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단/사찰
-
상품 정보
상세설명
백련사의 본래 이름은 만덕산 백련사(萬德山 白蓮寺)이며 조선후기에 만덕사로 불리우다가 현재는 백련사로 부르고 있으며 신라말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고려명종(1170년)때 원묘국사 요세에 의해 중창되었다. 고려 후기에 8국사를 배출하였고 조선 후기에는 8대사가 머물렀던 도량이며 고종 19년(1232년) 에 원묘국사 3세가 이곳에서 보현도량을 개설하고 백련결사를 일으킨 유서 깊은 명찰이다. 대웅전은 조선 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집으로 겹처마인 다포식 건물이다. 내부에는 목조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는데 조선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 하고 있다. 이 삼존불은 중앙 본존불이 석가여래이기 때문에 당연히 좌우의 불상은 보살상이 배치 되어야 하는데도 여래상을 안치한 점이 특이하다. 조선 후기에 몇 차례의 중수가 이루어졌으며, 현재는 대웅전, 응진당, 명부전, 칠성각 등의 건물이 남아있다.
남도답사일번지 강진 백련사(白蓮寺)의 템플스테이는 천연기념물 151호인 동백숲 명상과 다산 선생과 혜장선사의 우정의오솔길을 새벽 산책으로 옛선인들의 숨결을 느끼고 천일각에서 일출을 보며, 달빛 좋은밤이면 육화당에서 금빛물결 일렁이는 구강포를 굽어보면서 주지스님과의 다담이 마련되어 있으며, 계절별로 다산의 찻잎를 채취해 발효차(자하차)만들기와 찻씨줍기, 동백씨앗 주워서 단주 만들기 등이 마련되어 있다. 단체일 경우 문화해설사를 초빙해서 남도 문화답사의 좋은 추억도 만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