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부석사 > 경북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메인으로

대한불교조계종 부석사 浮石寺, PUSOKSA요약정보 및 구매

소개글 26개 / 자유게시판 0개 등록
위시리스트0
말사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6교구 고운사
대표전화 054-633-3464
팩스 054-634-3464
  주지 근일
홈페이지 http://www.pusoksa.org/
  주소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345 Buseoksa-ro, Buseok-myeon, Yeongju-si, Gyeongsangbuk-do
Tag 전통사찰

  • 상품 정보

    상세설명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 해동 화엄종의 종조인 의상대사가 왕명으로 창건한 화엄종의 수사찰이다. 대사가 당(唐) 나라에 유학하고 있을 때 당 고종의 신라 침략 소식을 듣고 이를 왕에게 알리고, 그가 닦은 화엄의 도리로 국론을 통일하여 내외의 시련을 극복하게 하고자 귀국하여 이 절을 창건하였으며 우리나라 화엄사상의 발원지가 되었다. 부석사라 이름하게 됨은 불전 서쪽에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는 아래의 바위와 서로 붙지 않고 떠 있어 뜬돌이라 한 데서 연유하였다 한다. 고려 시대에는 선달사(善達寺) 혹은 흥교사(興敎寺)라 불렸다. 1916년 해체보수 시 발견된 묵서명에 의하면 고려 초기에 무량수전 등을 중창하였으나 공민왕 7년 (1358) 적의 병화를 당하여 우왕 2년(1376) 무량수전이 재건되고, 우왕 3년 (1377) 조사당이 재건되었다.

    경내에는 통일신라시대 유물인 무량수전 앞 석등, 석조여래 좌상, 삼층석탑, 당간지주, 석조 기단 등이 있고, 고려 시대 유물인 무량수전, 조사당, 소조 여래 좌상, 조사당 벽화, 고려 각판, 원융국사비 등이 있다. 특히 무량수전은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목조 건물 중 하나이며, 조사당 벽화는 목조건물에 그려진 벽화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현재 유물관 안에 보관되어 있다. 무량수전 안에 봉안된 여래 좌상은 국내에 전래하는 최고의 소상(塑像)이다. 무량수전 서쪽에 있는 우물은 의상대사의 호법룡(護法龍)이 살았다는 우물이라 전한다.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53_37.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2_5.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4_6.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4_12.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3_5.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5_13.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6_16.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6_63.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4_82.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4_35.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6_41.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55_27.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1_87.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53_57.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55_55.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53_05.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55_03.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1_23.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2_74.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53_76.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5_41.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54_6.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5_88.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53_98.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54_23.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2_21.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3565_61.jpg
     

  • 소개·새소식

    소개글

    총 26 건

    대한불교조계종 부석사 소개
    1. 부석사 무량수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0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7114_96.jpg
       

      국보 제18호

      부석사의 주불전으로 아미타여래를 모신 전각이다. 아미타여래는 끝없는 지혜와 무한한 생명을 지녔으므로 무량 수불로도 불리는데 ‘ 무량수 ’ 라는 말은 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무량수전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건물 가운데 하나 이다. 역사적으로 인정되기로는 안동 봉정사 극락전이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로 알려져 있지만 건물 규모나 구조 방식 ‚ 법식의 완성도라는 측면에서는 무량수전에 비하여 다소 떨어진다.그러므로 무량수전은 고대 불전 형식과 구조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중요한 건물이다 . [원융국사비문]에 의하면 고려 현종 7년(1016) 원융국사가 무량수전을 중창하였다고 한다. 1916년 실시된 해체 공사 때 발견된 서북쪽 귀공포의 묵서에는 공민왕 7년(1358) 왜구에 의하여 건물이 불타서 우왕 2년 (1376)에 원융 국사가 중수하였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건축 양식이 고려 후기 건물과 많은 차이를 보이므로 원래 건물은 이보다 약 100년 정도 앞선 13세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는 광해군 3년(1611)에 서까래를 깔 고 단청을 하였고 1969년에는 번와 보수하였다. 무량수전은 정면 5칸 ‚ 측면 3칸 규모인데 평면의 경우 건물 내부의 고주 사이에 형성된 내진 사방에 한 칸의 외진을 두른 형식을 취했다. 기둥 사이의 주칸 거리가 크고 기둥 높이도 높아 건물이 당당하고 안정감 있게 지어졌다. 지붕은 팔작 형식인데 지붕의 물매는 후대 건물에 비하여 완만하다. 예로부터 건물의 구조는 단면에 위치한 도리의 수를 셈하여 말하는데 이 집은 소위 9량집으로 외목을 제외한 도리가 9개나 되는 큰 건물이다.

