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전체보기
  1. 대한불교조계종 유가사 9. 유가사 설법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9. 유가사 설법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1388_55.jpg
     


  2. 대한불교조계종 유가사 10. 유가사 관음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10. 유가사 관음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1304_39.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1304_28.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1303_78.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1303_63.jpg
     


  3. 대한불교조계종 유가사 11. 유가사 국사당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11. 유가사 국사당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국사당은 사찰 경내를 수호하는 외호신장을 모신 곳이다. 서낭당, 장군당, 영신당 등의 신당보다 한 단계 높은 신당으로 ‘상당’이라고도 불렀다.

    원시 신앙의 구심점인 천신 신앙에서 발생한 것으로 하늘과 가까운 높은 산정에 국사를 모셔 놓고 지역 수호신으로 섬겼다. 이러한 원시 신앙이 뒤에 들어온 불교, 유교와 타협하면서 발전하여 온 것으로 여겨진다.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1194_69.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1195_18.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1194_52.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1194_61.jpg
     

  4. 대한불교조계종 유가사 15. 유가사 템플스테이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15. 유가사 템플스테이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템플스테이 장소는 방사가 다섯개이며 개별 난방과 샤워시설을 갖추고 있다.
    비슬산을 조망하며 도성암, 수도암, 대견사를 둘러볼 수 있는 힐링하기엔 천혜의 환경을 갖고 있다.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1095_66.jpg
     


  5. 대한불교조계종 유가사 16. 유가사 부도탑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16. 유가사 부도탑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유가사 부도탑은 수도암,도성암쪽으로 가다 “부도탑 가는 길”
    이정표를 따라가면 산세좋은 넓은 공간에 유가사를 지켜온 선사들의 부도탑 16기가 조성되어 있다.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0987_31.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0987_52.jpg
     

  6. 대한불교조계종 유가사 유가사 소개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유가사 소개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비슬산 유가사(瑜: 아름다운옥 유 / 伽: 절 가 / 寺: 절 사)는 대구 달성군 유가읍 유가사길 161번지에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이다.
    절의 창건에 관하여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765~780년, 신라 혜공왕 때 창건되었다는 설과 827년, 신라 흥덕왕 2년에 도성(道成) 국사가 창건하였다는 설이 있다.
    889년, 진성여왕 3년 탐잠(垣岑)이 중창하였으며, 1047년, 고려 문종 1년 학변(學卞)이 중수하였으며, 1452년, 조선 문종 2년 일행(逸行)이 중수하였다.
    사찰이 번성하였을 무렵 99개의 암자, 3천 명의 승려가 머물렀으며, 일연스님도 한때 이곳에 기거했었다.
    1592년, 조선 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불에 탔다.
    1682년, 조선 숙종 8년 도경(道瓊) 화상이 대웅전을 보수하였고, 1729년, 조선 영조 5년 취화(就和)와 파봉(巴峰)이, 1760년, 보월(寶月)이, 1776년, 밀암(密庵)이, 1797년, 낙암(洛巖)이 각각 중수 또는 중창한 바 있다.
    1976년부터 대대적인 불사를 일으켜 오늘에 이른다.
    현재 건물로는 대웅전,나한전,괌음전,극락전(2021년 낙성) 용화전(2021년 낙성) 삼성각(2021년4월 산령각에서삼성각으로 중수),설법전 등이 있으며, 유물로는 석조여래좌상(용화전), 삼층석탑, 15기의 부도 등이 있다.
    부속암자로는 비구니 수도 도량인 수도암과 참선 도량인 도성암이 있다.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0607_85.jpg


    비슬산, 유가사 이름의 유래
    일연 스님은 가지산문(迦智山門)의 승려이다.
    가지산문은 신라 말기 도의 선사가 전남 장흥군 가지산 보림사를 거점으로 일으킨 산문이다. 도의 선사는 우리나라 선종의 원조로 꼽힌다. 선종의 흐름은 고려시대 3대 종파 가운데 하나인 유가종으로 이어졌는데 여기에 일연스님이 있었다. 비슬산 자락에 있는 유가사가 있는 지명인 유가읍에서 자취를 느낄 수 있다.

    비슬산은 그 이름에서도 신비로운 냄새가 난다.

