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7교구 수덕사 > 충남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메인으로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7교구 수덕사 요약정보 및 구매

소개글 8개 / 자유게시판 0개 등록
위시리스트0
대표전화 041-330-7700
   041-330-7789 템플스테이
팩스 041-330-7702
이메일 sdmuse1998@naver.com
  주지 정묵 합장
홈페이지 http://sudeokmuseum.or.kr/
  주소 충남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안길 79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19
   79 Sudeoksaan-gil, Deoksan-myeon, Yesan-gun, Chungcheongnam-do
Tag 전통사찰
  • 상품 정보

    상세설명

    수덕사는 백제 말 숭제법사가 창건하고, 7세기 초중반 무왕 때 혜현이 이곳에서 법화경을 강론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오래된 절의 역사에 비해 전해지는 기록이 없어 연혁을 살피는데 어려움이 많다. 고려시대에는 1308년(충렬왕 34년) 대웅전을 중창하였고, 14세기 중후반에 나옹 혜근선사가 절을 중수하였다. 조선시대에는 1688년(숙종 14년) 대웅전을 중수했으며, 한말에 경허스님이 이곳에 머물면서 선풍을 크게 진작시켰다. 이어 1898년(광무 2년) 경허스님의 제자 만공스님이 중창한 뒤 절에 머물면서 후학들을 가르쳤다. 현재 수덕사는 충청남도 일대의 36개 말사를 관장하고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의 5대 총림 가운데 하나인 덕숭총림이 있어 많은 스님들이 정진하고 있다.

    성보문화재로는 국보 제49호 대웅전을 비롯하여 보물 제1263호 노사나불괘불탱, 보물 제1381호 수덕사 목조 삼세불좌상 일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3호 3층 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1호 7층 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92호 고려시대 거문고 등이 있다. 성보박물관에는 인근의 화암사에 걸려있던 무량수각, 시경루 등 추사 김정희가 쓴 절필 편액 등이 전시되어 있다. 만공스님이 조선 고종의 둘째 아들인 이강공에게 받았다고 전하는 거문고에는 이조묵이 새긴 공민왕금이라는 글씨와 함께 만공스님의 시가 새겨져 있다.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7_94.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93_1.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76_35.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92_61.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92_36.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7_35.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77_42.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76_63.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90_95.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6_93.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6_68.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75_65.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77_65.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7_59.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92_88.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90_79.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91_56.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9_3.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8_97.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8_17.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8_44.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76_97.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6_22.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6_01.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6_44.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8_69.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7_78.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5_61.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9_72.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90_58.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90_18.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90_38.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9_94.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87_12.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77_16.jpg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06691_76.jpg
     

  • 소개·새소식

    소개글

    총 8 건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7교구 수덕사 소개
    1. 수덕사 전각 배치도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9
      c72616beab5007d4a371a19def768fda_1714324567_74.jpg
       


    2. 수덕사 창건설화 덕산향토지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8

      "수덕사의 창건에 관한 설화로는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덕산향토지(德山鄕土誌)에 실려 있는 것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홍주마을에 사는 수덕이란 도령이 있었다. 수덕도령은 훌륭한 가문의 도령이었는데, 어느 날 사냥을 나갔다가 사냥터의 먼 발치에서 낭자를 보고 사랑에 빠지게 된다. 집에 돌이와 곧 상사병에 걸린 도령은 수소문한 결과 그낭자가 건너마을에 혼자 사는 덕숭낭자라는 것을 알게되어 청혼을했으나 여러 번 거절당한다.
      수덕도령의 끈질긴 청혼으로 마침내 덕숭낭자는 자기 집 근처에 절을 하나 지어 줄 것을 조건으로 청혼을 허락하였다. 수덕도령은 기쁜 마음으로 절을 짓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탐욕스런 마음을 버리지 못했기 때문에 절을 완성하는 순간 불이 나서 소실되었다. 다시 목욕재개하고 예배 후 절을 지었으나 이따금 떠오르는 낭자의 생각 때문에 다시 불이 일어 완성하지 못했다. 세 번째는 오로지 부처님만을 생각하고 절을 다 지었다. 그 후 낭자는 어쩔 수 없이 결혼을 했으나 수덕도령이 손을 대지 못하게 했다. 하지만 이를 참지 못한 수덕도령이 덕숭낭자를 강제로 끌어안는 순간 뇌성벽력이 일면서 낭자는 어디론가 가버리고 낭자의 한 쪽 버선만이 쥐어져 있었다. 그리고 그 자리는 바위로 변하고 옆에는 버선모양의 하얀 꽃이 피어 있었다. 이 꽃을 버선꽃이라 한다. 낭자는 관음보살의 화신이었으며 이후 수덕사는 수덕도령의 이름을 따고 산은 덕숭낭자의 이름을 따서 덕숭산이라 하여 덕숭산 수덕사라 하였다는 전설이다.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11184_57.jpg
      버선꽃 (물단초)

    3. 수덕사 창건설화 백련당 뒤편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8

      "수덕사의 창건에 관한 설화로는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두번째 전설은 대웅전 서쪽 백련당 뒤편에 있는 바위가 관세음보살이 헌신하는 성역으로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져 온다.
      백제시대에 창건된 수덕사가 통일신라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가람은 극히 퇴락이 심해 대중창불사를 하여야 했으나 당시의 스님들은 불사금을 조달하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묘령의 여인이 찾아와서 불사를 돕기 위해 공양주를 하겠다고 자청하였다. 백제시대에 창건된 수덕사가 통일신라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가람은 극히 퇴락이 심해 대중창불사를 하여야 했으나 당시의 스님들은 불사금을 조달하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묘령의 여인이 찾아와서 불사를 돕기 위해 공양주를 하겠다고 자청하였다.
      이 여인의 미모가 빼어난 지라 수덕각시라는 이름으로 소문이 원근에 퍼지게 되니, 심상궁곡인 수덕사에 이 여인을 구경하러 오는 사람이 연일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그중 신라의 대부호요 재상의 아들인 '정혜(定慧)'라는 사람이 청혼을 하기까지에 이르렀다.
      이 불사가 원만성취되면 청혼을 받아들이겠다고 하는 여인의 말을 듣고 이 청년은 가산을 보태어 10년 걸릴 불사를 3년만에 원만히 끝내고 낙성식을 보게 되었다. 낙성식에 대공덕주로서 참석한 이 청년이 수덕각시에게 같이 떠날 것을 독촉하자 구정물 묻은 옷을 갈아 입을 말미를 주소서'하고 옆방으로 들어간 뒤 기척이 없었다.