      면석과 갑석을 짜맞추어 만든 가구식 기단과 사갑석을 받치는 지대석이 돌출된 계단 ‚ 원형 주좌와 고막이를 가진 초석의 법식은 전형적인 통일신라의 기법을 계승한 것이다. 계단 동측면에 선각된 ‘ 충원적화면(忠原赤花面) 석수김애선 ’ 이라는 기록으로 미루어 고려시대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무량수전은 고려시대의 법식을 거의 완벽하게 보여 주지만 그 가운데 가장 유의하여 볼 부분은 평면의 안허리곡(曲) ‚ 기둥의 안쏠림과 귀솟음 ‚ 배흘림 ‚ 항아리형 보 등 의 의장 수법이다. 자세히 보지 않으면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착시에 의한 왜곡 현상을 막는 동시에 가장 효율적인 구조를 만들기 위하여 고안되 고도의 기법들이다.

      안허리곡은 보통 건물 중앙보다 귀부분의 처마 끝이 더 튀어나오도록 처리한 것을 말하는데 기둥의 안쏠림과 관계가 있다. 안쏠림은 기둥 위쪽을 내부로 경사지게 세 운 것이다. 무량수전에서는 안허리곡과 안쏠림이 공포와 벽면에까지 적용되어 마치 평면이 오목거울처럼 휘어 있다. 귀솟음은 건물 귀부분의 기둥 높이를 중앙보다 높 게 처리하는 것인데 수평 부재의 끝부분이 아래로 처져 보이는 착시를 막아준다. 기둥의 배흘림 역시 기둥 머리가 넓어 보이는 착시 현상을 막기 위한 것인데 무량수전 의 기둥은 강릉 객사문 다음으로 배흘림이 심하다.

      무량수전의 공포 형식은 기둥 위에만 배치된 소위 주심포계인데 매우 건실하게 짜여졌다. 주두 위에서 공포의 짜임이 시작되고 벽면 방향의 첨차와 튀어나온 제공의 길이가 똑같은 전형적인 벽면 방향의 첨차와 튀어나온 제공의 길이가 똑같은 전형적인 북방계통의 수법이다. 주두와 소로는 내반된 곡선의 굽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공 포 사이 포벽에 뜬 소로를 가지고 있는 점은 이 집만의 특징이다. 무량수전 정면 중앙칸에 걸린 편액은 고려 공민왕의 글씨이다.

      내부 서쪽에는 불단과 화려한 닫집을 만들어 고려시대에 조성한 소조 아미타여래 좌상(국보 제45호)를 모셨다. 협시보살 없이 독존으로만 동향하도록 모신 점이 특이 한데 교리를 철저히 따른 관념적인 구상이라 하겠다.
      그렇지만 불상을 동향으로 배치하고 내부의 열주를 통하여 이를 바라보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인 불전에서는 느낄 수 없는 장엄하고 깊이감 있는 공간이 만들어졌다. 일 반적으로 진입하는 정면쪽으로 불상을 모시는 우리나라 전통 건축에서는 드문 해결 방식이다. 여기서 우리는 이 집을 만든 대목(大木)의 뛰어난 감각을 느낄 수 있다.

