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은적사 > 대구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메인으로

대한불교조계종 은적사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소개글 3개 / 자유게시판 0개 등록
위시리스트0
말사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9교구 동화사
대표전화 053-653-1572
팩스 053-653-2765
  주지 원일 합장
홈페이지 http://www.eunjeoksa.or.kr/
  주소 대구 남구 앞산순환로 574-120
   대구 남구 봉덕동 1572 은적사
   574-120 Apsansunhwan-ro, Nam-gu, Daegu
Tag 사찰

  • 상품 정보

    상세설명

    은적사(隱跡寺)는 서기 926년 신라 경애왕 3년에 창건된 절로서 은적사란 이름이 생기게 된 연유는 고려 태조 왕건과 관련이 있다.

    신라말 후삼국 때 후백제 견훤이 신라를 침공하자 신라 경애왕이 고려 왕건에 구원을 요청했다.
    구원병과 대구에 온 왕건은 팔공산 동화사 방면으로 가다 산기슭에서 견훤의 군대에 포위를 당해 전멸의 위기에 처했다.

    이 때 신숭겸의 계책으로 탈출한 왕건은 현재 은적사 대웅전 우측의 대나무 숲속에 있는 자연동굴에 숨었다.

    이 굴에서 3일간 머물고 현재 안일사와 임휴사에서 쉰 왕건은 김천 황악산을 경유해 철원으로 회군했다.
    그 뒤 왕위에 오른 왕건은 자신이 3일간 숨어있으면서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한 그 굴이 있는 곳에다 당시의 고승 영조대사에 명해 숨을 은(隱)자, 자취 적(跡)자로 은적사라는 절을 짓게 했다. 이것이 은적사가 생긴 연유이다.
    천년 고찰인 은적사 경내에는 대웅전, 요사채, 삼성각이 들어서 있으며 차고 깨끗한 약수가 있어 등산객의 갈증을 풀어주고 있다.

    또 현재 유치원을 운영하면서 불교 홍포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98865_64.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98864_88.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98864_32.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98864_67.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98864_14.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98863_38.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98865_8.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98863_14.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98865_27.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98863_94.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98865_07.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98865_45.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98864_46.jpg
     

    50m
    Kakao 맵으로 이동(새창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