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학림사 > 충남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메인으로

대한불교조계종 학림사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소개글 8개 / 자유게시판 0개 등록
위시리스트0
대표전화 042-825-1724
   042-825-0515, 오등시민선원 042-825-0515
홈페이지 http://haklimsa.org/
  주소 충남 공주시 반포면 제석골길 67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514
   67 Jeseokgol-gil, Banpo-myeon, Gongju-si, Chungcheongnam-do
Tag 사찰, 오등선원, 오등시민선원
  • 상품 정보

    상세설명

    학림사에는 물질문명을 극복하고 평화로운 세계 창조를 위한 유일한 대안으로 선(禪) 사상을 널리 펴고자 개원된 오등시민선원이 있습니다. 또한 백용성 스님의 선맥을 이은 윤고암 전 종정스님의 전법제자이신 학산 대원 조실스님이 주석하고 계십니다. 대선지식이신 큰스님은 오로지 참선을 대중화, 생활화하고, 참선공부에 대한 정확한 지도와 점검 및 경책을 해주십니다.

    학림사의 뒷산은 계룡이 날개를 펴고 승천하는 듯하며, 좌측에는 장군봉, 임금봉이 위엄 있게 나란히 있습니다. 전면의 갑하산은 학이 나래를 펴고 학림사를 향하여 날아오는 듯하고, 동남간에는 연화봉이 솟아서 제석천왕이 연꽃을 바치는 형국이며, 남쪽에는 문필봉이 우백호를 맡고 있습니다. 좌측의 청룡계곡에는 사시사철 마르지 않는 청량옥수가 흐르고 어두운 밤에는 별빛이 총총한 곳으로 청정한 기운이 가득하여 템플스테이와 참선수행 도량으로는 모든 조건을 완비하고 있습니다.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70_86.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71_03.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70_13.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67_96.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65_6.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65_9.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71_67.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67_4.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66_41.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66_7.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70_62.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66_15.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68_53.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70_37.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71_45.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68_24.jpg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1667_71.jpg
     

  • 소개·새소식

    소개글

    총 8 건

    대한불교조계종 학림사 소개
    1. 학림사 오등선원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5

      오직 부처님의 혜명을 밝히고자 오로지 정진에만 매진하되 일체 다른 시비를 거론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용맹참선도량입니다. 7일만 화두가 성성해도 깨칠 수 있다는 묘법 아래, 매 정규 안거(동안거, 하안거)는 물론 춘계안거, 추계안거 마지막 보름 안에 일주일 “특별용맹정진”하고 있으며, 특히 동안거 3개월 동안은 18시간 용맹정진을 하고 있고 이런 좋은 수행 풍토를 전국 선방스님들에게 골고루 혜택을 주며, 특히 재가자들이 신명나게 정진할 수 있도록 년 4회 (춘계,추계) 사부대중이 동참하는 일주일 “특별용맹정진”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오등선원 스님들이 용맹정진 한다고 상을 내서 선전하고자 함이 절대 아니고, 이런 신선한 수행 풍토가 뜻있는 사부대중에 널리 알려져 수희동참해서 오로지 불조의 혜명을 잇고자 함입니다. 위에서 표현된 “특별용맹정진”이란 안 눕고, 안 기대며, 안 자기 21시간 전 시간 대좌경책을 칭함.

      오등선원의 역사적 고찰

      학림사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계룡산 자락에 위치한 사찰이다. 예전에는 제석사(帝釋寺)라는 고찰이 있었는데 임진왜란이 당시 소실된 것으로 학봉리 마을에 구전(口傳)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학림사는 1986년 8월 조계종 전 종정이셨던 고암(古庵) 대종사님을 증명으로, 법제자이신 학산 대원스님에 의하여 재창건(再創建)하였다. 지금 학림사가 있는 골짜기의 옛 명칭이 제석골인데 ‘제석(帝釋)이라 함은 불교의 제석천왕을 말하는데 불교의 우주관에 의하면 이 우주에는 육도의 세계가 있는데 천상, 인간, 아수라,지옥, 아귀, 축생계 이다 수미산(須彌山)과 천상세계의 33천이 있는데 그 중의 도리천(忉利天)에 제석천왕이 거하며 우주를 관장하는데 불교를 위해 호법하는 성중의 왕이기도 하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설산에서 성도한 후에 바로 열반에 들려 했으나 바로 이 제석천왕이 열반에 들지 마시고 인연 있는 중생을 자비로써 교화 인도해 줄 것을 간청하여 부처님께서 비로써 중생을 위해 설법하시기 시작하여 49년간 중생교화를 마치시고 열반하셨으니 오늘날 우리에게 불교가 전래 될 수 있었던 것은 모두 제석천왕의 은덕이라 할 수 있겠다.

      이렇듯 여기 골짜기의 옛 명칭이 제석골 이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이곳에서 불교적 색체를 엿 볼 수 있으며 지금의 학림사터에 ‘제석사(帝釋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전래된다. 그 전래 내용을 살펴보면 삼국시대에 백제왕이었던 의자왕이 제석봉, 즉 지금의 임금봉에서 국태민안을 위하여 기도를 하고 내려와 이 자리에 사찰을 창건하고 그 사찰 명칭을 제석천왕이 백제를 호국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의자왕이 제석봉의 이름을 따서 제석사라 이름 하였다. 그래서 지금에는 제석봉을 임금봉이라고 부르고 있다. 위와 같은 설도 또 신라의 자장율사께서 이곳 계룡산에서 수도하실 때 마침 이곳을 지나다 참으로 영묘한 터라는 생각에 잠겨 이곳에 사찰을 창건한다면 앞으로 능히 신라가 삼국을 통일 할 수 있다는 영감에 사찰을 창건하고 제석봉이 바로 이곳 위에 위치하여 제석봉의 이름을 따서 제석사라 이름하고 얼 동안 주석 하셨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구전이고 지금 명확히 창시기를 엿볼 수 있는 사서나 체계적인 문헌기록의 자료를 찾을 수 없는 안타까움이 있다. 다만 학봉리 마을의 노인들에 의하면 조선시대까지는 절이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혹은 그 밖의 사유로 절이 소실되었다고 전해질 뿐 이다. 그러나 86년에도 학산대원스님께서 사찰을 재창건 할 때 평토 작업을 하는 와중에 많은 기와 등이 발견되기도 한 점을 미루어 예전의 제석사 터라고 생각하고 불사의 서원을 굳건히 하게 되었다.

