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삼화사 > 강원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메인으로

대한불교조계종 삼화사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소개글 18개 / 자유게시판 0개 등록
위시리스트0
말사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4교구 월정사
대표전화 033-534-7661
   템플스테이 033-534-7676
팩스 033-534-7546
이메일 samhwasa@templestay.com
  주지 임법
홈페이지 http://www.samhwasa.or.kr/
  주소 강원 동해시 삼화로 584
   강원 동해시 삼화동 860-1
   584, Samhwa-ro, Donghae-si, Gangwon-do
Tag 전통사찰
  • 상품 정보

    상세설명

    삼화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情寺)의 말사로 642년 (신라선덕여왕11년) 자장율사가 처음 터를 잡고 '흑련대'라 하였으며 864년 범일국사가 '삼공암'이라 하였습니다.
    삼공암은 고려 태조인 왕건의 원찰이었는데, 왕건은 이곳 부처님 앞에서 후삼국의 통일을 간절히 염원했고 결국 고려건국 20년 만에 삼국통일의 대업을 달성했습니다. 그리고 삼국에 얽힌 갈등 구조와 증오의 감정을 소통과 화합의 장으로 이끌어 내고자 삼공암을 '삼화사(三和寺)'라고 사명(寺名)을 바꾸었습니다.
    이러한 왕실과의 인연은 조선 시대로까지 이어져 최초 국행수륙대재(國行水陸大齋)가 실행되게 되었으며 현재까지 그 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삼화사는 사면이 모두 산인데, 서쪽 봉우리는 봉이 춤추고 학이 서있는 것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 남쪽 기슭은 용이 어리고 호랑이가 웅크린 형세를 하고 있습니다.
    그곳은 기이하고 절묘함이 가장 뛰어난 곳으로 그 북쪽에 두타산이 있는데, 웅장하고 위엄 있는 기세가 오대산과 더불어 표리를 이루고 있으며, 시내가 있는데(무릉계곡) 이 또한 천고의 뛰어난 경치가 되기에 충분합니다.
    그래서 수령과 목백들이 바위나 반석에 이름을 쓰지 않은 사람이 없어서 마치 조정의 신하들이 모두 모여든 것과 같았고 시인과 묵객들도 모두 계곡 아래에서 시를 지어 잠깐 사이에 하나의 사원을 열었습니다.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384_6.jpg 


    삼화사의 건립에 대해서는 3가지 설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즉, 삼화사 사적에 근거한 신라 선덕여왕 12년(643) 자장율사 창건설, 강원도지에 근거한 통일신라 흥덕왕 4년(829) 창건설, 그리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근거한 범일국사 창건설이 그것입니다.

    첫째 설화에 따르면 선덕여왕은 불교신앙을 통하여 강력한 국가정신을 수립하고자 하였으며, 이같은 계획의 하나로 당나라에 유학 중인 자장율사를 불러 들여 경주에 황룡사 구층답을 건립하고, 지방에는 오대산을 중심으로 불교 성역화를 추진했습니다.
    삼화사는 선덕여왕이 오대산 성역화를 추진하는 것과 궤를 같이 하여 창건되었다는 설입니다. 결국 삼화사는 국가정신의 수립이라고 하는 호국사찰의 성격을 띠고 창건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둘째 설화로는, 강원도지에 근거한 통일신라 흥덕왕 4년(829) 창건되었다는 것으로, 삼화사가 교종에서 선종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삼화사는 신라 하대에 교종 사찰에서 선종사찰로 전화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셋째로는, 신증동국여지승람 근거하여 범일국사가 신라 말에 삼화사를 창건하였다는 것으로, 삼화사가 9산 선문 가운데 사굴산문에 편입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로써 삼화사는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에 의해 찬건되어 흥덕왕 때에 교종에서 선종으로 전환하고 신라 말 범일국사에 의해 9산 선문 가운데 사굴산문으로 편입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05_7.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05_93.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08_32.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22_18.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12_43.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22_75.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23_41.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24_47.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24_8.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23.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22_5.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23_83.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24_05.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23_62.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24_27.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23_2.jpg
    6415aa7b60fad8a68d4531d0b604f49f_1713921424_64.jpg
     

  • 소개·새소식

    소개글

    총 18 건

    대한불교조계종 삼화사 소개
    1. 동해불교대학 동해불교대학원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4

      동해불교대학 및 동해불교대학원은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불타 이념과 불교에 대한 바른 이해, 불교포교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정법을 수호하고 바른 실천수행을 통하여 보살행을 실천하는 일반포교와 대중불교 선양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c36f1cc54b394ff359bd4bfdc52fd855_1713948555.jpg
       

    2. 삼화사 국행수륙대재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4

      두타산 삼화사에서 조선시대 태조4년 최초로 국행수륙대재가 설행되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건국과정에서 희생된 영혼을 위무하고 고려의 유민과 친 고려 성향의 세력들을 포용하고 백성들과 소통 화합하기 위해 동해의 삼화사와 강화도의 관음굴 거제도의 견암사에서 왕실 주관의 수륙재를 설행하였는데 이것이 조선조 국행수륙대재(國行水陸大齋)의 시원이다.

