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3교구 쌍계사 > 경남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메인으로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3교구 쌍계사 雙磎寺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소개글 39개 / 자유게시판 0개 등록
위시리스트0
대표전화 055-883-1901
   템플스테이국 010-6399-1901
팩스 055-883-6084, 템플스테이국 055-883-9241
홈페이지 https://ssanggyesa.net/
  주소 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
   59, Ssanggyesa-gil, Hwagae-myeon, Hadong-gun, Gyeongsangnam-do
Tag 전통사찰
  • 상품 정보

    상세설명

    쌍계사는 신라 성덕왕 21년 (722년) 삼법 대비 두 화상께서 선종의 육조이신 혜능스님의 정상을 모시고 귀국, "지리산 설리갈화처(雪裏渴花處 : 눈 쌓인 계곡 칡꽃이 피어 있는 곳)에 봉안하라"는 꿈의 계시를 받고 호랑이의 인도로 이 곳을 찾아 절을 지은 것이 유래가 되었다.
    그 뒤 문성왕 2년 (840년) 중국에서 선종의 법맥을 이어 귀국하신 진감 혜소 선사께서 퇴락한 삼법스님의 절터에 '옥천사'라는 대가람을 중창하시어 선의 가르침과 범패를 널리 보급하시었으니 후에 나라에서 '옥천사'가 지리산에 두 곳이 있으므로 '쌍계사'라는 사명을 내렸다. 그간에 벽암, 백암, 법훈, 만허, 용담, 고산스님의 중창을 거쳐 오늘에 이르는 동안 고색창연한 자태와 웅장한 모습을 자랑하고 있다.
    쌍계사는 국보 1점(진감국사 대공탑비-국보47호), 보물 9점(대웅전, 쌍계사 부도, 팔상전 영산회상도 등)의 국가지정문화재와 팔영루,팔상전등 20점의 지방지정 문화재, 총 30여점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사암, 불일암, 도원암 등의 암자가 있고, 조계종 25개 본사 중 제 13교구 본사이기도 하다.
    쌍계사는 차 ( 茶)와 인연이 깊은 곳으로 차는 신라 선덕여왕 때 당나라에서 처음 들여왔는데, 흥덕왕3년(828년) 김대렴이 당나라에서 차나무 씨를 가져와 왕명으로 지리산 줄기에 처음 심었다고 한다. 김대렴이 차를 심은 이후 진감선사가 쌍계사와 화개 부근에 차밭을 조성, 보급하였다고 한다.
    쌍계사는 도의국사와 동시대에 활약한 진감선사가 육조혜능선사의 남종 돈오선을 신라에 최초로 전법한 도량이자 차의 발생지이며 해동범패의 연원이다. 그러므로 쌍계사는 선( 禪 ), 다(茶), 음 (音)의 성지로 일컬어 진다.
    현재 혜능선사의 정상이 모셔진 금당(金堂)에 금당선원이 있어 눈푸른 납자들의 정진이 이어지고 있으며, 전통강원과 금강계단이 설치되어 바야흐로 선맥과 강맥, 그리고 율맥의 법통을 이어온 종합수행 도량으로서 쌍계총림으로 지정되어 있다.
    지리산 자락과 쌍계계곡, 쌍계사가 한눈에 조망되는 아름다운 곳에 위치한 템플스테이관은 2018년에 완공되어 최신식 쾌적한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하동의 명소로서 자리 매김하고 있다.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8488_41.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5_46.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4_67.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4_21.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691_12.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0_64.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697_86.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1_83.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8513_71.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4232_21.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699_41.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691_68.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1_24.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699_22.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5_71.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698_14.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691_49.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698_67.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1_02.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8546_14.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1_59.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0_45.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0_15.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0_32.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2_7.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4_39.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2_49.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6_67.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6_42.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2_88.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2_23.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2.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5_97.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5_17.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6_16.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3_88.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3_58.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3_3.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83704_89.jpg



  • 소개·새소식

    소개글

    총 39 건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3교구 쌍계사 소개
    1. 쌍계사 일주문(雙磎寺 ⼀柱⾨)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3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1085_37.jpg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1085_67.jpg
       

      국가문화재 | 보물
      일주문은 속세를 떠나 부처님의 세계로 들어서는 첫 관문으로, 한결같은 마음으로 정신을 수양하고 진리의 세계로 향하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쌍계사 일주문은 조선 1641(인조 19)년에 벽암 화상이 지었다고 하며, 1977년에 고산 화상이 손질하여 고쳤습니다. 일주문으로서는 드물게 지붕 옆면이 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을 올렸습니다. 건물 높이에 비해 지붕이 넓지만 추녀 밑에 받침 기둥을 세우지 않고, 기둥의 앞뒤에 보조 기둥을 세워 지붕을 안전하게 받치고 있습니다. 처마는 2단으로 있는 겹처마이며, 처마를 받치는 기둥머리 장식이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형식이어서 화려합니다. 또 기둥머리 장식 부재가 가늘고 섬세한 점 등 장식성이 강한 것으로 보아 조선 시대의 양식보다는 근대적 건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쌍계사 금강문(雙磎寺 ⾦剛⾨)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3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1027_73.jpg
       

