    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80576_52.jpg
    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80576_71.jpg
    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80576_96.jpg
     

  • 소개·새소식

    소개글

    총 2 건

    대한불교조계종 대각사 소개
    1. 사찰연혁 및 유래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14

      대한불교조계종 대각회 총본산 대각사

      대각사(大覺寺)는 서울의 종산(山)이며 진산(眞 山)인 삼각산에 위치한 종로구 봉익동에 자리한 전 통사찰로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대각사상을 기본으 로 하는 한국 근대민족 불교의 산실인 대각회(大覺 會)소속의 근본도량 사찰로서, 1911년 용성(龍城) 진종(震鍾) 조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백용성 조사는 남원(南原)에서 백남현(白南賢)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속명을 상규(相圭)라 하고 출가 후 법명을 용성(龍城)이라 하였다. 1879년 16세 때 해인사 극락암(極樂庵)으로 출가하여 전국 각 사암들을 찾아다니면서 수도하여 23세에 견처가 있었고, 44세에 중국 불교계의 선지식들과도 불법의 진리를 논하기도 하였다.
      47세에는 『귀원정종(歸源正宗)과 「대각교 의식』 등 수많은 역경과 저술을 하 | 였으며 『화엄경』, 『천지팔양신주경』, 『금강경』, 『능엄경』등 많은 경전을 번역. 간행하였고, 세종대왕 이후 최초의 한글 역경(譯經) 사업을 펼쳐 경전(經典)의 한 글 대중화를 적극 추진하였다. 서울 종로구 봉익동에 민가를 구입, 수리 개조하여 대각사(大覺寺)의 간판을 내 걸고 불교 중흥과 민족중흥을 발원하였다.

      이후, 1969년 대한불교조계종 종정(大韓佛敎曹溪宗 宗正)이셨던 고암(古庵)스님과 동 헌(東軒)스님, 자운스님, 성철스님, 운문스님, 광덕스님, 도문스님을 비롯한 용성스님의 상자와 손상자들이 용성스님의 대각교 창립정신을 기리고 대각사상을 널리 드러내기 위 하여 재단법인 대각회를 1967년 대각사에서 설립하였으며, 1986년 대각사 경내에 있던 대각성전 요사채 목조건물(木造建物) 147평을 철거하고, 지하 1층, 지상 3층 총 건평 400여 평의 규모로 현 건물을 대각사 주지 효경스님이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봉익동(鳳翼洞)은 북으로 권농동, 동쪽으로 종묘가 자리하고 있고, 남쪽으로 종로 3가, 묘동과 인접하고 있다. 묘동과 종로 3가는 상가지대이고 대각사가 위치한 봉익동은 비교적 대로변을 벗어난 주택 지구에 해당되어 쾌적한 곳으로 종묘와 작은 골목을 사이에 두고 있다. 대각사는 일주문을 지나면 바로 왼편에 범종각이 자리하고 있고, 경내중심에는 지하 1 층, 지상 3층 (2층까지는 현대식, 3층은 한식형 건물이면서 팔작지붕 구조로 된 대각성 전(大聖殿)이 자리하고 있다. 경내 한편에 대각성전(大覺聖殿) 건립을 기념하기 위한 대각사 대각회사적비(大覺寺大覺會寺)가 세워져 있고, 사적비(寺碑) 뒤로 심검당이 있다. 2012년 주지 장산스님의 원력으로 30년이라는 세월 속에 노후된 대각사 단청을 새롭게 단장하고 이야기가 있는 작은 뜰' 을 조성하였다.


      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80912_54.jpg
       

    2. 용성스님 행장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14

      용성대종사께서는 1864년 5월 8일 전라도 남원군(현재 장수군) 하번암면죽림리에서 수원 白氏로 탄생하였다.

      7세에 한학을 익혔으며, 9세에는 시를 짓기도 하였다. 16세에 해인사에서 출가하였으며, 23세에 깨달음을 얻었다. 그 뒤 전국 각 사암들을 찾아다니면서 수도 정진하였으며, 44세때에는 중국불교계의 선지식들과도 불법의 진리를 논하기도 하였다. 47세에는 ≪歸源正宗≫이란 책을 저술하였는데, 이는 불교적인 측면에서 기독교의 교리에 대하여 해석하고 논박한 것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최초이다.

      1910년 경술국치를 맞이한 선사는 산중 수행을 정리하고 1911년 48세 되던 해에 백제불교 초전법륜성지인 서울 서초동 우면산 대성사에 오신 이후, 다시 종로구 봉익동에 민가를 구입해서 수리 개조하여 大覺寺의 간판을 내걸고 불교중흥과 민족중흥를 발원하여 불교계의 혁신작업과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3월 1일에는 만해 한용운스님과 함께 민족대표 33인중 불교대표로 참여하여 독립선언서에 4번째 서명하였으며, 이로 인해 서대문 감옥에서 3년간 영어의 생활을 하였다.

      1921년 출옥과 더불어 三藏譯會를 조직하여 한문으로되어 있던 불경을 한글로 번역하였으며, 1922년에는 일제의 탄압을 피하고 만주에 간 독립군들을 돕기위해 만주 연길 명월촌과 봉년촌에 대규모의 大覺敎堂을 설립하여 독립운동을 계속하였다. 1924년 61세 되던해에는 평소의 수행력에 의해 치아에서 齒舍利가 나왔으며, 62세에는 도봉산 망월사에서 萬日參禪結社會를 조직하여 수행에도 전력을 하였다. 1926년에는 민족정신 말살정책의 일환으로 시행하고 있던 왜색불교의 폐단을 지적하고 중지할 것을 요구하는 建白書를 2차에 걸처서 제출하여 전통불교의 맥을 계승하기도 하였다.

      1927년 64세 때에는 ≪大覺敎儀式集≫을 발간하면서 往生歌, 勸世歌 등 창작국악조의 創作讚佛歌를 최초로 작시, 작곡하여 이 분야에서는 국내에서 효시라고 할 수 있다. 노구에도 불구하고 大覺寺에 일요학교를 설립하여 오르간을 손수 치기도 하였으며, 한문으로 된 불교의식을 한글화하여 불공, 제사 등을 지내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많은 노래들이 있었으나 현재는 2곡만이 악보까지 남아있으며, 그외에는 가사만 전하고 있다. 대종사 께서는 우리나라에서 찬불가의 창시자일뿐만 아니라, 국악조의 창작국악으로 된 창작찬불가를 남겼다는 점은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같은해 함양에 華果院을 만들어 사원경제의 자립을 부르짓는 禪農佛敎를 주창하기도 하였다.
      이후 30여가지의 경전을 번역하였으며, 30여가지의 저술을 남기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1940년 2월 24일 대각사에서 입적하니 세수는 77세이고, 법납은 61세이며, 석가모니 부처님의 正法眼藏을 전수한 傳燈 68代의 祖師인 동시에 근세 中興律의 6祖이다.

      1941년에 만해 한용운이 撰한 비를 해인사에 건립하였으며, 1962년 3월 1일에는 國家功勞賞이 추서 되었고, 그의 유업을 계승하기 위해 제자들은 1969년 9월 11일에 문화공보부로부터 재단법인 大覺會를 인가 받았다. 1990년 10월 9일에는 총무처로부터 銀冠文化勳章을 추서 받았고, 같은날 한글학회로부터 감사패를 추서 받았다.


      75bd0261e389b91195821277a455eb30_1713080793_71.jpg
       

  • 변경/수정신청

    자유게시판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