      계룡산 학림사 뒤편의 주봉(主峯)은 계룡산(鷄龍山) 천왕봉의 정맥이 석릉(石稜)을 타고 내려와 힘차게 좌우굴곡(左右屈曲)하고 상하기복(上下起伏)하면서 내려와 현재 지금의 헬기장이 있는 곳에서 한 번 크게 솟아서 힘을 맺은 다음에 다시 그 맥(脈)을 타고 학림사로 뻗어 내려오고 있다. 또한 그 주봉에서 좌청룡(左靑龍)로는 장군봉과 임금봉,수리봉이 힘차게 솟아 있고 우백호(右白虎)로는 그 맥이 내려오면서 세 갈래가 되어 학림사를 옹호하고 있어 많은 인정(人情)을 모으게 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 남주작(南朱雀)은 학이 머리를 길게 빼어 이곳을 향하여 날아오고 있는 형상을 가고 있으며, 물이 나가는 외수구(外水口)는 금강으로 이어져 학림사 도량을 크게 감싸고 돌아나가고 있다. 그 수구(水口)의 사(沙)는 전형적으로 거북의 모양을 띄고 있어서 여기 도량이 자연이 정해진 천혜(天惠)의 수행 도량임을 알 수 있다. 여기 도량은 장군이 칼을 차고 있는 ‘장군안검(將軍按劍)’ 이면서 선인(仙人)이 학을 타고 있는 ‘선인기학(仙人騎鶴)’ 형국을 이루고 있다. 동남간으로 연화봉(蓮華峰)이 솟았으며 남쪽으로 문필봉(文筆峰)이 솟아 있다.

      여기에 좌청룡 쪽으로 그 계곡은 사철 물이 끊이지 않고, 수질 정밀검사에서 보면 1급수에 해당되며, 이곳은 내청룡(內靑龍)이 도량 전체를 감아 돌고 나가는 전형적인 명당(明堂)에 위치하고 있다. 사찰을 재 창건하신 학산대원 선사는 오랜 세월을 참선수행으로 일관해오다가 86년 우연히 어느 노옹이 이곳에 예전에 절이 있었는데 참으로 좋은 곳이라는 말을 듣고, 직접 탐방하여 스님들이 수행정진 하기에 적격임을 판단하고 다시 절을 창건하기로 결심을 한 것이다.

      그러나 오랜 동안 수행으로만 일관하였기 때문에 스님께서는 재정적으로나 그 밖으로 여러 가지로 사정이 여의치 않아 어려운 처지에 놓여 아쉬움을 남기고 발걸음을 계룡산 갑사로 가서 하룻밤 묵어가기로 생각하시고 갑사에 도착하셨는데 그날 저녁에 좌선 정진하는 도중 비몽사몽간에 예사롭지 않은 노스님 한 분이 주장자를 짚고 나타나 따라오라고 하시어 기이하게 생각하고 노스님을 따라 나섰는데 한참을 따라와서 노스님이 멈추어서 와보니 바로 그날 왔다가 아쉬움을 남기고 간 바로 그 자리였던 것이었다.

      노스님께서 주장자를 짚고 사방을 돌아보시고 하시는 말씀이 이 자리에 도량을 세워 수행정진 하면 많은 도승(道僧)이 배출된다고 하시면서 학산대원 스님의 마음을 간파하시고 말씀하시길 “스님이 뜻이 있으시면 반드시 소원을 이루게 될 것이니 걱정하지 마시오.” 하셨다. 그래서 학산대원 스님이 그 노스님께 묻기를 “스님께서는 누구시옵니까.” 하니 노스님께서 “이름을 알아 무엇하겠는가.” 하시면서 “나는 지장이라 하네.” 하시고는 홀연히 눈앞에서 사라지셨다.

      스님이 정신을 차리고 보니 꿈같은 것이었으나 생시와 다름이 없이 생생하고 불보살의 현시(現示)로 예사롭지 않게 생각하여 다시 이곳 옛 제석사 터(지금의 학림사)로 돌아와 보시고서 사찰재창건의 마음을 굳히고 수행 당시 제방선원에 대중공양을 위해 왔던 인연 있는 불자들을 만나서 그간의 전후 사정을 말하고 창건의 의지를 보이니 흔쾌히 받아들여져 땅을 매입할 수 있었다. 그 후에 윤고암 대종사(大宗師)를 모시고 다시 이곳을 탐방하셨는데, 이곳을 보신 고암스님께서 탄복하며 이 터는 선수행의 도량으로는 손색이 없다고 극찬을 하시면서 이 계룡산 일대에 선수행(禪修行) 도량이 없으니 이곳에 사찰과 선원(禪院)을 다시 창건하라는 말씀을 하셨다. 또한, 지금은 열반하신 불국사와 법주사의 조실(祖室)을 역임 하셨던 월산 선사(禪師)께서도 당시에 이곳을 탐방하시고는 사찰을 재창건할 것과 아울러 선원을 개원(開院)할 것을 부촉 하시었다.