      지방문화재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7호
      금강문은 일주문을 지나 두 번째로 나오는 문입니다. 불법을 수호하고 악을 물리치는 금강력사가 모셔져 있는 문으로, 쌍계사 금강문은 840(신라 문성왕 2)에 진감 선사가 창건 당시에 처음 지었습니다. 조선 1641(인조 19)년에 벽암 화상이 고쳤으며, 문 앞에는 벽암이 쓴 현판이 있습니다. 지금의 건물은 1979년에 고산 화상이 손질하여 고친 것입니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이 사람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입니다. 기둥이 높고 기둥의 장식들은 단순합니다. 처마는 2단으로 있는 겹처마이며, 지붕의 양옆에는 비바람을 막는 풍판을 달았습니다. 건물 가운데 칸을 열어 지나다닐 수 있게 했으며, 양옆 칸의 바닥에는 지면에서 약 45㎝가량을 높여서 마루를 깔았습니다. 왼쪽에는 부처님을 보호하며 비밀스러운 내용을 들으려 하였다는 밀적금강이 있고, 오른쪽에는 엄청난 힘을 가졌다는 나라연금강이 있습니다.

    3. 쌍계사 천왕문(雙磎寺 天王⾨)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3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0977_32.jpg
       

      지방문화재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6호
      천왕문은 절에 들어설 때 일주문과 금강문 다음으로 지나게 되는 세 번째 문으로, 사천왕을 모신 문입니다. 사천왕은 부처님께 귀의(믿고 따름)하여 불법을 수호하고, 수도승과 불자를 돕는 4명의 수호신입니다. 불교에서 세계의 중심에 있다고 여기는 수미산을 중심으로 동쪽에는 지국천왕(持國天王), 남쪽에는 증장천왕(增⾧天王), 서쪽에는 광목천왕(廣⽬天王), 북쪽에는 다문천왕(多聞天王)이 있습니다. 쌍계사 천왕문은 조선 1740(숙종 30)년에 백봉 화상이 지었고, 1825(순조 25)년에 고쳐 지었으며, 1978년에 고산 화상이 다시 고쳐 지었습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입니다.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머리에 짜 맞춘 공포를 단순하게 만들어 소박하고 단아한 느낌이 듭니다. 천왕문 안에 모셔 둔 사천왕상은 나무로 조각되었는데, 조각 솜씨가 뛰어납니다.

    4. 하동 쌍계사 구층석탑(河東 雙磎寺 九層⽯塔)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3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0920_2.jpg
       

      이 탑은 고산 화상께서 인도성지 순례를 마치고 돌아올 때 스리랑카에서 직접 모셔온 석가모니 부처님 진신사리 3과, 산내 국사암 후불탱화에서 출현한 부처님의 진신사리 2과 그리고 전단나무불상 일존을 모신 것입니다.
      발심 서원한 백창기 김반야성 부부의 단독 시주로 불기 2531년(서기 1990년) 3월 15일에 완공했습니다.

    5. 쌍계사 팔영루(雙磎寺 ⼋詠樓)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03

      56625e65028d50ce0dbf8e1d1a4e76ac_1714690878_18.jpg
       

      지방문화재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74호
      팔영루는 진감 선사가 섬진강에서 뛰노는 물고기를 보고 8음률로 ‘범패(梵唄) 또는 어산(⿂⼭)’이라는 불교 음악(우리 국악의 시초이기도 함)을 작곡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진감 선사가 신라 840(문성왕 2)년에 쌍계사 창건 당시 팔영루를 세웠고, 그 뒤 조선 1509(중종 4)년에 중섬 선사가 고쳐 짓고, 문신 어득강에게 글을 부탁하니, 어득강이 서문과 팔영을 찬양하는 8수의 한시를 지었다고 합니다. 이후 1641(인조 19)년에 벽암 화상이 쌍계사를 다시 지을 때 대웅전과 함께 팔영루를 고쳐지었고, 1979년에 고산 화상이 새로 손질하여 고쳤습니다. 정면 5칸, 측면 3칸 크기인 2층 건물이며, 지붕은 옆면이 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입니다. 부처님이나 보살님을 모시지 않은 곳이어서 처마를 받치는 기둥머리 장식이 없지만, 처마는 2단인 겹처마로 만들었고 단청도 화려합니다. 팔영루는 범패의 명인을 교육했던 뜻깊은 곳입니다.

  • 변경/수정신청

    자유게시판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