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청곡사 > 경남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메인으로

대한불교조계종 청곡사 靑谷寺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소개글 95개 / 자유게시판 1개 등록
위시리스트0
말사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2교구 해인사
대표전화 055-762-9751
홈페이지 http://www.chunggoksa.or.kr/
  주소 경남 진주시 금산면 월아산로1440번길 138
   경남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18 청곡사
   138 Worasan-ro 1440beon-gil, Geumsan-myeon, Jinju-si, Gyeongsangnam-do
Tag 사찰
  • 상품 정보

    상세설명

    신라 헌강왕 5년 (879)년에 연기조사 도선 국사 스님에 의해 월아산 청곡사를 창건하였다. 고려 우왕 6년(1380)에는 실상대사가 중수 하였으며 조선태조 6년 (1397)에는 신덕왕후의 원찰이자 비보사찰로 다시 장노 상총스님에 의해 중창되었음을 알수 있다. 임진 왜란때 불탄것을 선조 35년(1602)에 계행, 극명 두 스님이 중즙했고 광해군 5년(1612)에는 고명 스님이 불상을 새로 조성하였으며 현종2년(1661)네는 인화스님이 업경전 10왕을 조성하였다. 또한 경종2년(1722)에는 괘불탱화가 조성 되었으며, 조선 말기에 포우 대사가 지금의 모습으로 중수하였다. 전설에 의하면, 진주 남강변에서 푸른 학이 이곳으로 날아와 앉으니 도선국사가 성스러운 기운이 충만한 곳이라 하여 절터를 잡았다. 학이 찾아온 다리라는 뜻을 가진 사찰 입구의 방학교는 바로 이런 전설을 간직하고 있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팔작지붕으로 다포게양식의 건물이다. 기둥은 가운데가 약간 불룩한 배흘림으로 처리하였으며, 처마를 받쳐주는 기둥 위의 장식물은 조선후기 다포계 팔작집의 대웅전답지 않게 화려하지 않고 소박한 편이다. 지붕의 네 귀퉁이는 처마받침기둥이 있으며, 기둥의 주춧돌은 가공하지 않은 자연석을 이용하였다. 전체적으로 보아 이 대웅전은 신라시대와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이 뒤섞여 있으며, 일제 때의 대내적인 중수로 인해 원래의 모습을 찾기는 쉽지 않다. 그럼에도 사찰 전체의 면모가 잘 보존되어 있고, 방학교 밑을 흐르는 시냇물과도 잘 어울려 아직도 청학이 날아올 듯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25_68.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25_93.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25_46.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24_43.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25_12.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26_16.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26_39.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34_54.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35_11.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35_36.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36_07.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35_6.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35_85.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36_42.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37_12.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36_57.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36_25.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36_93.jpg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2036_76.jpg
     

  • 소개·새소식

    소개글

    총 95 건

    대한불교조계종 청곡사 소개
    1. 청곡사 역대 고승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4

      도선국사
      도선국사(道詵國師)는 신라 제42대 흥덕왕(興德王) 2년에 전남 영암군(靈岩郡)·구림촌(鳩林村)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신라 왕족의 후손 김씨요, 어머니는 강씨(姜氏)였다. 강씨 부인이 도선국사를 잉태할 때에 꿈에 어면 사람이 구슬 한 개를 주는 것을 받아 삼켰더니 그날부터 태기가 있어 낳으니 이분이 바로 도선국사였다. 도선국사는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영리하여 모든 점이 범상한 어린이들 보다 뛰어났다. 15세 때에 구례군(求禮郡) 월유산(fT遊山) 화엄사(華縱寺)에서 예월화상(隸月褙尙)을 모시고 스님이 되었다. 이곳에서 5~6년간 대승경교(大乘經敎)를 연구하여 대의(代議)에 통하고, 20세 되던 해에 혜철국사(惠徹國師)에게 나아가 배우고, 동리산(桐裏山)의 서당 지장선사(西堂努葬禪師)를 찾아서 법을 묻고 도를 배웠다. 우리나라 풍수도참의 효시로 고려를 건립한 왕건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신라(新羅) 49대 헌강왕(憲康王) 5년(879)에는 도선국사(道詵國師)는 전국 500여군데에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기위하여 비보사찰을 건립하였다고 하는데 남강변에서 청학(靑鶴)이 날아와 서기(瑞氣)가 충만함을 보고 이곳 청곡사를 창건하였다.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51316_67.jpg 