      그래서 1차적으로 학산대원 스님께서는 작은 토굴을 창건하고 은법사이신 고암상언 대종사(大宗師)를 모시고 부처님 점안식을 봉행하고 주석하셨다. 먼저, 대원스님이 작은 토굴을 창건하고 고암 스님을 모시고 부처님 점안식을 봉행하고 주석하셨다. 그 다음에 정식으로 1986년도에 사찰을 재창건하고 옛 제석사의 명칭을 개칭하여 ‘학림사(鶴林寺)’라고 이름하고 점차 가람을 정비하여, 1995년에 학림사 내 선원을 건립하여 선원 이름을 ‘오등선원(五燈禪院)’이라 하여 사부대중 천여 명이 운집한 가운데 학림사 오등선원의 개원식을 거행하고 학산대원 선사를 조실로 추대하였다. 또한 최근에 일반 시민들의 정신문화를 선도할 시민선원도 건립하여 일반 불자들도 정진 할 수 있게 하였다.

      현재 오등선원은 인근 대전, 충남은 물론 전국의 사부대중이 모여서 학산대원 조실 큰스님의 가르침과 경책 아래 결제와 산철을 가리지 않고 용맹정진하고 있다.

    2. 학림사 오등시민선원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5

      오늘날 물질문명의 혼란속에서 인생의 고뇌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화두참선 뿐입니다. 오등시민선원은 한암 대원 큰스님의 지도와 경책 아래, 모든 불자들이 공부할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 일일참선, 3일참선, 한달참선, 하안거 및 동안거 수행, 1년 365일 누구든지 언제나 참여할 수 있는 참선수행도량입니다. 참나, 진여불성의 자리에 찾는 바른길을 제시해드리겠습니다.

      참선 수행프로그램

      * 토요일
      오후 7시 40분 ~ 9시 : 학산 대원 큰스님 강의(역대법보기)
      오후 10시 ~ 새벽 3시 : 참선철야정진
      * 일요일
      오전 7시 30분 : 소참법문

      학림사 오등시민선원의 미래적 사명

      학림사 오등선원의 조실이신 학산대원 스님께서는 1999년도 5월경에 미국 시애틀에 있는 선센터의 선법문(禪法問)의 법회(法會)에 초청 받아 법문을 하시고 돌아오시면서 많은 것을 생각하시었다. 그것은 바로 미국의 뉴에이지 열풍에 의한 교포들과 미국인들의 정신문화에 대한 지대한 관심으로 불교가 선풍적으로 미국전역에 퍼지고 아울러 참자아(眞我)의 근원(根源)에의 회귀(回歸) 사상인 선수행(禪修行)의 열풍이 부는 것을 목격하시고 1600년의 불교역사를 간직한 작금의 우리 나라의 현대 국민들의 대다수의 의식이 타락되어 5000년 역사의 한국의 도덕이 매몰되고 본래 깨끗한 부처님 마음을 등지고 물질주의와 쾌락주의의 일변도로 나아가는 것을 보고 통탄하시어 시급히 인간의 본성(本性)을 회복하고 타락된 의식을 정화하고 이 땅에 도덕과 자비가 넘치는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참자아를 발견하는 선수행을 통해서만이 이룩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시민선원을 건립하게 되었다.

      선진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오늘날 타락된 의식을 회복하는데에는 선수행을 통해서만이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곳곳에 선(禪)센타를 건립하고 선수행이 대중화가 되어가고 있다, 참자아의 회복만이 인생최고의 행복과 자신, 가정, 사회, 국가, 전 인류가 대안정을 이룩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선수행을 하고 있는데 이 열풍이 오히려 외국에서 이처럼 뜨거워지고 있는데 비해 1600년의 불교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우리 나라의 현재 국민들은 선수행을 통해 의식을 깨우쳐 의식을 더욱더 확장하여 높은 의식세계로 나아가는 것을 도외시하고 현실 물질주의에만 치중해 나아가니 더욱더 외국에 비해 의식이 뒤떨어져서 급기야는 국가적으로는 경제대란인 IMF를 당하고 교육적으로는 후진교육의 획일 교육에 벗어나지 못해 입시 일변도의 획일 교육으로 말미암아 정부 교육정책이 무너져 사교육이 난무하여 학부모들의 경제고에 한 몫을 더하고 중산층이상들은 자녀 교육문제로 이민이나 조기유학을 보내지 못해 안달하고 육성교육의 모체인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인성교육을 하지 못해 선생과 학부모들도 어찌할 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르러 우리 나라의 미래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우리의 의식향상은 물질문명과 과학, 의학 등의 학문만으로는 인간 본연의 본성을 회복을 할 수는 없다, 인간 본연의 참자아를 회복하는 유일한 방법은 오로지 정신훈련을 즉 선수행을 통해서 의식을 개혁하여야만 자신의 본성을 회복할 수밖에 없다고 스님께서 판단하시고, 우리 나라 국민들의 의식향상을 도모하시고자 시민선원 건립하였고 선수행의 지도에 앞장설 것을 다짐하시었다.

      현재 시민선원에서는 항시 대중들이 상주하며 선수행을 하는 대중이 평일에 약 25여명이고 토요일 특별철야정진에 참여하여 선수행을 하는 시민이 약 25여명 등, 주말에는 모두 해서 50여명 정도가 수행정진 하고 있다. 앞으로 시민선원의 정식 개원식을 앞두고 이렇게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는 것을 보면 정식 개원식 이후에는 더욱더 많은 시민들이 참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시민선원에는 모든 종교를 초월해서 신분고하를 막론하고 남녀노소 누구나 시민선원의 규칙에 따라 참여 수행정진할 수 있다. 앞으로 스님들의 선원을 다시 신축하면 현재 수님들이 사용하고 있는 선원에도 일반 시민들에게 더 많이 개방할 예정이고 앞으로 더 많은 시민이 참여하여 선수행을 통하여 〔나는 누구인가?〕를 깨달아 타락된 우리의 의식을 개조하고 맑고 깨끗한 참자아를 되찾아 자신의 진면목(眞面目)을 현실에 들어내어 씀으로서 영원한 행복과 대 안식처에 자비가 흘러 넘치는 세계를 실현해 나아가는 것이 학림사 오등선원의 이 땅의 이 민족에 대한 진정한 목적의 사명이라 할 수 있다.

