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증심사 > 광주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메인으로

대한불교조계종 증심사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소개글 14개 / 자유게시판 0개 등록
위시리스트0
말사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21교구 송광사
대표전화 062-226-0108
   템플스테이 062-226-0107
홈페이지 https://jeungsimsa.org/
  주소 광주 동구 증심사길 177
   광주 동구 운림동 56 증심사
   177 Jeungsimsa-gil, Dong-gu, Gwangju
Tag 전통사찰, 무등산증심사
  • 상품 정보

    상세설명

    광주 무등산의 서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증심사. 간혹 옛 기록에는 징심사라고도 했지만, 요즘은 증심사라 부릅니다. 헌인왕4년(860) 철감국사가 창건하였고, 고려 때 혜조국사가 중창하였습니다. 조선 세종 때 김방이 중창하였는데, 이 때 오백나한이 조성되었다고 합니다. 정유재란 때 불탔고, 광해군 때 또 다시 대규모 중수가 있었습니다.

    일제 감정기 때 한일 불교의 공동원류설이 제장된 적이 있습니다. 두말할 나위없이 내선일지라는 식민지 문화정책을 발로였습니다. 이때 만해 한용운 등은 한국과 일본 불교의 뿌리는 전혀 다르다는 논지를 폈습니다. 즉 일본의 경우 염불종, 조동종 등이 주류를 이루면서 신도와의 융합이 이루어진 반면, 한국은 임제선을 중심으로 하는 선종이 주류였다는 주장입니다. 그때 임제종 운동을 펼친 본거지가 바로 증심사였습니다. 1951년 6.25 전란으로 대부분 건물들이 불타 없어졌습니다. 1970년 이후 활발한 복원작업을 펼처 지장전, 비로전적묵당 등을 새로 건립하였습니다. 다행히 참화를 피한 오백전이 유일한 조선조의 건물이 셈입니다.

    증심사는 비록 한국동란 때 원형을 잃어버렸다고는 하지만 광주 지역의 대표적 사찰로 손꼽힐 만합니다. 무등산이라는 빼어난 산세의 중심에 있을 뿐더러 오랜 역사성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신증동국여지긍람'에도 호남의 빼어난 명승으로 꼽았으며 '광주읍지' 등에도 무등산의 정기를 함축하고 있는 곳이라고 찬탄하였습니다. 지금의 건물들은 1971년에 중창된 것이 대부분인데, 역사성을 고려하여 증심사 일원은 모두 광주광역시 문화재 1호로 지정됐습니다. 터가 반듯하지 못하기 때문에 경사진 땅에 석축을 쌓고 그 몇 개의 단으로 나누어진 곳에 여러 건물들을 배치하였습니다.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80_24.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62_88.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8_48.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8_19.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63_78.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9.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8_69.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7_35.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7_88.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64_06.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9_29.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7_59.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4_37.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64_58.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7_02.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80_55.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81_79.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3_31.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9_62.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5_22.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5_67.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6_69.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6_12.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81_05.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62_4.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63_18.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64_32.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4_68.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4_94.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5_44.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61_89.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80_78.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75_91.jpg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2462_66.jpg
     

  • 소개·새소식

    소개글

    총 14 건

    대한불교조계종 증심사 소개
    1. 증심사 3층석탑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06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60444_38.jpg
       

      무등산에서 가장 오래된 탑 - 3층석탑

      무등산에 있는 탑 가운데 가장 오래된 석탑인 증심사 삼층석탑은 오백전 앞에 자리하고 있다. 원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아 1972년 1월 29일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이 탑의 절대연도는 알 수 없지만, 탑의 양식을 살펴보면 철감선사가 증심사를 창건한 시기인(855~868) 통일신라 후기에 세워졌을거라 추정하고 있다.

