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심원사 > 경북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메인으로

대한불교조계종 심원사 요약정보 및 구매

소개글 12개 / 자유게시판 0개 등록
위시리스트0
대표전화 054-931-6887
이메일 simwon@tempelstay.com
  주지 응관(應觀)
홈페이지 http://simwonsa.com/
  주소 경북 성주군 수륜면 가야산식물원길 17-56
   경북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1840-3 심원사
   17-56 Gayasansingmurwon-gil, Suryun-myeon, Seongju-gun, Gyeongsangbuk-do
Tag 전통사찰, 가야산심원사
  • 상품 정보

    상세설명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가야산 동쪽 자락에 위치한 심원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입니다. 가야산은 예로부터 해동의 8승지 중 하나이며 수많은 시인 묵객의 영감의 원천지였습니다. 가야산은 1972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백운동 심원사는 성주읍으로부터 27km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는데, 주봉인 칠불봉은 해발 1433m입니다. 멀리 앞에 보이는 팔공산 위로 솟아오르는 황금빛 세상을 안으며 가야산의 하루는 장엄한 일출로 문을 엽니다. 힘차게 솟은 장군봉과 연이어 있는 만물상과 칠불봉의 신령스러움은 남성적인 가야산의 정수를 느끼게 합니다. 가야산 백운동으로 들어서면 넓은 주차장 옆으로 '까마귀 검다하고 백로야 웃지 마라. 겉이 검은들 속까지 검을쏘냐. 겉 희고 속 검은 건 너뿐인가 하노라'라는 시조를 지은, 조선 태종 때의 영의정을 지낸 이직(李稷) 선생의 시비가 있고, 그 옆으로 심원사 표지가 보입니다.

    울창한 소나무 숲길을 따라 걷다보면 높은 축대 위로 웅장한 사찰이 나타납니다. 정면 중앙 계단을 올라서면 가운데에 보이는 고탑과 그 뒤에 화려한 대웅전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대웅전 왼편으로는 극락전, 오른편으로 목탑형식의 아름다운 약사전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 밑의 중앙에는 9세기 초에 조성된 심원사 삼층석탑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116호)과 아름다운 형식의 광배, 석조 유물 일괄(경상북도 문화재자료 525호) 등 다수의 문화재가 있습니다. 탑의 양 옆으로는 똑같은 형식으로 건축된 관음전, 문수전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심원사는 고려 때 도은 이숭인 선생의 심원사 장로께 드리는 시에서 '심원고사 재야산(深源古寺 在倻山) 심원사 옛 절은 가야산 속에 있는데' 라는 구절에서 보듯이, 고려 때에도 옛 절로 불리웠을 만큼 오랜 역사를 지닌 사찰입니다. 주변 가야산 일대에는 용기사지, 신라 거찰(巨刹) 법수사지, 백운리사지, 일요암지의 육대신장 등의 불교유적지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심원사에서 10분 거리에는 한가로운 대가천가에 자리한 회연(檜淵)서원도 있습니다. 영남 5현 가운데 한분인 한강 정구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입니다.

    가야산 식물원에는 온갖 꽃들과 나무가 있어 학생들의 현장 학습장으로 각광 받고 있고, 가야산 산신의 이름을 딴 정견대는 가야산의 장관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전망대입니다. 영남의 영산인 가야산은 운무가 가득한 산수화로, 화려하게 치장한 가을날의 얼굴로, 순결한 설산의 모습으로 사계절 내내 많은 이들의 발길을 부릅니다. 용기골과 칠불봉으로 오르는 등산로 코스가 또한 인기 있습니다. 용기골은 웅장하고 남성적인 가야산의 진수를 만끽할 수 있는 등산로입니다. 길을 따라 이어지는 맑은 계곡은 등산의 묘미를 더해줍니다. 이곳은 노각나무와 조릿대 군락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으며, 다람쥐, 토끼 등이 제 세상을 만난 듯 뛰놀고 있습니다. 자연학습장으로도 손색이 없어 어린이가 딸린 가족동반 등산로로도 아주 좋아 사시사철 많은 이들이 찾고 있습니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28581_07.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28581_48.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28806_92.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28581_31.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28581_7.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28580_56.jpg 