    3. 선맥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28

      증조 석가모니

      1조 - 가섭 존자
      법이라는 본래 법은, 법도 없고 법이 아닌 것이 없음이니,
      어찌 한 법 가운데 법과 법 아닌 것이 있으랴.

      2조 – 아난존자
      본래 있음의 법을 전했더니,
      전한 뒤엔 없음의 법이라 하더라,
      제각기 깨달았으니, 깨달은 뒤엔 없음의 법도 없더라.

      3조 – 상나화수 존자
      법도 아니요, 마음도 아니며, 마음도 없고 법도 없도다.
      이 마음의 법을 말할 때에, 이 법은 마음의 법이 아니다.

      4조 – 우바국다 존자
      마음은 본래부터 마음이니, 본래 마음에는 법이 없도다.
      법도 있고 본래의 마음도 있으나,
      마음도 아니요 본래의 법도 아니다.

      5조 - 제다가 존자
      근본법과 그 마음을 통달하면,
      법도 없고 법 아닌 것도 없다네.
      깨달았다고 하면 깨닫지 않음과 같나니.
      마음의 법도 본래 없기 때문이라네.

      6조 - 미차가 존자
      마음은 실체가 없어 얻을 수 없나니,
      얻을 수 있다면 참된 법이 아니라네
      마음이 마음 아닌줄 깨달아 알면
      마음과 마음의 법을 알 수 있으리.

      7조 – 바수밀 존자
      마음은 허공 같아, 허공 같은 법을 보인다.
      허공의 묘한법을 알면, 옳고 그름도 법도 없다.

      8조 - 불타난제 존자
      허공이 안 밖이 없듯, 마음의 법도 그러하다.
      허공의 이치를 밝게 깨달으면, 참도 거짓도 아니다.

      9조 – 복타밀타 존자
      진리는 본래 이름이 없지만,
      이름에 의해 모습을 드러 내나니,
      진실된 이치를 깨달으면, 참도 거짓도 사라지고 없네.

      10조 – 협 존자
      진리는 본래 이름이 없지만, 이름에 의해 모습을 나타내나니
      진실한 법을 알아 들으면, 참도 아니요 거짓도 아니다.

      11조 – 부나야사 존자
      미혹과 깨달음은 숨음과 드러남,
      밝음과 어둠이 서로 떠나지 않는다.
      이제 숨음과 드러남의 법을 너에게 전하노니. 하나도 아니요 둘도 아니니라.

      12조 – 마명 존자
      들어나고 숨음이 한집안 소식이요, 밝고 어두움이 원래 둘이 아니로다.
      이제 네게 깨달은 법을 주노니, 갇지도 말고 버리지도 말라.

      13조 – 가비마라 존자
      드러남도 숨음도 아닌 법을, 진실의 경지라고 한다.
      숨고 드러남의 이치를 깨달으면, 지혜롭고 어리석음을 넘어서리.

      14조 – 용수존자
      숨고 드러나는 법을 밝히려고, 해탈의 이치를 말하네.
      법에는 마음도 얻을 수 없나니, 성냄도 기쁨도 본래 없는 것이라네.

      15조 – 가나제바 존자
      사람에게 법을 전하는 뜻은, 해탈의 이치를 설하기 위함일세.
      법에는 진실로 얻을 것이 없나니, 끝도 없고 시작도 없다네.

      16조 – 라후라다 존자
      법에는 진실로 증득할 것이 없어서, 취할 수 도 버릴 수도 없다네.
      법은 있고 없는 것이 아니니, 어찌 안 밖이 생기리.

      17조 – 승가난제 존자
      마음의 법이 원래 나는 것이 없으나, 인의 땅에 연을 따라 일어난다네
      인연과 종자가 서로 방해하지 않듯, 꽃과 열매도 그러하네

      18조 – 가야사다 존자
      종자가 있고 마음땅이 있으니, 인연이 싹을 나게 하도다.
      싹이 나건 안 나건, 인연의 법칙은 걸림이 없도다.

      19조 – 구마라다 존자
      성품에는 태어남이 없지만, 구하는 이를 위해 말하는 것이다.
      법에는 이미 얻을 것이 없거늘, 어찌 결정하고 못함을 걱정하리요.

      20조- 사야다 존자
      말 끝에 무생법에 맞으면, 법계의 성품과 같아지니리.
      이렇게 바로 알면, 사와 이를 통달하리라.

      21조 – 바수반두 존자
      거품도 허깨비도 걸림이 없거늘,
      어찌 알지 못하는가 법이 그 가운데 있는 줄 알면, 지금도 옛도 아니리라.

      22조 – 마노라 존자
      마음이 만 경계를 따라 움직이니, 움직이는 곳마다 모두 그윽하다.
      흐름에 따라 본 성품 깨달으면, 기쁨도 없고 근심도 없으리라.

      23조 – 학륵나 존자
      마음을 깨달을 때를 부사의하다 말 할 수 있나니.
      분명하되 얻을 수 없고, 얻을 때는 안다고 할 수 없다.

      24조 – 사자 존자
      깨달음을 말할 때, 지와 견이 모두가 마음이다.
      이 마음이 바로 지견이니, 지견은 언제나 지금 속에 있다.

