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번호 : 문화재자료 제471호
지정일 : 2004년 10월 14일
소유자 : 송림사
관리자 : 송림사
수량(면적) : 3구
송림사 명부전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석조삼장보살좌상이 봉안되어 있는 곳으로 삼장보살이 불화로는 자주 그려졌으나 불상으로 조성된 사례는 거의 없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불석(佛石)으로 제작한 삼장보살좌상은 중앙의 천장보살상을 중심으로 지지·지장보살로 구성되어 있다.
각 보살상은 좌우 협시상을 거느리는 삼존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데 천장보살상의 협시는 후대에 따로 조성되었다.
삼장보살좌상은 신체에 비하여 큼직한 얼굴이 거의 정사각형에 가깝고 넓적한 얼굴과 가늘고 긴 눈, 넓적한 코와 콧망울 등 시원스럽게 이목구비를 표현하였는데 이는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불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공통적인 특징이다.
한편 천장보살상의 복장에서 발견된 경전류와 다라니류 등을 통해 조선 영조 29년(1753) 이후에 중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정일 : 2004년 10월 14일
소유자 : 송림사
관리자 : 송림사
수량(면적) : 3구
송림사 명부전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석조삼장보살좌상이 봉안되어 있는 곳으로 삼장보살이 불화로는 자주 그려졌으나 불상으로 조성된 사례는 거의 없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불석(佛石)으로 제작한 삼장보살좌상은 중앙의 천장보살상을 중심으로 지지·지장보살로 구성되어 있다.
각 보살상은 좌우 협시상을 거느리는 삼존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데 천장보살상의 협시는 후대에 따로 조성되었다.
삼장보살좌상은 신체에 비하여 큼직한 얼굴이 거의 정사각형에 가깝고 넓적한 얼굴과 가늘고 긴 눈, 넓적한 코와 콧망울 등 시원스럽게 이목구비를 표현하였는데 이는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불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공통적인 특징이다.
한편 천장보살상의 복장에서 발견된 경전류와 다라니류 등을 통해 조선 영조 29년(1753) 이후에 중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