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전체보기
  1.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5교구 법주사 법주사 사천왕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법주사 사천왕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1977년 12월 6일 충북유형문화재 제46호로 지정되었다. 법주사의 금강문과 법주사 팔상전(국보 55) 사이에 있는 불사의 산문으로 정면 5칸, 측면 2칸의 다포식 맞배지붕 건물로, 중앙 1칸은 통로이고 양쪽 2칸에는 높이 5.7m, 둘레 1.8m의 천왕상을 2구씩 4구를 만들어 세웠다. 국내 최대의 걸작품으로 평가되는 사천왕상으로 법주사에서 소유·관리하고 있다.
    동방지국천왕(東方持國天王)은 수미산(須彌山) 동쪽 승신주(勝神洲)를 지키며 손에 비파를 들고 있으며, 서방광목천왕(西方廣目天王)은 수미산 서쪽 우화주(牛貨洲)를 지키며 손에 용과 여의보주를 들고 있다. 남방증장천왕(南方增長天王)은 수미산 남쪽 담부주(膽部洲)를 지키며 손에 칼을 잡고 있으며, 북방다문천왕(北方多聞天王)은 수미산 북쪽 구노주를 지키며 손에 보탑을 들고 있다.

  2.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5교구 법주사 법주사 석조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법주사 석조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1980년 11월 13일 충북유형문화재 제70호로 지정되었다. 법주사에 있는 돌로 만든 물을 저장하는 용기로 법주사에서 소유·관리하고 있다. 720년(성덕왕 19)에 조성되어 법주사가 번창하여 3천여 명의 승려가 모여살 때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높이 130㎝, 길이 446㎝, 너비 240㎝, 두께 21㎝의 대형 화강암 석조로 쌀 80가마를 채울 수 있는 부피를 지니고 있다.
    바닥에서 맨 위에 이르기까지 4벽이 수직을 이루고 있으며 안팎에는 아무런 문양이나 장식이 없어 단조로운 모습이나 윗면의 가장자리를 경사지게 깎아내어 모각이 없게 하였다.
    벽체의 두께도 다르게 하여 긴 쪽은 23㎝, 짧은 쪽은 34㎝로 하여 수리적인 비례와 균형을 잃지 않도록 배려하였다. 남쪽 벽 바닥에는 지름 11㎝의 구멍이 있어서 실제 용구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모서리 일부에 약간의 파손을 제외하고는 거의 원형으로 남아 있다.


  3.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5교구 법주사 법주사 벽암대사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법주사 벽암대사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1980년 11월 13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71호로 지정되었다. 법주사 입구 수정교(水晶橋) 앞 바위 위에 있는 조선 중기의 승려 각성의 석비로 법주사에서 소유·관리하고 있다. 1664년(현종 5)에 세워졌으며 높이 210㎝, 너비 110㎝, 두께 35㎝이다. 빗돌을 덮은 머릿돌은 우진각지붕으로 이루어졌으며, 비문은 정두경(鄭斗卿)이 짓고 이우가 쓰고 이정(李禎)이 새겼다.

  4.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5교구 법주사 법주사 자정국존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법주사 자정국존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1270년 당시 법주사에 머물렀던 자정국존의 행장(行狀)을 기록한 탑비로서 고려 충혜왕 3년(1342년)에 만들어졌습니다. 스님은 많은 절들에 머물며 유식론(唯識論)을 강설하며 92권에 달하는 경론(經論)해설서를 찬술하기도 했으며, 말년에 법주사 주지스님으로 계시다가 향년 88세로 입적하셨습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 79호, 높이 2.13m, 폭 1.07m

  5.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5교구 법주사 법주사 속리산 사실기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법주사 속리산 사실기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 167호 속리산국립공원 입구에 있는 법주사(法住寺) 근처의 수정교(水晶橋) 앞에 있는 비로서 비각 안에 있다. 비의 크기는 높이 1.63m, 너비 0.65m이다. 1666년(현종 7)에 송시열(宋時烈)이 이야기를 짓고 명필 송준길(宋浚吉)이 글씨를 써서 세웠는데 비문의 내용은 속리산 수정봉(水晶峰) 위에 있는 거북바위의 내력을 쓰고 미신을 타파할 것을 주장한 것이다.

  6.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5교구 법주사 법주사 금강골쌍탑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법주사 금강골쌍탑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2000년 9월 15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200호로 지정되었다. 사찰을 주로 평지에 세우던 삼국시대에는 금당(金堂) 앞에 1기의 석탑을 배치한 단탑가람이 성행하였는데 통일신라 초기에 이르자 불국사·감은사·고선사와 같은 쌍탑가람이 유행하였다. 이것이 이른바 '쌍탑 1금당' 형식으로 불국사 앞의 석가탑과 다보탑이 대표적 예이다.

  7.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5교구 법주사 법주사 석옹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법주사 석옹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2000년 12월 22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204호로 지정되었다. 법주사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법주사의 주방 근처에 있었는데 현재는 법주사 경내 총지선원(摠持禪院) 왼쪽 40m 정도 떨어진 곳에 묻혀 있는 항아리 형태의 석조물이다. 조성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속리산 3,000여 승려들의 김칫독으로 사용된 것이라고 전해진다.

  8.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5교구 법주사 법주사 능인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법주사 능인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충북 보은군 속리산에 있는 신라시대의 대사찰인 법주사 세존사리탑(世尊舍利塔) 앞에 자리 잡고 있는 건물이다. 안에는 주존인 석가모니불과 함께 연대를 알 수 없는 16나한(羅漢)상과 여래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1992년에 조성한 신중탱(神衆幀)이 있다.
    법주사 능인전은 국보 제55호인 팔상전, 보물 제915호인 대웅보전, 보물 제916호인 원통보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6호인 사천왕문 등과 함께 법주사에 남아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로서 보존 가치가 높다. 2004년 1월 9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32호로 지정되었다.

  9.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5교구 법주사 법주사 선희궁 원당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법주사 선희궁 원당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충북 보은군 속리산에 있는 법주사 대웅보전의 전면 동쪽(오른쪽)에 자리 잡은 자그마한 건물이다. 조선 21대 왕 영조의 후궁이자 사도세자의 어머니인 영빈이씨(暎嬪李氏)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기 위해 지은 곳으로, 조성 연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1765년으로 추정된다.
    이 건물은 영빈이씨의 위패를 다른 곳으로 모신 후에는 법주사와 관련된 역대 큰스님들의 초상을 모셔둔 ‘조사각(祖師閣)’으로 사용하다가 1990년 대웅보전 서쪽에 진영각(眞影閣)을 따로 갖추면서 지금은 빈 상태이다. 따라서 법주사에서는 ‘구(舊) 조사각’이라 부르기도 한다.

  10.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5교구 법주사 법주사 궁현당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법주사 궁현당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6

    법주사 궁현당은 속리산에 있는 법주사 경내의 국보 제55호 팔상전(捌相殿) 오른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법주사의 선당(禪堂)으로 중수되었다.
    이 건물은 조선시대인 1632년(인조 10)에 처음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1852년(철종 3)에 기존의 낡은 건물을 철거하고 고쳐 지은 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이는 현존하는 상량문에 적힌 ‘숭정기원사임자년(崇禎紀元四壬子年)’이라는 기록에 따른 것으로, 특히 상량문에는 그 당시 법주사에 기거하던 스님들과 선당을 지은 목수들의 명단도 기록되어 있다.
    이 건물은 상량문의 기록이 남아 있다는 점과 보존 상태가 양호한 조선시대의 건물이라는 점에서 보존 가치가 높아 2004년 1월 9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34호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