      증심사 삼층석탑의 특징을 살펴보자면 아래층 기단 각 면에는 가늘고 긴 안상(眼象)이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다. 지붕돌의 네 귀퉁이는 살짝 치켜 올라가 경쾌한 느낌을 주고, 상륜부는 네모난 받침돌위로 앙화(仰花:솟은 연꽃모양의 장식)만 남아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몇 층 석탑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지붕돌(옥개석)을 기준으로 세어 보는 것이다. 증심사 삼층석탑은 지붕돌이 3개이기 때문에 삼층석탑인 것을 알 수 있다.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60462_86.jpg
      상륜부 앙화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60473_3.jpg
      옥개석 층급받침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60489_34.jpg
      기단면의 안상

    2. 증심사 부도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06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60228_42.jpg
      재가불자 공덕비


      증심사에 공덕을 지었던 사람들 증심사 부도전

      증심사 부도전에는 증심사 중수에 공덕이 많은 신도와 스님들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6기의 부도(浮屠)와 17개의 비석이 있다. 과거 증심사 부도전은 취백루 아래쪽 공터에 있었으나, 현재는 일주문 좌측 언덕으로 옮겨놓았다. 6기의 부도 중 3기는 스님의 부도고, 3기는 신도들의 것이다. 먼저 수월당, 월암당, 규봉당 부도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수월당 부도’는 ‘수월당보문’이 새겨진 탑호만 있을 뿐, 건립연대를 알 수 있는 명문은 없다. 재미있는 것은 기단부를 받치고 있는 거북모양의 조형물이 파격적이라는 점이다. 일반적인 거북이의 모습을 단순화 시킨데다 왼쪽으로 고개를 약간 꼬아 민화속의 거북이를 보는 듯 해학적인 느낌이다.

      월암당 부도는 ‘월암당대사민성’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부도다. 뒷면에는 ‘강희 56년 을미 5월에 세움(康熙五十四年五月日乙未立)’이라 쓰여 있어 조선 숙종 41년(1715)에 건립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스님의 정확한 행적은 알 수 없으나 증심사 유물 가운데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있기에 그 가치가 높다. 4면 중 정면과 양쪽 측면은 다소 변형된 연화문을 시문하였다. 후면에는 인면을 조각하였는데, 주먹코에 왕방울 눈으로 웃는 모습이 흡사 장승의 얼굴처럼 표현되었다.

      규봉당 부도는 석종형 모양으로 산신각 옆에 있던 것을 옮겨 왔다. 당호로 보아 증심사와 규봉암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3기의 신도의 탑(부도)은 1900년대에 세워졌다. 고려시대의 석탑 양식을 부분적으로 함유하고 있으나, 일본식 영향을 받기도 했다. 각각의 이름과 연도는 다음과 같다. 康津崔氏之塔(강진최씨지탑 : 1914), 曺氏淨行華化塔(조씨정행화화탑: 1919), 大德華安魂塔 大德華 漢陽趙南洙(대덕화안혼탑 대덕화 한양조남수: 1927)

      1950~60년대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재가신자들의 납골탑이 대웅전 앞에 세워졌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가 없지만, 증심사에 시주한 공덕이 클 것이라 짐작할 뿐이다. 이처럼 부도전을 통해 증심사를 위했던 사람들을 알 수가 있다.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60244_9.jpg
      1950~60년대 대웅전 앞마당에 있던 신도비

    3. 증심사 관세음보살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06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60049_72.jpg
      1990년대 오백전 옆에 자리한 관세음보살


      지극한 마음으로 정성을 들이면 보이는 증심사 관세음보살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된 증심사 석조보살입상은 증심사에서는 관세음보살님으로 통하고 있다. 오대산 월정사 석조보살좌상(보물 제139호)과 같이 높은 원통형 보관을 쓰고 있다는 점과 세부표현이 간략해진 것으로 보아 고려후기 작품으로 추정된다.

      전라남도 문화재위원 성춘경은 “지방에서는 보기 드문 원통형 보관을 쓰고 있으며 보관전면에 화불이 새겨진 것을 고려해 관세음보살로 판단한다”고 전했다. 증심사 석조보살입상의 원래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우선 1966년 간행된 『광주시사』에 따르면 ‘담양 서봉사터에 있던 것을 현준호(광주의 부호이자 호남은행의 2대 은행장)가 자신의 재산을 들여 증심사로 옮겨왔다’고 기록돼 있다.

      한편, 박선홍의 책 『무등산』에는 ‘전남도청에서 대황사에 옮겼다가 폐사된 뒤인 1930년대 초 증심사로 옮겨왔다’고 광복 전후 주지였던 종산, 최용식 스님에게서 필자가 직접 들었다고 적혀있다.

      석조보살입상이 증심사에 처음 모셔졌을 때 위치는 오백전 왼쪽, 7층 석탑의 옆자리였다. 1990년대 사진을 보면 보관, 눈, 코, 입 등의 형태가 온전히 보였으나 바깥에서 몇십 년 이상 서 있으며 풍화로 훼손되었다. 그러다 2003년 오백전 건물을 보수하면서 대웅전 오른쪽에 원통전을 지어 모셨다.