      진감국사
      혜소선사의 시호(諡號)는 진감(眞鑑)이며 속성(俗姓)은 최씨로서 비교적 늦은 31세의 나이로 출가하였다. 804년(애장왕 5)에는 당나라에 유학하여 창주(滄州)에서 신감대사 (神鑑大師)의 제자가 되었고, 810년(헌덕왕 2) 당나라 숭산(嵩山)에 있는 소림사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혜소는 종남산(終南山)에 들어가 선정과 지혜를 닦으며 참선하고 실천적 선수행을 통해 독자적 선사상을 형성하였다. 830년(흥덕왕 5년) 선사는 귀국하여 국왕의 환대를 받으며 상주(尙州) 장백사(長栢寺)에 주석하였고, 이후 지리산에 쌍계산문을 개창하고, 남종선의 소개와 확산을 위해 노력하였다. 선사는 우리나라 범패의 선구자라고 칭송된다. 선사는 화엄경의 유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화엄종의 포교방식과는 달리 범패를 통해 선사상을 확대하였다. 이후 범패는 수행의 한 방법으로 선사들이 많이 사용하였으며, 신라 말기 선종이 염불사상을 수용한 것도 범패가 가져온 결과였다. 850년에 나이 76세, 법랍 41세로 입적하였다. 헌강왕(憲康王)대에 이르러 진감이라 시호하사 하고 대공영탑이라 하여 비를 세웠다. 하동쌍계사에 고운 최치원이 쓴 진감국사 대공영탑이 세워져 있다.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51332_07.jpg 


      상총대사
      고려말,조선초 선승(禪僧). 고려말(高麗末) 우왕 때 실상사장로(實相寺長老)로서 청곡사를 중건(重建)했다. 1397년 태조 6년에는 왕명으로 향로를 만들어 신덕왕후의 명복을 기리고, 정릉(貞陵)에 흥천사(興天寺)를 개원, 조계종(曹溪宗)의 총본산으로 삼았으며 초대주지로 임명되었다.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51350_78.jpg 


      일타 대종사
      (율사(律師). 법호는 동곡(東谷) 또는 삼여자(三餘子). 1929년 충남 공주에서 태어난 일타스님은 42년 통도사에서 고경스님을 은사로 득도한 후 49년 범어사에서 자운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했다. 스님은 조계종 1∼3대 중앙종회 의원과 해인사주지, 은해사주지, 해인총림 율원장과 율주등을 역임했으며 93년에는 조계종 전계대화상에 위촉되어 계율을 진작시키는데 큰 기여를 했다. 53년 통도사 천화율원 (千華律院)에서 자운율사로부터 율장을 전수받았으며 이어 <범망경보살계><계율과 수행> 등 계율 관련 서적을 출간하고 해인총림 율주 등을 역임하면서 율사로 널리 알려지게 됐다. 또 46년 송광사 삼일암에서 수선안거를 시작한 이래 전국의 제방선원을 두루 거치며 화두일념으로 참선 정진과 중생교화에 매진해 온 선승으로 더욱 유명하다. 지난 54년 오대산 적멸보궁에서 매일 3천배씩 7일간 기도끝에 오른손 네손가락 12마디를 연비한 후 태백산 도솔암에 들어가 6년 동안 용맹정진한 것은 유명한 일화로 전해진다.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51365_01.jpg
       

    2. 청곡사 역사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4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50285_16.jpg
       

      청학이 날아와 앉은 명당 대한불교조계종 청곡사
      대한불교 조계종 제12교구 해인사 말사
      靑谷 寺 : 전통사찰 제 74호

      신라 헌강왕 5년(879년)에 연기조사인 도선 국사 스님에 의해 월아산 청곡사를 창건되었다. 이후 고려 우왕 6년(1380년)에 실상대사가 중수 하였으며 조선 태조 6년(1397년)에는 신덕왕후의 원찰이자 비보사찰로 상총스님에 의해 중창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선조 35년(1602년)에 계행, 극명 두 스님이 다시 중수하였다. 광해군 5년(1612년)에는 고명스님이 불보살님과 보물 1232호인 제석천왕과 대범천왕을 새롭게 조성하였으며 현종 2년(1661년)에는 인화스님이 업경전 10왕을 조성하였다. 또한 경종 2년(1722년)에는 국보 302호인 괘불탱화가 조성되었으며 조선 말기에 포우대사가 대대적인 중수를 하였으나 6·25전란에 대부분 소실되고 2000년부터 서강스님이 대대적인 중수를 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청곡사 대웅전 건물의 특징은 앞이 화려하고 뒷면은 간결하며 부처님은 서부 경남에서 제일 크고 섬세하게 조성되어 있으며 또한 다른 건물들은 앞처마는 겹처마인데 뒷처마는 홑처마로서 업경전, 칠성각, 나한전이 그렇다.