      25조 – 바사사다 존자
      성인이 지견을 말씀하시니, 경계를 만날 적마다 그 아닌 것 없도다.
      내가 이제 참 성품을 깨달으니, 도도 없고 이치도 없도다.

      26조 – 불여밀다 존자
      참성품이 心地에 숨었으니. 머리도 없고 꼬리도 없도다.
      인연따라 중생을 교화하니. 방편을 지혜라 부른다.

      27조 – 반야다라 존자
      마음 땅이 숱한 종자를 내네, 일이 일어나면 다시 이치도 생기네.
      수행의 열매가 무르익어 깨달음이 원만해지니, 꽃이 피듯 한 세계가 열리네

      28조- 보리달마 존자
      내가 본래 이 땅에 온 것은, 법을 전해 어리석은 이를 제도하려는 것인데,
      한송이의 꽃에 다섯 꽃잎이, 열매는 자연히 이루어지리라.

      29조 – 혜가 존자
      본래부터 마음 땅이 있었기에, 그 땅에 씨를 심어 꽃이 피지만,
      종자도 있는 것이 아니며, 꽃도 나는 것이 아니다.

      30조 – 승찬 존자
      꽃은 땅을 의지해 심고, 땅에 심었던 꽃이 피지만,
      씨를 뿌려주지 않는다면, 꽃도 땅도 나지 않는다.

      31조 – 도신 존자
      꽃과 종자는나는 성품이 있나니, 땅에 의하여 꽃은 나고 또 난다.
      큰 인연과 믿음이 어울릴 때에 나지만, 이 남은 남이 없는 것이다.

      32조 – 홍인 존자
      유정이 와서 씨를 뿌리니, 인연의 땅에 열매 절로 열리네.
      무정은 이미 종자가 없으므로, 성품도 태어남도 없다.

      33조 – 혜능 존자
      보리는 본래 나무가 없고, 맑은 거울도 집이 아니다.
      본래 한 물건도 없거늘, 어찌 먼지가 일으키랴?
      지각 있는 존재의 씨앗이 뿌려져, 밭마다 열매를 맺게 되리라.
      지가 없이는 씨앗이 자랄 수 없고, 성 없는 생도 없다.

      용성진종대선사계서 환성지안조사에게 원사(遠嗣)를 결정하셨다는 근거자료
      ※ 발췌 : 제2집 /용산선사의 중반기 생애 (동국대 교수)

      ∥.대중교화기(大衆敎化期) / 4. 원사환성(遠嗣喚惺)

      52세 1915년 을묘년(乙卯年) ---- 환성지안(喚惺志安)에게 원사(遠嗣)를 결정한 해 용성에게 있어서 이 해는 한국불교의 새로운 법맥을재정립 하는 해라고 할 수 있다. 그가 1914년 논교외선종에서 지금까지의 법맥을 인정하여 왔으나 무엇인가 석연치 않은 면이 있었던 것 같다.
      즉 선종의 법맥은 사자상승이 원칙이지만 거기에는 반드시 오도송과 전법게송이 있어야 한다. 즉 적절한 비유인지는 모르지만 박사학위를 받으려면 학위논문과 심사에 합격하였다고 하는 심사결과보고서가 있어야 하는 것과도 같다. 그런데 환성지안 이후의 7대는 특별한 오도송이나 전법게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있다고 해도 견성을 충분히 인정할 만한 대오(大悟)의 오도송이라고 할 수 없는 문학작품정도의 게송에 불과한 것이다. 그는 1914년부터 이 문제를 가지고 많은 고민을 하였으며, 뜻 있는 선사들과 협의하였던 것 같다.

      환성지안 이후의 7대 중 남호신준(南湖辛準)의 경우만 하더라도 용성의 어록이나 글에서 한번도 언급된적이 없는 선사이다. 그리고 정말 정법안장을 받았다고 한다면 근세불교사에서 그의 이름이 크게 거명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당연히 많은 기록에 남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의 존재는 대단히 미약하다. 그의 행장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며, 일부 자료에서 단편적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

      봉암불조원류라고 하는 자료에 의하면,

      남호신준(南湖辛準) (1852~1928)은 1852년 임자(壬子) 12월 12일 전주(全州)에서 태어났다. 스님의 속성은 도강(度江) 김씨(金氏)이고 아버지의 이름은 광지(光智), 어머니는 전주(全州)이씨(李氏)이다. 스님은 14세 때인 고종 2년(1865, 乙丑)에 출가하여 금산(錦山) 보석사(寶石寺)의 초우선사(草愚禪師)를 의지하여 삭발하고 용은화상(龍隱和尙)으로부터 5계와 10계를 받았다. 스님의 나이 21세 때인 1872년(壬申) 7월 15일 범해율사(梵海律師)로부터 대소승계를 받았다. 나이 36세 때인 1888년 무자(戊子) 3월 13일에 입적했으며, 세수는 77세, 법랍은 63세였다. 라고 한다.

      그가 해인사에서 주석하면서 용성과 만나 전법하였을 것을 추정하는데 여기에 대한 자료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용성스님의 원사설에 대해 여러 가지로 논란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필자도 용성선사연구에서는 명확한 자료가 부족하여 선맥을 소개하는 정도로 언급했으나 이제는 충분한 자료를 확보하였으므로 자세히 보완코자 한다.

      첫 번재 자료로는 용성대선사 사리탑비명 (龍城大禪師 舍利塔碑銘)이다.
      師 曹溪直下 第三十五代法孫 喚惺志安之後裔
      라고 한다.
      여기서 조계직하(曹溪直下)란 육조혜능(六祖惠能)을 뜻하므로 혜능으로부터 35대인 환성지안(喚惺志安)을 의미한다. 물론 혜능을 빼고 다음대인 남악회양(南岳懷讓)으로 부터라고 할 수도 있으나 혜능(惠能)을 포함하여 35대째가 환성지안이 되므로 별 무리는 없을 것 같다.
      따라서 환성 이후의 7대는 빠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용성이 환성지안에게 원사(遠嗣)하였다고 하는 충분한 자료이다.