      이에 청년이 방문을 열고들어가려하자 여인은 급히 다른 방으로 사라지려 하였다. 그 모습에 당황한 청년이 여인을 잡으려 하는 순간 옆에 있던 바위가 갈라지며, 여인은 버선 한짝만 남기고 사라지니, 갑자기 사람도 방문도 없어지고 크게 틈이 벌어진 바위 하나만 나타나 있었다. 이후 그 바위가 갈라진 사이에서는 봄이면 기이하게 버선모양의 버선꽃이 지금까지 피고 있으며, 그로부터 관음보살의 현신이었던 그 여인의 이름이 수덕이었으므로 절 이름을 수덕사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광경을 본 정혜라는 청년은 무상함을 느끼고 산마루에 올라가 절을 짓고 그 이름을 정혜사라 하였다고 한다.
      또한 이때부터 관세음보살이 현신하여 절을 크게 중창하고 바위속으로 사라진 이 곳에서 기도를 하면 모든 소원이 성취된다는 소문이 경향각지에 퍼지자 소원을 비는 인적이 끊이지 않았으나, 수덕사는 근대한국선불교의 중흥조인 경허 만공스님의 가풍을 간직한 선찰로서 자칫 기복에 치우칠 우려가 있어 이를 더이상 구전치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이곳을 찾는 많은 불자들의 심원(心願)에 따라 수덕사에서는 이 성역에 참배 기도하는 이에게 관음의 신통묘용(神通妙用)한 가피(加被)가 얻어지기를 기원하며 근래에 관음상을 봉조하게 되었다.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11123_19.jpg

      관음바위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11125_82.jpg
      관음보살


    4. 수덕사 중창설화 오늘날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8

      "경허· 만공스님께서 근대 선풍을 진작시킨 선지종찰로서 모습을 갖춘 총림.."
      덕숭총림 수덕사는 일주문 편액에 쓰여 있는 동방제일선원(東方第一禪院)이란 문구에서도 느낄 수 있듯이 경허 · 만공스님께서 근대 선을 진작시킨 선지종찰로서의 모습을 갖춘 총림이다.
      덕숭산 내에 있는 정혜사(定慧寺) 능인선원 (能仁禪院) 에서는 수십여명의 선객들이 참선에 매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비구니 선원인 견성암(見性庵)에서는 백 여명의 비구니 스님들이 밤낮으로 화두에 여념이 없다. 또한 매달 음력 그믐날에는 사부대중들이 모여 철야정진을 통한 선수행(禪修行)을 실천하고, 여름철에는 선실천 수련대회를 갖는 등 선의 생활화와 선풍진작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과거 강원(講院)을 운영했던 전통을 되살리고, 부처님의 법을 후학에게 전수할 목적으로 1906(불기 2540)년 개설된 수덕사 승가대학(수덕사 강원)에서는 여러 학인들이 청강과 강론에 전력하고 있다. 수덕사 승가대학은 불교전통방식의 수업내용과 더불어 현실에 맞는 불교사 및 외전(外典)을 겸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교구 신도회를 비롯하여 수덕사 신도회, 합창단 및 인터넷모임인 수덕사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등 각 단체들이 수덕사를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수덕사는 이들을 중심으로 매달 음력 초하루와 보름, 첫째 셋째 일요일, 관음재일에 법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 밖에도 수덕사는 일반 불자 뿐만 아니라 군불자, 재소자와 공무원, 운전불자 등의 포교에 노력하고 있으며, 불교대학을 운영하는 불자는 물론이고 일반인들에게도 불교를 알기 쉽게 널리 알리고, 지역사회의 정신문화중심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11030_97.jpg
       

    5. 수덕사 중창설화 근대
      작성자/작성일
      두레박 24-04-28

      "충남 대본산인 마곡사의 말사에서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본사로 승격...."
      1911년 조선총독부의 사찰령이 반포되어 불교종단을 선교 양종으로 통합하고 20본산제를 실시할 당시 수덕사는 충남 대본산인 마곡사의 말사였다.
      이후 1962년 비구, 대처 통합으로 대한불교 조계종 비상총회에서는 새로운 종헌(宗憲)을 의결하였고, 그 해 3월 25일 공포된 종헌에 의하여, 수덕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본사로 승격하였으며, 현재 수덕사는 충남 일대의 50여개 말사를 관장하고 있다.
      1984.11.29. 중앙종회의 의결로 수덕사는 근대선풍을 진작한 선지종찰임이 인정되어 총림(叢林)으로 승격되었으며 이름을 덕숭총림(德崇叢林)이라 하고 초대 방장에 혜암스님을 추대하였다.
      이렇게 수덕사가 덕숭총림으로 승격한 것은 기존의 교구본사로서의 위상에 종합수도장의 역할까지 겸비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c84fd3620f061d2e08780367e39027fd_1714310992_78.jpg
       

  • 변경/수정신청

    자유게시판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