      문헌에 의하면 도선국사가 남강 변에서 학이 이곳으로 날아와 앉으니 성스러운 기운이 충만한 산과 계곡이 있어 이곳을 살펴본 즉 천하에 명당이라 이곳에 절터를 잡았다고 한다. 청곡사의 특징은 두 줄기의 물길이 한 곳에서 만나 못을 이룬 위에 학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의 터라, 학이 알을 부화한 뒤 날아가 버리지 않도록 묶어 놓았다는 뜻에서 탑을 다른 사찰에서는 볼 수 없는 자리에 세워놓았으며 탑 정면은 앞산 노적 봉우리에 맞추어 먹이가 떨어지지 않도록 탑을 세운 것이 특징으로 많은 풍수학을 배우는 사람들이 실습 사찰 터로 자주 찾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또한 전설에 의하며 학이 찾아와 먹이를 먹는 계곡에 징검다리가 있어 이 곳에서 학을 날려 보냈다하여 방학교가 있고 학이 목욕을 했다하여 학영지가 있다.

      청곡사에는 15동의 건물이 있으며 국보 302호인 괘불탱화, 보물 1232호인 제석천왕, 대범천왕이 있으며 3층 석탑, 대웅전, 업경전, 괘불함, 금강역사상, 영상회상 탱화 등 많은 성보가 있는 옛스런 사찰이다.

      청곡사 연혁

      873년 신라 헌강왕 5년에 연기조사 도선국사께서 비보선찰로 청곡사 창건
      1380년 고려 우왕 6년 실상대사 상총스님께서 중창
      1397년 조선 태조 6년 왕비인 신덕왕후가 서거하자 신덕왕후의 명복을 빌고자 이곳에 청동은입사향완을 만들어 위패를 모시함
      1602년 선조 35년 계행,극명 두스님께서 대웅전 중수
      1612년 광해군 5년 고명스님께서 대웅전 삼존불과 제석천왕 대범천왕 조성
      1661년 현종 2년에는 인화스님께서 업경전 10왕 조성
      1681년 숙종 7년에 금고 반자를 주조하고 청곡사 봉안
      1693년 숙종 19년 업경대 조성
      1702년 숙종 28년 수갓 연당 조성
      1722년 경종 2년에 괘불탱화 조성
      1750년 영조 26년 삼존불개금,대범제석천왕,업경전 보살 및 시왕개분
      1873년 후불탱화, 삼장탱화 조성
      1877년 칠성각 및 칠성탱화조성
      1979년 나한전 후불탱화 조성 및 나한전 신중탱화 조성
      1995년 불기 2539 병자년 청곡사 사적비 조성
      1999년 종각 신축
      2007년 삼성각 조성
      2008년 청곡사 성보 박물관 개관
      2016년 대웅전 삼존불 개금불사
      2016년 설선당 복원

    3. 청곡사 전각 배치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4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9700_4.jpg 


      1.대웅전 / 2.적묵당 / 3.칠성각 / 4.나한전 / 5.선불장 / 6.업경전 / 7.설선당 / 8.응향각 / 9.천왕문 / 10.환학루 / 11.범종각 / 12.산신각 / 13. 성보박물관 / 14. 요사체 / 15. 삼층석탑 / 16. 해우소 / 17. 서별전

    4. 청곡사 대웅전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1호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4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9598_59.jpg
       

      경남 진주시 금산면(琴山面) 갈전리(葛田里)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이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선조, 광해년간에 복원한 것으로 대웅전은 경남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신라(新羅) 49대 헌강왕(憲康王) 5년(879)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創建)한 것으로 사찰(寺刹)을 창건하게 된 동기는 문헌에 의하면 도선국사가 진주를 지나가시다 남강변에서 청학(靑鶴)이 날아와 서기(瑞氣)가 충만함을 보고 이곳을 살펴본즉 천하에 명당이라 절터로 정하였다고 전하여 내려오고 있다. 이 절터의 특징은 두 줄기의 물길이 한곳에서 만나 못을 이룬 위에 학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의 터라 학이 알을 부화한 뒤 날아가 버리지 않도록 학 목을 고리로 채워놓는다는 뜻에서 탑에 원형 고리와 원주를 새워놓았다 한다.