      삼화사국행수륙대재는 하늘과 땅(天地), 죽은자와 산자(冥陽), 사성과 육범(水陸)의 모든 존재들이 서로 소통 화합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삼화사에서 국행수륙대재가 설행된 배경은 고려의 마지막 공양왕과 두 아들을 삼척의 사리재(살해재)에서 교살한 것에 대한 참회와, 조선 초기 개국 공신들의 주청으로 제거된 왕족들에 대한 천도를 위해 매년 봄과 가을에 삼화사에서 국행수륙대재를 설행하여 건국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이반된 민심을 수습하여 소통화합 하고자 하였다.
      또한 삼화사에는 중례문(中禮文) 『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이 전해지고 있으며 이는 삼화사국행수륙대재의 의례서이며 제1편 설회인유(設會因由)부터 제54편 보신회향(普伸回向)총5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례문은 국행수륙대재가 삼화사에서 전승되어 온 역사적 배경과 함께 서지학적 중요한 문화적 가치가 인정되어 강원도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어오고 있다.


      c36f1cc54b394ff359bd4bfdc52fd855_1713948463_95.jpg
       

    3. c36f1cc54b394ff359bd4bfdc52fd855_1713948317_92.jpg
      삼화사 전각 배치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4
      c36f1cc54b394ff359bd4bfdc52fd855_1713948317_92.jpg
       

      1400여년 역사와 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삼화사는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 두타산 자락의 무릉계곡 초입에 자리잡고 있다.

      두타산과 청옥산을 병풍삼아 고요하게 들어앉은 삼화사는 사철 푸른 금강송 수림에 둘러싸여 더더욱 여유롭고 고즈넉한 아름다움을 띤다.
      두타산 삼화사는 인근의 천은사, 영은사, 지상사 등과 더불어 영동 남부의 가장 중심적인 사찰로서 선종의 종풍을 가진 수건법계수륙무차보리도량(修建法界水陸無遮菩提道場)이다. 삼화사는 신라 선덕여왕 11년(642)에 자장율사에 의해 사명(寺名)을 흑연대로 창건하였으며, 국가의 흥망과 함께한 수난의 역사를 간직한 채 수차례의 소실과 중창을 거듭해 왔다. 현재의 삼화사는 적광전을 비롯하여 약사전, 극락전, 삼성각, 비로전, 범종각 등의 전각과 육화료, 심검당, 공수실, 무문전, 두타선원, 적묵당 등의 당우로 가람을 이루고 있으며, 서북방향 약 1.5km에 산내암자 관음기도영험도량 관음암이 자리하고 있다.
      또한 삼화사는 포교의 산실인 동해불교대학을 운영하고 있으며 부설유치원(바라밀 유치원)과 노인요양원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문화재로는 철조노사나좌불(보물제 1292호), 삼층석탑(보물제 1277호)과 전적류로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국행수륙대재 의례서)의 덕주사본과 갑사본이 각각 강원도 유형문화재(제156호), 강원도 문화재자료(제150호)가 있다.

    4. 삼화사 전각 01. 적광전 (寂光殿)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4

      삼화사의 본전인 중심법당으로 정면 5칸, 측명 3칸의 팔작지붕에 다포계 양식으로 세워졌으며 갖가지 문양이 어우러진 단청이 화려한 큰 법당이다.

      1977년 사찰이전 때 옮겨세웠으며 1997년 중수하였는데, 국가지정보물인 철조노사나좌불이 봉안되어 있으며 불상 위쪽으로는 화려한 닫집이 조성되어 있고 팔작지붕의 추녀모서리는 콩포를 돌출시켜 연꽃이 환하게 피어난 느낌을 준다.
      적광전은 화엄을 중시하는 선종사찰의 하나로 진리의 빛이 가득한 적정의 세계라는 의미이다. 적광전 현편과 주련은 탄허 스님의 친필을 묘사한 것으로 주련은 자장율사의 불탑게이다.


      萬代輪王三界主(만대윤왕삼계주) 만대의 왕이며 삼계의 주인이여
      護林示減幾千秋(쌍림시멸기천추) 사라쌍수 열반아래 얼마나 세월이 흘렀는가
      眞身舍利今猶在(진신사리 금유재) 부처님 진신사리를 지금 여기에 모셨으니
      普化群生禮不休(보사군생예불후) 뭇 중생으로 하여금 예배를 쉬지 않게 하리.


      c36f1cc54b394ff359bd4bfdc52fd855_1713948249_49.jpg
       

    5. 삼화사 전각 02. 육화료 (六和寮)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4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 당우로 삼화사의 요사채이며 종무소로 사용하고 있다.
      당호인 육화는 불교의 공동체 생활인 육화경법에서 온 말로 송나라 고승 목임의 조종사원에 의하면


      첫째, 혼자만 편히 살지 말고 할께 머물 것
      둘째, 입씨름이나 언쟁을 삼갈 것
      셋째, 뜻의 화합을 위하여 남의 의견을 존중할 것
      넷째, 게로써 화합하여 함께 규율을 지킬 것
      다섯째, 모든 대중이 견해를 같이 할 것
      여섯째, 이익이 있으면 모두 함께 균등하게 나눌 것


      여섯가지로 되어 있으며 탄허 스님의 선계를 보는듯한 일필휘지의 육화료라는 현판이 있다.


      c36f1cc54b394ff359bd4bfdc52fd855_1713948182_06.jpg
       


  • 변경/수정신청

    자유게시판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