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기스스탄공화국 약사 > 키르기스스탄 Kyrgyzstan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코리아 네트워크 :: CYLOOKS KOREA NETWORK
북아메리카 North America

키르기스스탄공화국 약사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조회 1,604회 작성일 21-10-28 08:20

본문

몽고-예니세이-중앙아로의 진출(고대~13세기)


기원전 200년경

- 중국 연대기에 키르기즈 민족이 투르크족의 일부로 최초 등장, 당시에는 몽골 북동부 지역에 집단 거주(이란계 사카인으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음)

- 중국/페르시아 등과 활발한 교역이 있었으며 후에 페르시아 제국에 병합되어 알렉산더 대왕의 인도원정에도 참여

 

5세기~10세기

- 5세기경부터 서진을 시작하여 6세기~8세기에는 시베리아 남부와 바이칼(Baikal)과 예니세이江에 넓게 분포되어 거주, 몽골의 서진이 본격화되던 13세기까지 동 지역에서 주로 목축업을 하며 거주

- 6세기 중반에는 돌궐에 병합, 8세기경에는 돌궐을 물리친 위구르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9세기경 위구르의 지배에서 벗어남.

- 9세기이후 남쪽으로 세력을 확장, 10세기 중반에는 바이칼 주변을 세력권화


13세기 이후

- 몽골의 러시아 침공이 시작되면서 키르기즈 민족은 남진을 시작하여 중앙아시아 지역에 거주하기 시작

- 13세기 중앙아에 진출하면서 이슬람화(수니파)되기 시작해 14세기경에는 현재의 키르기즈 공화국이 있는 지역에 집단 거주를 시작, 16세기 이후 민족문화가 형성


러시아로의 병합(19세기~20세기초)


18세기~19세기

- 18세기 중국의 청조, 19세기 중반에는 우즈벡의 코칸드(Khan)의 지배를 받았으며 1876년 러시아에 병합

- 러시아에 병합된 이후 독립운동 전개 중 많은 키르기즈인들이 파미르 고원과 현재의 아프카니스탄으로 집단 이주

※ 1916년 대규모 반러운동이 발생, 러시아 제국이 동 무력항전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많은 키르기즈인들이 중국으로 이주


소비에트 정권수립(1917-1990)

1924년 러시아연방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로 카라-키르기즈 자치주(Kara-Kyrgyz Autonomous Oblast)가 설립

- 1926년 키르기즈 자치사회주의 공화국(Kyrgyz Autonomous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승격, 1936년 키르기즈 사회주의 공화국(Kyrgyz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승격되어 소연방의 구성 공화국으로 전환


1920년대-1940년대

- 문화, 교육, 사회 등 제분야에서 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키르기스 남부 지역이 제외되어 남·북간 지역갈등의 원인

1985년 이후(고르바초프 시대)

- 언론·시민단체의 활동 등 민주주의 기반 형성

키르기즈 독립 및 튤립혁명 정권교체 이후 바키예프 정권 출범

1990.12.5 키르기즈 최고 회의는 주권선언을 채택하고 국가명을 "Republic of Kyrgyzstan"으로 변경하였으며, 1991.8.31 독립선언

“키르기즈 민주운동”을 기반으로 당시 “키르기즈 과학 아카데미” 원장으로 재직하던 아카예프가 1991.10월 대통령 당선

1991.2월 수도명을 프룬제(Frunze)에서 비쉬켁(Bishkek)으로 변경, 1993.5월 국가명을 "Kyrgyz Republic"으로 재변경

1995.12월 아카예프 대통령 재선

1998.3월 쥬마리예프 내각 출범

1998.12월 이브라이모프 내각 출범

2000.12월 아카예프 대통령 3선

2001.1월 바키예프 내각 출범

2001. 8월 CIS 집단안보조약기구 신속 배치군 사령부 비쉬켁에 설치

2002. 6월 타나예프 내각출범

2003. 2월 헌법개정 및 대통령 신임에 대한 국민투표 실시

※ 헌법개정 찬성(75.5%), 아카예프 대통령 신임 찬성(78%)

2005.3월 총선부정선거로 인한 대중소요 발생(튤립 혁명) 아카예프 대통령 실각 및 바키예프 과도정부 구성

2005. 7월 바키예프 대통령 권한대행 대선 당선 및 쿨로프 내각 출범

2005. 8월 바키예프 대통령 취임

2006.4-5월 대통령권한의 의회·정부이전에 관한 개헌

2006.12월 대통령과의 갈등으로 쿨로프 총리 내각 사퇴

2007. 1월 대통령의 총리 임명권등 대통령 권한 강화를 골자로 헌법 개정

2007. 2월 이사베코프 총리 내각 출범

2007. 3월 아탐바예프 총리 내각 출범

2007. 4월 쿨로프 전 총리 중심의 대중 소요 사태 실패

2007. 9월 헌법 철회

2007.10월 개헌국민투표 실시(개헌에 대해서는 76.5% 찬성, 선거법개정에 대해서는 76.4% 찬성) 및 의회 해산

2007.12월 신헌법에 따른 총선실시 및 바키예프 대통령, 츄디노프 총리 체제 신정부 출범

2009. 7월 바키예프 대통령 재선

2009.10월 대대적인 정부 조직개편

2010. 4월 과도정부 수립(반정부 시위로 정권교)

2010. 6월 헌법개정 국민투표(찬성 90.56%)

2010.7.3일 오툰바예바 대통령 취임

2010.10.10일 총선 (아타주르트당, 사회민주당, 공화당, 아타메켄당 국회입성)

2010.12월 연합정부 구성 및 아탐바예프 총리 내각 출범

2011.10.30일 대선(아탐바예프 現총리 당선)

※ 2012.1월 신정부 출범 예정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