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원사 대웅전 > 서울특별시 Seoul, 02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대웅전]  봉원사 대웅전

02-392-3007~8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사길 12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동 26 봉원사

  스크랩     0건

대웅전(大雄殿)

내부(內部) 공간구성에 있어서는 내부 고주없이 중앙불단을 뒤로 후퇴하여 설치함으로서 예불공간을 크게 확보하였다. 즉 고대의 탑(塔)중심의 의식에서 불상(佛像)의 등장으로 인한 법당중심의 가람(伽藍)이 구성되어 근세(近世)에서는 법당내부에서 불상(佛像)에 직접적인 의식과 예불이 많아졌다.

깊이가 깊은 예불공간의 구성(構成)은 의식(儀式)의 원활성과 많은 불자(佛子)들이 들어올 수 있는 효율성을 가지고 있다. 대웅전은 내부공간이 예불중심의 공간으로 전환된 조선말(朝鮮末)후기의 사찰(寺刹)의 특징을 대변하는데 봉원사(奉元寺)대웅전 내부구조(構造)가 좋은 실례(實例)이다.

이 건물은 영조(英祖) 24년(1748년)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이건(移建)전의 모습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 후기의 작품으로 보이고 외9포 내11포 위에 5량 5포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대웅전에는 영조대와의 하사품인 "대웅전" 현판이 있었으나 화재로 소실되었고, 1991년~ 1993년 도화주로 김혜경 스님과 대중스님들의 원력으로 재건하였다.

법당안의 보물급 탱화들은 그때 소실되었으며 지금의 탱화와 단청은 인간문화재 이만봉 스님의 작품이고 법당안의 범종(梵鐘)은 충남 덕산 가야사에 있던 종인데 조선시대 억불정책(抑佛政策)을 수행하던 흥선 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의 묘를 쓰기 위해 가야사를 불태웠고 그때 타지 않고 있던 종을 옮긴 것이다. 대웅전 건물은 서울시 유형문화재 68호로 지정되었다.


aab752d6df5eb12ff359df75e90d3892_1646800196_15.jpg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수덕사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안길 79
  • 은해사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청통로 951
  • 통도사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 내소사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