      그러나 지금은 다 깨어지고 나머지 형태만 갖추고 있으며 탑 정면은 앞산 노적 봉우리에 맞추어 먹이가 떨어지지 않도록 탑을 새운 것이 특징이라 많은 풍수학을 배우는 사람들이 실습 살찰터로 자주 찾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또한 전설에 의하면 학이 찾아와 먹이를 먹는 계곡에 징검다리가 있어 이곳에서 학을 날려 보냇다 하여 방학교가 있고 학이 목욕을 했다하여 학영지가 있다.

      그후 고려말(高麗末) 우왕때 실상사 장로(實相寺長老) 상총대사(尙聰大師)가 중건(重建) 하였으나, 임진왜란(壬辰倭亂)때 불탄 것을 선조, 광해년간에 복원(復元)한 것으로 대웅전은 경남(慶南)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건물의 형식은 단층 팔작지붕와가(瓦家)로서 다포계(多包系) 계통(系統)을 따르고 있으며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활주(活柱)를 받쳐 보강하고 있다. 청곡사 대웅전은 경남 유형문화재 제 51호로 임진왜란때 불탄것을 조선시대 실상스님과 보우스님등이 보수하면서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대웅전은 처마선이 매우길어 처마를 바처든 보조기둥이 돗보이며 대웅전 전면은 화려하나 뒷면은 매우 간결하고 수수하게 지어졌다. 내부의 석가모니 부처님과 문수 보현보살님의 등상은 미우 단아하며 섬세하고 그윽한 모습이 경외감을 갖게하고 근래에 보기드믄 미소를 지니고 있다, 건물 내부의 장식은 불보살님이 돗보이도록 아주 검소하게 지어졌으며 내부 그림은 아주 아름답고 섬세하게 단청된게 특징이다.

      청곡사에는 15동의 건물이 있으며 국보 302호 괘불탱화, 보물1232호 제석천왕, 대범천왕이 있으며 3층석탑, 대웅전, 업경전, 괘불함, 금강역사상, 영상회상탱화등 많은 성보가 있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에 처마선이 아름답고 네 귀퉁이에는 처마받침이 있어 웅장해 보이며 주심포(柱心包) 집으로 활주[活柱 : 추녀 뿌리를 받친 가는 기둥]를 세워 외부의 지붕 무게를 일부 받치고 있다.서부 경남 일원에서는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고 크고 섬세하게 조성한 것이 특징이다.

      대웅전에 봉안한 석가삼존상(釋迦三尊像)은 1615년(광해군 7)에 조성되었는데, 임진왜란 이후 불상으로는 비교적 대작에 속한다

      佛身普遍十方中 (불신보변시방중)
      부처님은 모든 곳에 두루 함께 하셔서
      月印千江一體同 (월인천강일체동)
      천 갈래 강에 비친 달이 모두 같네.
      四智圓明諸聖本 (사지원명제성본)
      지혜가 원만히 밝은 모든 성인들의 근본 같아
      賁臨法會利群生 (분임법회이군생)
      법회에 임해서 모든 중생을 이롭게 하시네.

      * 四智 : 大圓鏡智(대원경지), 平等性智(평등성지), 妙觀察智(묘관찰지), 成所作智(성소작지)

    5. 청곡사 적묵당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4

      a2257739494928132d7b42e83e8b223e_1718349479_07.jpg
       

      주지스님이 모든 신도님들과 내외 귀빈을 맞이하고 차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는 곳으로 또한 귀빈이 오면 하루 이틀 마음을 조용하게 쉬어갈 수 있는 처소다.

      是非海裏橫身入 (시비해리횡신입)
      시비의 바다 속으로 몸을 뉘여 들어가도
      豹虎居中自在行 (표호거중자재행)
      맹수 무리 속에서도 자유로이 다니듯 한다.
      莫把是非來辨我 (마파시비래변아)
      옳고 그름을 나에게 판단해 달라 말 것이니
      平生穿鑿不相間 (평생천착불상간)
      평생도록 내 뜻대로 살아감에 상관하지 말지어다.

  • 변경/수정신청

    자유게시판

    1.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6-15
      자유게시판
      9dd2c1a895d992c0bad78f51b5d30380_1718380094_66.jpg
      9dd2c1a895d992c0bad78f51b5d30380_1718380095_02.jpg
      9dd2c1a895d992c0bad78f51b5d30380_1718380095_39.jpg
      9dd2c1a895d992c0bad78f51b5d30380_1718380095_2.jpg
      9dd2c1a895d992c0bad78f51b5d30380_1718380094_87.jpg
      9dd2c1a895d992c0bad78f51b5d30380_1718380095_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