    신라시대 인도스님들이 와서 산을 보고 '비슬(琵瑟)'이라 이름지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곳이다.
    비슬은 인도의 범어(梵語) 발음을 그대로 옮긴 것인데, '덮는다'는 뜻으로 한자로 쓰면 포(苞)가 된다고 했다. 그래서, 일연은 <삼국유사>에서 '포산'이라 했고, 지금도 일대를 일컫는 지명으로 포산을 쓴다. 의병장으로 이름 높은 망우당(忘憂堂)곽재우(1552~1617)의 본관이 포산인데, 유가읍 바로 옆 현풍읍을 이른다. 그런데, 일연은 <삼국유사>에 주(註)를 남겨 "그 지역 사람들은 소슬산(所瑟山)이라 불렀다."고 적었다. '소슬'과 '비슬'은 통하는 바가 있다. 소슬은 '솟다'에서 왔고, 비슬은 '(닭)벼슬'에서 왔다. 둘 다 우뚝하다, 둘레에서 가장 높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비슬산은 둘레에서 가장 높은 산이라는 뜻이 담겼다.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0632_78.jpg 


    비슬산은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유가읍·옥포읍·가창면과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에 걸쳐 위치한 산이다.
    대구 분지 남쪽을 에워싸는 비슬산 중 최고봉은 천황봉입니다(1084M).
    도성암 위에 위치하는 천왕봉(天王峰) 역시 대견봉과 거의 같은 높이라는 기록이 『여지도서』에 나온다.
    비슬산의 주봉은 북쪽으로부터 천왕봉~대견봉~조화봉(照華峰, 1,058m)~관기봉(觀機峰, 990m)으로 이어진다.
    비슬산은 800m 이상에서 평탄면이 나타난다. 그 결과 평탄면 양사면은 가파르고, 이러한 지형의 영향을 받은 하천은 비슬산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흐르고 있다.
    육산(肉山:흙산)이면서도 산세가 장중하고, 대견봉과 조화봉·관기봉 사이에는 341헥타르에 달하는 비슬산 자연휴양림이 있어 빼어난 자연 경관 속에서 삼림욕과 휴식을 즐길 수 있다. 정상에서 바라보는 낙동강의 경치가 아름답고, 또, 봄이면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고지에 30만평에 걸쳐 철쭉, 참꽃(진달래)이 흐드러지게 피어 장관을 연출한다. 매년 4∼5월에 참꽃축제를 열고, 민속놀이·먹을거리 장터 등의 부대행사를 개최한다. 그 밖에 여름에는 안개계곡, 가을에는 단풍과 참억새, 겨울에는 얼음동산이 유명하다. 스님바위·코끼리바위·형제바위 등의 이름난 바위와 유가사(瑜伽寺)·소재사(消災寺)·용연사·용문사(龍門寺)·임휴사(臨休寺)·용천사(湧泉寺) 등의 사찰이 산재한다. 냉천계곡(冷泉溪谷)과 천명(天命)·장군수(將軍水) 등의 이름난 약수터가 있다.

    현황
    1986년 2월 22일에는 달성군 군립공원으로, 1993년 1월 18일에는 자연휴양림으로, 2003년 12월 13일 달성비슬산암괴류(達城琵瑟山岩塊流)가 천연기념물 제435호로 지정되었다. 비슬산 암괴류는 중생대 백악기 화강암의 거석들로 이루어져 특이한 경관을 보이고 있다. 길이 2㎞, 폭 80m, 두께 5m에 달하고 암괴들의 직경이 약 1~2m, 사면경사 15°로 국내에 분포하는 암괴류 중 규모가 가장 커서 학술적·자연학습적 가치가 크다.

    비슬산 이름 유래


    비슬산에 관한 내용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고문헌은 『삼국유사』로, 신라시대 인도스님들이 와서 산을 보고 '비슬(琵瑟)'이라 이름 지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곳이다. 비슬은 인도의 범어(梵語) 발음을 그대로 옮긴 것인데, '덮는다'는 뜻으로 한자로 쓰면 포(苞)가 된다고 했다. 그래서, 일연은 <삼국유사>에서 '포산'이라 했고 지금도 일대를 일컫는 지명으로 포산을 쓴다. 그런데, 일연은 『삼국유사』에 주(註)를 남겨 "그 지역 사람들은 소슬산(所瑟山)이라 불렀다."고 적었다. '소슬'과 '비슬'은 통하는 바가 있다. 소슬은 '솟다'에서 왔고, 비슬은 '(닭)벼슬'에서 왔다. 둘 다 우뚝하다, 둘레에서 가장 높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비슬산은 둘레에서 가장 높은 산이라는 뜻이 담겼다. 『경상도지리지』, 『경상도속찬지리지』에서는 비슬산의 한자 표기가 현재 사용하는 비슬산(琵瑟山)과는 다르다. 비슬산의 '비'가 '비파 비(琵)'가 아니라 '도울 비(毗)'다. 즉 비슬산(毗瑟山)으로 기록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과『달성군지』에는 비슬산을 일명 포산(苞山)이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포산은 수목에 덮여 있는 산이란 뜻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발간 이후의 고문헌에서는 모두가 비슬산(琵瑟山)으로 기록하고 있다.