  • 소개·새소식

    소개글

    총 12 건

    대한불교조계종 심원사 소개
    1. 심원사 대웅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31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봉안한 건물로서 가람의 중심건물이다. 대웅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가리키는 별칭이다. 부처님은 2천6백여 년 전에 중인도의 카필라성에서 태어났으며, 역사적으로 실재했던 분이다. 출가해서 6년의 힘든 수행 끝에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었다. 모든 번뇌를 단숨에 끊어버리고 위대한 승리자가 된 것이다. 그래서 큰 영웅, 즉 대웅(大雄)이라 하였으며, 그를 모신 전각을 대웅전(大雄殿)이라 부르게 되었다.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부처님의 좌우에 약사부처님과 아미타부처님, 또는 아미타부처님과 미륵부처님을 봉안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대부분 ‘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 부른다.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14637_38.jpg
       

      석가모니 부처님(중앙)
      석가모니부처님의 좌우 협시보살(協侍菩薩)은 반야(般若)의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文殊菩薩)과 중생을 위해 서원을 세우고 수행하는 행원(行願)을 상징하는 보현보살(普賢菩薩)이 대표적이다. 심원사는 선법과 교법을 상징하는 가섭존자(오른쪽)와 아난존자(왼쯕)을 봉안하였다. 수인은 전형적이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대개 좌우에 반야의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과 행원의 원대함을 상징하는 보현보살을 조성하거나 관세음보살과 지장보살(또는 대세지보살)을 봉안하는데, 심원사는 선법과 교법을 상징하는 가섭존자(오른쪽)와 아난존자(왼쪽)을 봉안하였다.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14650_88.jpg
       

      가섭존자(좌측)
      마하가섭(摩訶迦葉, ㅡMahakasyapa) - 두타제일(頭陀第一)이라 불리는 부처님 제자로, 인도 왕사성에서 바라문의 아들로 태어나 일찍이 결혼하였으나, 세속적 욕망의 무상함을 깨달아 부부가 함께 출가 수행자가 되었다. 부처님께 귀의한지 8일만에 바른 지혜의 경지 즉 아라한(阿羅漢)의 과위를 증득한 그는 항상 의식주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심신을 수련하는 두타행을 행하였으며, 불교교단의 으뜸가는 제자로 존경받고 부처님께서 입멸하신 후 불교교단을 운영하게 되었다. 부처님 입멸 후 500명의 제자들을 모아 부처님께서 설하신 경(經)·율(律)을 결집하였으며, 선가(禪家)에서는 부처님 법을 전한 제1조 조사로서 받들고 있다.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14660_63.jpg
       

      아난존자(우축)
      아난존자(Ananda)는 부처님의 10대 제자 중에 한사람이다. 25년 동안 부처님 곁을 지키며 하루도 빠짐없이 시봉하였다. 한 번도 싫은 내색을 보이지 않고 정성을 다했으며, 부처님의 설법이라면 하나도 빠짐없이 다 듣고 기억하였지마, 부처님이 생전에 계시는 동안에는 도를 깨치지 못하였다. 그런 까닭에 부처님께서 열반에 든 뒤 가섭존자의 주재로 칠엽굴에서 제1회 결집(結集)을 할 때 거기 참석할 자격이 없었다. 문자가 없었던 당시에 부처님의 말씀을 정확하게 기억하여 후세에 전할 방법과 교단의 운영 문제 등을 상의하기 위한 첫 번째 회의였다. 거기에는 도를 깨친 500명의 아라한(阿羅漢)만이 참석하는 곳이기 때문에 도에 이르지 못한 아난다는 참석할 수 없었다. 이에 크게 분발한 아난다는 홀로 절벽 끝에 가서, 발꿈치를 들고 발끝으로 7일간이나 꼼짝 않고 서서 용맹정진한 결과 드디어 도를 깨달아서 아라한이 되었다. 그리하여 장로들만 모이는 제1회 결집에 참석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14671_65.jpg
       

    2. 심원사 극락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31

      미타전으로도 불리는 극락전에는 서방정토의 주인인 아미타불을 봉안한다. 아미타불은 그 광명이 백천억 불국토를 비추고, 수명 또한 한량이 없어 백천억겁으로도 셀 수 없다 하여 무량수전이라 부르기도 한다. 정토 3부경(무량수경, 관무량수경, 아미타경)을 토대로 성립된 정토사상은, 불보살의 명호를 염불하는 것만으로도 극락세계에 태어날 수 있다 하여 민중들의 많은 호응을 받았다. 좌우 협시로는 중생을 극락으로 인도하는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 또는 관세음보살과 지장보살을 조성하는데 심원사는 아미타불만 봉안하였다.