      두 번째 자료로는 용성스님의 직계제자인 자운(慈雲)스님이 소장하였던 필사본의 불조원류해동보(佛祖源流海東譜)이다. 그 서문에 의하면,

      現今細考 朝鮮法脈 則 但太古禪師 麗末入支那 受臨濟正脈 淸珙和尙 法印
      相承以來 李朝佛法歷史 尤甚不明也 又喚惺之後 見性通宗七大泯矣 傳法
      偈文 無憑可考 但工文學産業者之名相爲憎故也 唯是欠哉
      臨濟正脈 三十一代孫 釋龍城

      이라고 한다. 여기서 그는 분명히 환성지안의 법을 이었으며, 그 이유로는 환성 이후의 6,7대는 견성하였다고 인정할 만한 오도송이나 전법게가 없다는 것이다. 설사 있다고 해도 문학작품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정법안장9正法眼藏)을 받은 명안종사(明眼宗師)라고 인정 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러면서 자신을 임제로부터 31대손이라고 하였다.즉 임제까지 포함하여 용성은 31대에 해당한다. 그리고 같은 자료의 게송부분에서 더욱 분명히 하고 있다.

      龍城震鍾 偈曰
      佛祖元不會 假說爲傳心
      雲門胡餠團 鎭州羅蔔長
      細考禪宗 師師相傳 法脈則傳法偈文 昭然相承 喚惺之後 無憑可考 名實俱虛
      汚穢禪宗 與諸禪師 會于如如居士之幹 討論這般事 意旨相合 體碧溪遠嗣龜
      谷之意 以喚惺爲嗣法師 後之兒孫 傳法偈文 代代詳記 相傳可也

      라고 한다.
      여기서 자신의 뜻과 원사(遠嗣)를 결정하게 된 과정에 대하여 분명히 밝히고 있다. 먼저 게문(偈文)을 읊은 후 선종의 법맥은 사자상승(師資相承)이 옳은 일이나 환성 이후의 전법사(傳法師)들은 대부분 세속에 오염되고 전법게문(傳法偈文)이 구곡(龜谷)에게 원사(遠嗣)하였듯이 환성의 법을 원사하여 대대로 상전할 것을 결의 하였다고 한다. 앞으로도 법을 상전(相傳)할 때에는 반드시 전법게문으로 전해야 한다고 명기하고 있다. 이러한 일이 있었지 않았나 여겨진다. 이어서 다시 게문을 읊으면서,

      佛祖未曾傳 我亦無所得
      打破虛空骨 地霹靂地
      覺雲淨心 雨師間 不知幾代削去 震鐘喚性之間 七師削去矣 然但工文學 或專
      産業者 但從權道以 七師承脈耳

      라고 한다.
      여기서는 더욱 분명히 하고 있다. 각운(覺雲)과 정심(淨心)의 오기인 듯 함)의 연대 차이는 얼마인지도 알지 못하지만, 여러 대를 뛰어넘어 법을 원사(遠嗣)했듯이 용성(龍城)과 환성(喚惺)의 사이에 많은 차이가 있으나 7대를 삭지(削去)하고 전법(傳法)한다고 하였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7대의 전법은 정법(正法)의 상승이 아니고 단순히 문학이나 산업자들이 대를 계승하는 것과 같이 단지 방편을 상승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세 번째 자료로는 용성스님의 친필 서간이 있다. 지금까지는 이와 같은 원사를 상의하고 결의한 것이 언제인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있는 자료가 없었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1914 논교외선종(論敎外禪宗)이 발표되었으므로 용성의 만년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 원사설의 년도에 대한 분명한 자료가 공개되므로 용성연구(龍城硏究)에 크게 도움이 되고 있다.
      즉 〔용성스님이 경봉스님에게 보낸 친필 편지〕에 의하면,

      前文省略 ------ 本衲遠師喚煋 하이 喚惺則我師라 不必可記也
      世尊 二千九百四十二年 至月 二十三日
      喚惺法嗣 龍城書

      라고 한다.
      이때가 1915년 11월 23일 이므로 적어도 이전에 원사문제가 결정되었다고 보여진다. 만약 이 자료가 없었다고 한다면 원사설의 연대는 후대로 미루어졌을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마성스님의 논문에 인용된 봉암불조원류에 의하면 7대를, 삽입한 것으로 되었는 것 같지만 자료를 직접확인 하지 못하였으며, 자료의 신빙성에도 의문점이 없지 않다.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5050_18.png
       

    4. 학림사 학산 대원 대종사 (鶴山 大元 大宗師 : 1942 ~ 학림사, 오등선원 조실)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28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4898_94.jpg
       

      학산 대원 대종사 (鶴山 大元 大宗師 : 1942 ~ 학림사, 오등선원 조실)

      오도송(悟道頌)
      忽聞栢頭手放語 홀문백두수방어홀연히 잣나무 꼭대기에서 손 놓고 한 걸음 나아가라는 말을 듣고
      廓然銷覺疑團處 확연소각의단처
      확연히 의심 덩어리 녹아 깨달았네.
      明月獨老淸風新 명월독로청풍신
      밝은 달은 홀로 드러나고 맑은 바람은 새로운데
      凜凜闊步毘盧頂 늠름활보비로정
      늠름히 비로자나 이마 위를 활보함이로다.
      ▶고암스님이 인가하시며 학산(鶴山)이라는 법호와 전법게를 내리셨다.

       전법게(傳法偈)
      佛祖傳心法 불조전심법불조가 전한 심법은,
      不識又不會 불식우불회알지도 못하고 또한 알지도 못함이라.
      趙州茶一味 조주다일미조주의 차 맛이 일미이거니,
      南泉月正明 남천월정명남전의 달이 정히 밝도다.
       