      대들보 위쪽으로는 후대 건물과는 달리 천장을 막지 않아 지붕 가구가 잘 보인다. 굵고 가늘고 길고 잛은 각각의 부재들이 서로 조화 있게 짜맞춰진 모습은 오랫동안 바 라보아도 싫증이 나지 않는다. 어떤 이는 이와 같은 무량수전의 천장 가구에서 고저장단의 운율을 느낄 수 있다고도 하였다.
      이렇게 천장을 노출시키려면 각각의 부재가 아름답게 디자인되어야 하고 또한 정확하게 짜맞추어야 하므로 품이 훨씬 더 들어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옛 목수들은 이 러한 건물을 많이 지었다. 특히 고려시대 주심포 집들에는 천장을 가설하지 않은 것이 많다.

      원래 내부 바닥에는 푸른 유약을 바른 녹유전을 깔아서 매우 화려하였다. 아미타경을 보면 극락 세계의 바닥은 유리로 되었다고 하는데 녹유전은 이러한 이상 세계를 표현하기 위한 장엄 도구의 하나였던 것이다.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7136_5.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7136_65.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7136_76.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7136_84.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7136_93.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7137_02.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7137_51.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7137_62.jpg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7137_75.jpg
       

    2. 부석사 안양루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0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6856_67.png
       

      안양루는 무량수전 앞마당 끝에 놓인 누각이다. 정면 3칸 ‚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로 무량수전과 함께 이 영역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 건물에는 위쪽과 아래쪽에 달린 편액이 서로 다르다. 난간 아랫부분에 걸린 편액 은 ‘ 안양문 ’ 이라 되어 있고 위층 마당 쪽에는 ‘ 안양루 ’ 라고 씌어 있다. 하나의 건물에 누각과 문이라는 2중의 기 능을 부여한 것이다. ‘ 안양 ’ 은 극락이므로 안양문은 극락 세계에 이르는 입구를 상징한다.
      따라서 극락세계로 들어가는 문을 지나면 바로 극락인 무량수전이 위치한 구조로 되어있는 것이다.

      안양루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엎드려 모여 있는 경내 여러 건물들의 지붕과 멀리 펼쳐진 소백의 연봉들이 한눈 에 들어온다. 아스라이 보이는 소백산맥의 산과 들이 마치 정원이라도 되듯 외부 공간은 확장되어 다가온다. 부 석사 전체에서 가장 뛰어난 경관이다. 그래서 예부터 많은 문인들이 안양루에서 바라보는 소백의 장관을 시문으 로 남겼고 그 현판들이 누각 내부에 걸려 있다.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6865_71.png
       

    3. 부석사 선묘각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0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6791_88.png
       

      선묘각은 무량수전 북서쪽 모서리에 위치하고 있는데 의상 조사의 창건 설화와 관련된 인물인 선묘를 모신 건물이다. 규모도 작고 기단도 없이 초라하여 마치 작은 사찰의 산신각 같은 느낌을 준다. 정면과 측면이 각각 1칸 규모의 맞배집인데 가구 방식이나 부재를 다듬은 수법으로 보아 최근세의 건물인 듯하다. 내부에는 1975년에 그린 선묘 의 영정이 걸려있다.

    4. 부석사 조사당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0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6747_16.png
       

      국보 제19호

      조사당은 무량수전에서 북쪽으로 약간 떨어진 산 중턱에 있다. 정면 3칸 ‚ 측면 1칸 규모의 작은 전각으로 측면 쪽 으로 약간 비스듬히 진입하여 소박하고 간결한 느낌을 준다. 지붕은 맞배 형식으로 간단해 보이지만 넉넉하게 뻗어 나와 결코 작은 건물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1916년의 해체 공사 때 발견된 장여 위의 묵서에 의하면 조 사당은 고려 우왕 3년(1377)에 원응 국사가 재건한 것이다. 조선 성종 21년(1490)에 중수하고 성종 24년(1493)에 단청하였으며 선조 6년(1573)에는 서까래를 수리하였다.

    5. 부석사 취현암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0

      e1642082975ae14f1a7e5f92229ec2d8_1717956703_24.png
       

      취현암은 조사당 동쪽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는데 1997년도에 복원되어 2002년까지 선원으로 활용되고 있다가 지금은 부석사 산내암자로서 쓰이고 있다. 조선시대 사명대사의 수도처로 유명하고 부석사 경내에서 가장 좋은 곳 에 위치하고 있다.

  • 변경/수정신청

    자유게시판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