      아미타불
      서방정토에 머물면서 중생을 극락으로 이끈다는 부처다. 다섯 구원불 가운데 하나로 '무한한 수명'이라는 뜻을 가졌다. 아미타불을 믿고 그 이름을 부르는 사람들이 모두 정토에 태어나 복을 누리며 살다는 믿음을 기반으로 한다. 아미타불 신앙으로 650년경부터 중국에서 널리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한국에는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께서 〈아미타경소〉를 계기로 정토신앙이 시작되었으며 이후 불교신앙의 일반적인 형태로 정착되었다.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14521_3.jpg
       

    3. 심원사 약사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31

      약사유리광여래(약사불)를 주존불로 봉안한 건물이 약사전이다. 약사여래는 병고로 신음하는 중생의 구제를 서원으로 삼은 부처이다. 따라서 다른 어떤 불보살보다 더 중생 가까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기도를 올리는 대상이다.


      일반적으로 약사불은 한 손에 약함이나 약병을 들고 있으므로 쉽게 구분할 수 있는데, 그 때문에 대의왕불이라 불리기도 한다. 보통 좌우에는 일광변조보살과 월광변조보살을 협시불로 봉안하는데 심원사의 약사전 형태는 봉암사 극락전과 같은 2층 목탑형식을 따르고 있으며, 협시불을 모시지 않고 약사여래불만 봉안하였다.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14468_76.jpg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14468_86.jpg
       

    4. 심원사 산신각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31

      토속적인 산신을 그린 탱화나 조각상을 봉안해 놓은 전각이다. 불교가 민간의 토속신앙을 받아들여 불교화 하는 대표적인 예로서, 우리나라 불교의 특징중 하나로 꼽힌다. 심원사 산신각은 가야산 산신 정견모주를 모셔놓은 곳으로 정견모주는 대가야 및 금관가야 시조의 어머니이다. 원래 가야산신으로 천신인 이비가지에게 감응되어 대가야의 이진아시왕과 금관가야의 수로왕을 낳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제29권 경상도 고령현(高靈縣) 편에 인용된 최치원(崔致遠)의 《석리정전(釋利貞傳)》에나오는 인물이 정견모주이다.


      정견모주는 원래 가야산신(伽倻山神)으로, 천신(天神)인 이비가지(夷毗訶之)에게 감응되어 대가야의 왕 뇌질주일(惱窒朱日)과 금관가야의 왕 뇌질청예(惱窒靑裔)를 낳았는데, 뇌질주일은 이진아시왕(伊珍阿豉王)의 별칭이요, 뇌질청예는 수로왕(首露王)의 별칭이었다.


      이것은 금관가야와 대가야의 시조가 천신과 지모신(地母神)의 결합에 의해 태어났음을 알리는 것이다. 가야산 정상 가까운 곳에 정견모주의 처소가 아직도 있다. 해발 1,400여 미터 가까운 곳에 움막을 지을만한 터와 함께 샘이 있다. 이 샘가에 정견모주는 초막을 짓고 살았고 여기서 멀지 않은 가야산 정상에 내려온 천신 이비가지와 신방을 차려 가야의 두 시조인 주일(이진아시)과 청예(수로왕)를 낳은 것이다.


      이 곳 샘터는 늘 신비로운 서기가 느껴지는 곳이다. 멀리 대가야와 금관가야의 땅이 바라 보이는 이 곳에서 태어난 두 시조는 흩어졌으니, 동쪽으로 간 주일은 대가야를, 남쪽으로 간 청예는 금관가야를 세웠다. 설화와 일치하는 현장인 이 신비로운 샘가에 그 사실을 알리는 표지석은 없지만 간간이 발견되는 고대 토기 파편은 그 사실을 알리고 있다.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14397_04.jpg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14397_2.jpg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14397_12.jpg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14397_63.jpg
       


    5. 심원사 지장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31

      명부전 또는 시왕전이라고도 불리는 지장전에는 염라대왕을 비롯한 명부10왕이 봉안되어 있다. 내부에는 지장보살을 주존으로 하여, 협시는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을 봉안하고, 좌우로 10왕상을 나누어 배치한다. 지장보살은 석가모니가 입명한 후부터 미륵이 이 세상에 올 때까지 부처 없는 세계에 머물면서 육도의 중생을 제도한다. 특히 중생 모두가 구제될 때까지 자신의 성불마저 미루고 보살행을 다할 것을 서원한 대원보살로서 유명하다. 묘당보살, 지지보살 등으로도 불린다. 심원사는 전각을 따로 하지 않고 옥외에 지장보살을 봉안하였다.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14298_48.jpg
       

  • 변경/수정신청

    자유게시판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