      오도송(悟道頌)
      竈內火光蓋天地 조내화광개천지
      부엌 안에 한 무더기 불빛 천지를 덮고
      鼎中湯聲脫古今 정중탕성탈고금
      솥 안에서 끓는 한 소리 옛과 지금을 벗어났음이라
      拄杖三下是何法 주장삼하시하법
      주장자 세 번 치면서 무슨 법이냐 하니
      目前歷歷只底是 목전역력지저시
      눈앞에 역력해서 다만 이것이로다.
      ▶고행자때의 오도송으로 만옹(滿翁) 선사께서는 극찬하시며
      한암(閑庵)이라는 호를 내려주셨다.

      오도송(悟道頌)
      大喝一聲倒乾坤 대갈일성도건곤
      크게 한 소리에 하늘 땅이 무너지고
      日月星宿失光明 일월성숙실광명
      해와 달과 별이 빛을 잃었네
      遽然一步回頭看 거연일보회두간
      급히 한 걸음 나아가 머리를 돌이켜 보니
      露山溪水谷外流 노산계수곡외류
      산은 드러나고 시냇물은 곡 밖으로 흐름일세.
      ▶혼해(混海)스님이 인가하시며 태허(太虛)라는 법호와 전법게를 내리셨다.

      대원 스님은 1942년 3월 13일에 경북 상주시 서곡동에서 풍양조씨(豐壤趙氏) 가문에 4째 아들로 출생하였다. 어릴 때 이름은 남희(南熙)라고 하였다. 1957년 16세 되던 해에 상주 남장사로 출가하였다.

      남장사에서 당대 선지식인 윤고암 스님을 은사(恩師)로, 하동산 스님을 계사로 득도수계하였으며 20세에 하동산 스님에게서 구족계(具足戒)를 수지(受持)하였다. 내전 이력을 보면 사집은 강고봉 스님에게, 사교는 통도사 성능스님, 호경 스님에게 수료하였고, 대교는 혼해 스님에게 수학하여 1966년경에 일대시교를 이수하였다.

      1966년에 남장사에서 혼해 스님을 모시고 선어록과 〔금강경〕 강의를 듣고 용맹정진 도중에 혼해스님이 “전백장(前百丈)은 불락인과(不落因果)라 하고 야호(野狐)몸에 떨어졌고 후백장(後百丈)은 불매인과(不昧因果)라 답(答)을 하여 야호 몸을 벗어나게 했는데 불락인과(不落因果)라 답한 것이 어찌해서 야호 몸에 떨어졌는고.” 물으니 망연하여 삼일이 지나가는 것조차 알지 못하다가 스님이 다시 큰소리로 “사자(獅子)는 뒤를 돌아보지 않느니라.” 하는 말에 홀연히 깨달은 바가 있었다. 이 때 일게(一偈)를 지어 받쳤다.

      혼해 스님이 이를 보고 기뻐 말하기를, “대원 수좌는 강사하지 말고 선방으로 곧장 가서 열심히 참선토록 하라.” 하므로 그 길로 곧장 의정부 쌍룡사 전강 스님을 찾아 뵙고 경책을 받았다. 그 뒤 오대산 상원사, 도봉산 망월사, 대구 동화사, 문경 김룡사, 범어사, 해인사, 송광사, 도봉산 망월사, 현풍 도성암, 월내 관음사, 불국사, 법주사 복천암, 지리산 칠불암, 통도사 극락암, 쌍계사 금당선원 등 제방선원에서 안거(安居) 하면서 효봉, 동산, 고암, 경봉, 전강, 향곡, 성철, 구산, 월산 스님 등 당대의 선지식을 모시고 입승(立繩) 및 선덕(禪德) 소임을 맡아 공부를 경책 받으며 오로지 선수행으로만 일관했다.

      1973년 고암 상언 대종사께서 해인총림방장으로 머물 때에 저녁 정진을 마치고 방장실을 찾아 공부에 대하여 몇 말씀 여쭈니 “지금도 정전백수자(庭前柏樹子) 화두를 참구하고 있는가. 몇 년이나 참구하였는가.” 라는 물음에 “8년간 참구하였습니다”하니 고암 스님이 애석하다 하고 일러 말하기를, “백수상두(栢樹上頭)에서 수방진일보(手放進一步)하야사 시지종차(始只從此)로 출격대장부(出格大丈夫)라.”는 말에 홀연히 크게 깨우쳤다.

      이 때 박장대소하니 고암 상언 대종사께서 말씀하시기를, “무슨 기특한 일이 있길래 그렇게 웃는가, 속히 일러라.” 하니 “진전삼보(進前三步) 기립차수(起立叉手)하고 일구불진도(一口不盡道)입니다.” 하니 “다시 말해보라” 함에 “설사 천언만구(千言萬句)를 다 이른다 해도 이 속에 있어서 상신실명(喪身失命)합니다.” 하고 문밖으로 나갔다 다시 들어와 앉았다. 다시 고암 스님이 마조원상 공안(公案)과 1700공안을 두루 묻기에 즉시 대답하였다. 이에 오도송(悟道頌) 일구(一句)를 가져오라 하시므로 즉시에 오도송을 지어 바쳤다.

      고암 스님이 이를 보고 흔연히 입실을 허락하고 학산(鶴山)이라는 법호(法號)와다음의 전법게(傳法偈)를 내리셨다.

      1986년도 서울 대각사에서 대중을 모아놓고 정식으로 전법의식(傳法儀式)을 거행하였다.