      2021년부터 원통전에 연등을 달아 연등불을 밝혔다. 현재는 풍화로 훼손되어 관세음보살님의 형태가 자세히 보이진 않지만, 지극한 마음으로 정성을 들이면 관세음보살님의 자비로운 미소를 볼 수 있지 않을까?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60070_22.jpg
      관음재일 예불 드리는 모습

    4. 증심사 일주문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06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9890.jpg
      절에 주요행사가 있으면, 일주문에 현수막을 걸어 알리고 있다.


      깨달음으로 가는 첫관문인 일주문

      일주문(一柱門)은 사찰의 산문 중에 첫 번째 문이다. 일반적인 건물과 달리 기둥을 한 줄로 세워서 일주문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흔히 일주문에 현판을 걸어서 그 사찰의 품위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보물로 지정된 범어사 일주문과 통도사·해인사·송광사 삼보사찰의 일주문을 들 수 있다. 통도사의 경우, 문 중앙에 “영축산 통도사(靈鷲山 通度寺)”라는 현판을 걸어 사찰의 이름을 밝히고, 좌우 기둥에 “불지종가(佛之宗家)”와 “국지대찰(國之大刹)”이라는 주련을 걸어 불보사찰(佛寶寺刹)로서의 절의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일주문의 현판에는 보통 산 이름과 절 이름이 쓰여 있다.

      증심사 일주문은 1980년대 다시 복원되었으며, 無等山證心寺(무등산 증심사) 현판의 글씨는 남도 동국진체의 맥을 이어온 용곡(龍谷) 조기동(1929~2019) 서예가가 썼다. 일주문은 출입을 위한 기능적인 역할 뿐만이 아니라 불(佛)과 중생(衆生), 극락과 사바의 경계를 이루는 상징적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화엄경』의 ‘일심사상(一心思想)’, 『법화경』의 ‘회삼귀일(會三歸一)’ 사상의 표출로 볼 수 있다. 즉, 신성한 가람에 들어서기 전에 세속의 번뇌를 불법의 청량수로 말끔히 씻고 일심으로 진리의 세계로 향하라는 상징적인 가르침이 담겨 있다.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9912_78.jpg
      무등산 증심사 현판(용곡 조기동 선생 글씨)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9923_46.jpg
      산미(山彌) 사이에 연꽃들이 조각되고, 최상부에는 봉황을 장식했다.

    5. 증심사 산신각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06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9651_09.jpg
       

      무등산 산신을 모시는 산신각


      오늘날 한국불교 내에서 산신은 가람의 수호신 역할과 함께 수행 생활의 평온을 기원하는 외호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부분 산신각의 입지는 사찰영역의 가장 배후, 후면의 산림과 만나는 접경지역에 위치한다. 증심사 산신각도 비로전 뒤편의 암반 지형을 이용해 건축했다. 산신각에 오르려면 사다리형 계단을 밟고 올라가야 하는 보기 드문 형태다.

      증심사 산신각은 2004년 10월 20일에 점안법회를 봉행했다. 전 송광사 방장 보성스님을 증명 법사로 받들고 치른 점안법회에는 호남지역의 불자 150여 명이 동참해 산신각 낙성을 축하했다.

      산신각을 중심으로 왼쪽 벽화는 산신과 동자, 천녀를, 오른쪽 벽에는 어미 호랑이와 아기 호랑이 두 마리를 귀엽고 친근하게 표현했다. 나머지 벽에는 천녀와 모란, 연꽃, 매화 등을 그렸으며, 서까래는 청색으로 칠해 금색으로 사군자를 그려놓았다.

      증심사 산신탱화 속 산신은 백발의 수염과 눈썹에 머리가 벗겨지고 손에는 하얀 깃털 부채를 들고 있어 도교적 색채를 띠고 있다. 한편, 산신각 뒤 암벽에는 ‘서석산신지위(瑞石山神之位)’라는 조성연대를 알 수 없는 음각 명문이 있다.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9675_93.jpg
      산신각 호랑이 가족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9689_19.jpg
      산신, 동자, 천녀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9705_47.jpg
      증심사 산신탱화


      9ff1d3b15201a5263ca08b7451432abb_1717659715_35.jpg
      산신각 뒤 암벽에 새겨진 서석산신지위 명문

  • 변경/수정신청

    자유게시판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