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원사 16나한상 > 서울특별시 Seoul, 02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16나한상]  봉원사 16나한상

02-392-3007~8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사길 12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동 26 봉원사

  스크랩     0건

16나한상
나한이란 아라한(阿羅漢)이라는 뜻으로 수행 완성한 사람을 뜻하는 말이다. 이 세상에서 정법(正法)을 지키는 불제자. 당(唐)나라 현장(玄)이 번역한 《대아라한난제밀다라소설법주기(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에는 이들 나한의 이름이 보인다. 즉 빈도라발라타사(賓度羅跋惰), 가락가벌차(迦諾迦伐蹉), 가락가발리타사(迦諾迦跋釐墮), 소빈타(蘇頻陀), 낙거라(諾距羅), 발타라(跋陀羅), 가리가(迦理迦), 벌사라불다라(伐羅弗多羅), 수박가(戍博迦), 반탁가(半託迦), 나호라(羅), 나가서나(那迦犀那), 인게타(因揭陀), 벌나파사(伐那婆斯), 아시다(阿氏多), 주다반탁가(注茶半託迦)이다. 한국에서는 8세기 후반 말세신앙과 함께 16나한에 대한 신앙이 깊어지기 시작했다고도 한다. 부처님 당시의 제자중 16분의 아라한상을 봉원사에서는 대웅전 뜰앞에 조성하여 봉안하였다.

아라한(阿羅漢) - 수행을 완성한 사람
아라한(阿羅漢)은 산스크리트 arhan을 소리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줄여서 나한(羅漢)이라고 한다. 응공(應供), 무학(無學), 이악(離惡), 살적(殺敵), 불생(不生)이라고도 번역한다. 응공은 마땅히 공양을 받아야 한다는 뜻이며, 무학은 더 배울 것이 없는 것, 이악은 악을 멀리 떠났다는 의미로, 살적은 번뇌라는 적을 죽였으므로, 불생은 미혹한 세계에 태어나지 않았으므로 이렇게 표현한다.
초기 불교의 최고의 성자를 가리키는 뜻으로 번뇌를 완전히 끊어 더 닦을 것이 없으므로 마땅히 공양받고 존경받아야 할 성자라는 뜻이다. 이 경지를 아라한과(阿羅漢果), 이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 수행하는 단계를 아라한향(阿羅漢向)이라 한다. 초기 불교에서는 붓다를 아르하트(arhat: arhan의 주격)라고도 하였고, 고대 인도의 여러 학파에서도 존경받을 만한 수행자를 아르하트라고 하였다.
자이나교에서는 지금도 성자를 아르하트라고 한다. 그러나 대승불교에 이르러서는 부처와 아라한을 구별하여, 아라한은 부처의 경지에 미치지 못하는 소승의 성자라고 격하시켰다. 아라한의 유래는 부처님이 정각을 이룬 녹야원에서 부처님과 함께 수행한 다섯 수행자에게 가장 먼저 설법을 했다는 초전법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다섯 사람이 부처님과 함께 생활하고 원시적인 교단의 형태를 이루게 되었으며, 이후 이들은 차례대로 모두가 정각을 얻게 됨으로써 부처님을 포함해 여섯 사람의 아라한이 생겼다고 한다. 초기 불교에서 아라한은 부처님과 같은 사람을 가르켰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처님의 별칭인 '응공'이라고도 함께 불렀던 것이다.
그러나 부파불교에 이르러서는 아라한이 부처님을 가리키는 명칭이 되지 않고 불제자가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계위가 되었다.
불교신문 불교용어해설


aab752d6df5eb12ff359df75e90d3892_1646800196_15.jpg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송광사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 수덕사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안길 79
  • 봉선사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
  • 봉녕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 23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