      고암 상언 대종사께서는 법장(法杖)과 불자(拂子) 및 가사와 발우(鉢盂)를 신표로 전하였다.
      용성진종(龍城震鐘) - 고암상언(古庵祥彦) - 한암대원(閑庵大元) 으로 이어지는 법맥이 꿈틀거리는 순간이었다.

      그 후에 88년에 고암 상언 대종사께서 입적하시자 고암 상언 대종사의 유지를 받들어 계룡산에 소실된 옛 제석사 터에 학림사를 다시 창건하고 1995년에는 오등선원(誤燈禪院)의 낙성식 때 조실로 추대되어 현재 스님들과 일반 시민들의 참선수행 지도에 여념이 없으시다.

    5. 학림사 고암 상언 대종사 (古庵 詳彦 大宗師 : 1899 ~1988 조계종 제3,4,6대 …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5-28

      b16eceea1c7af9a8a6b6f5c3aef288d7_1716884832_36.jpg
       

      고암 상언 대종사 (古庵 詳彦 大宗師 : 1899 ~1988 조계종 제3,4,6대 종정)

      오도송(悟道頌)
      禪定三昧 선정삼매선정삼매는
      壺中日月 호중일월단지 속의 일월이요
      凉風吹來 량풍취래시원한 바람부니
      胸中無事 흉중무사가슴 속에 일이 없다.
       
      오도송(悟道頌)
      回頭翻身開哲辟 회두번신개철벽머리를 돌이키고 몸을 뒤집어 철벽을 여니
      香水波花萬年春 향수파화만년춘향수 바다의 파도 꽃이 만년의 봄이로다.
      落東逆流越西天 낙동역유월서천낙동강이 거슬러 흘러 서쪽 하늘을 넘어가니
      萬古風月自戲弄 만고풍월자희롱만고의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은 스스로 희롱함이로다
       
      전법게(傳法偈)
      佛祖元不會 불조원불회부처와 조사도 원래 알지 못하고
      掉頭吾不知 도두오불지머리를 흔들며 나도 알지 못하니
      雲門胡餠團 운문호병단운문의 호떡은 둥글고
      鎭州羅葡長 진주라포장진주의 무는 길기도 하네
       
      열반게(涅槃偈)
      伽倻山色方正濃 가야산색정농
      가야산에 단풍이 짙게 물들었으니
      始知從此天下秋 시지종차천하추
      비로소 천하가 가을인 줄 알았네.
      霜降葉落歸根同 상강엽락귀근동가을 찬 서리에 낙엽이 떨어져 뿌리로 돌아가니
      菊笑望月照虛空 국소망월조허공국화꽃 활짝 핀 보름달이 허공에서 만상을 비추네
      큰스님께서는 1899년 10월5일에 경기도 파주군 파평면 산동하 어의동에서 파평윤씨가문(坡平尹氏家門)에 탄생하셨다.
      부친은 연담거사(蓮潭居士) 윤성장(尹性藏)이시고 모친은 하동정씨 만행심(萬行心)이셨다.

      어릴 때 이름을 지호(志豪)라 하였고, 동리의 학당에서 한학(漢學)을 배워 마치셨다. 1917년 17세가 되시던 해에 가야산 해인사에 입산 출가, 당대의 선지식(善知識)이신 김제산화상(金齊山和尙)을 은사로 방한암율사(方漢岩律師)를 계사(戒師)로 득도수계(得度受戒)하여 상언(詳彦) 이라는 법명을 받았다.

      일대시교(一代時敎)의 교학을 이수하신 후에 제방의 여러 선지식을 친견하며 수행정진 하셨다. 그 당시 오대산 방한암율사, 금강산 마하연 설석우화상, 덕숭산 정혜사 만공선사 등의 회하(會下)에서 수행정진 하셨으며 안도석왕사 내원선원에서 신혜월선사를 모시고 지내면서 크게 심요(心要)를 얻으셨다.
      이로부터 선기(禪機)를 드날리며 정진하시더니 지리산 용성선사를 친견하시고 선사의 “반야(般若)의 공리(空理)는 정안(正眼)으로 봄이라.”는 말씀에 깨침이 있어 거량(擧揚)하니 용성선사께서 “선재(善哉)라 만고풍월(萬古風月)이로다.” 하시고 고암당(古庵堂)이라는 법호를 내리셨다.
      1944년에는 종단으로부터 드디어 【대선사】의 법계(法階)를 품수(稟受)하셨으며 이어서 1952년에는 【대종사】의 법계를 품수하셨다.

      1967년에 대한불교 조계종 제3대 종정(宗正)에 추대 되셨으며, 1970년에는 해인총림방장을 겸임하시어 천하납자를 제접 하셨다.
      1972년 제4대 종정에 재임하셨고, 78년에는 제6대 종정에 다시 취임 하셨다.

      1976년 이후에는 큰스님의 연세가 팔순에 가까우심에도 불구하고 고명(高明)이 해외에 까지 미치니 미국가지와 구라파 각국의 초청을 받아 동서세계를 일주하시면서 중생교화에 앞장서며 타에 모범을 보이셨다.

      1988년 10월 25일, 큰스님이 세수 90을 넘기시면서 차차 기력이 쇠미(衰微)하시는 듯 하더니, 이 날은 문도(門徒)들을 돌아보시고 “조심해서 살거라 인과(因果)는 분명하니라,” 하심에 제자들이 임종게(臨終偈)를 청하니,

      송왈,

      伽倻山色이 方正濃하니
      始知從此 天下秋로다.
      露降 葉落歸根同이여
      菊笑 望月照虚空이라.
      伽耶山色 丹楓이 짙어졌으니
      바야흐로 지금이 가을이던가
      때가 되면 落葉이 뿌리로 돌아가지
      九月보름 밝은 달은 허공을 비치나니

      하시고, 미소지으시며 입적(入寂)하시었다.

  • 변경/수정신청

    자유게시판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