    『내고장 전통 가꾸기』(1981년간행)에 보면 비슬산은 소슬산(所瑟山)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인도의 범어로 부를 때 일컫는 말이며 중국말로는 포산(苞山)이란 뜻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더불어 신라시대에 인도의 스님이 우리나라에 놀러 왔다가 인도식 발음으로 비슬(琵瑟)이라고 해서 이름을 붙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유가사사적(瑜伽寺寺蹟)』에는 산의 모습이 거문고와 같아서 비슬산(琵瑟山)이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일설에 비슬산은 산꼭대기에 있는 바위의 모습이 마치 신선이 거문고를 타는 모습과 같다고 하여 비슬산이라 불렸다고도 한다.

    또, 다른 일설에 따르면 천지가 개벽할 때 세상은 온통 물바다가 되었으나 비슬산 정상의 일부는 물이 차지 않고 남아 있는 부분이 있어 그곳의 형상이 마치 비둘기처럼 보여 ‘비둘산’이라고 부르다가 ‘비슬산’으로 변하여 전해오고 있다.

    관기봉, 조화봉 이름의 유래
    한편 일연은 『삼국유사』에서 ‘포산이성(包山二聖)’이란 내용으로 관기와 도성, 두 선사에 관한 기록을 남겼다. 신라에 관기와 도성이라는 두 어른이 살고 있었는데 어디 사람인지는 모른다. 포산이라고도 하고 비슬산이라고도 부르는 산맥의 남쪽 모롱이에 관기는 암자를 지어놓고 살고, 북쪽의 굴속에서 도성은 살고 있었는데, 서로 떨어지기 10리쯤 되는 거리였다. 만약, 도성이 관기를 만나려면 산중의 나무들이 바람을 타고 남쪽으로 파닥거리며 휘어지는 때를 택했으니, 그 나무들의 모양을 보고 관기는 도성을 마중 나갔으며, 그 반대로 관기가 도성을 만나려면 산중의 나무들이 바람을 타고 보다 북쪽으로 굽으며 파닥거릴 때를 택했으니, 그 나무들의 모양을 보고 도성은 또 관기를 마중 나갔더라.

    달빛을 밟고 서로 찾아 운천을 희롱하던 두 옹의 풍류가 몇백 년이 지났는고 연하 낀 골짜기엔 고목만 남아 있고 찬 그림자는 어긋버긋 맞이하듯 하구나.

    관기봉은 정상부 전체가 거대한 암석으로 이루어졌는데, 그 크기는 높이가 30미터쯤이고 둘레가 100여 미터가 넘는 네댓 평 정도의 평활석면(平闊石面)이다. 바로 건너편에 조화봉이 있다. 흐릿하게 흘러가는 낙동강물이 훤히 내려다보이는 이곳에 절을 지을 당시 당나라 사람들이 인근에 자리한 정상 봉우리에서 고국을 그리워하며 바라보니 중국의 모습이 보였다고 한다. 그런 연유로 그 봉우리에 ‘비칠 조(照)’에, ‘아름다울 화(華)’, 즉 조화봉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한다.

    김시습, 이곳 비슬산을 노래하다.
    산중 물이 산을 꺼려서 속세로 흘러가는데 세속 승려는 세속이 싫어 푸른 구름에 돌아오네. 물아, 너의 성품은 본래 맑고 깨끗하지 않더냐. 인간 세상을 향하여 다시는 돌아오지 마라.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0663_74.jpg
    도통바위와 도성암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80684_9.jpg
    도성대사 나무와 관기봉

  7.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9교구 동화사 동화사 가람 배치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동화사 가람 배치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78658_67.jpg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77630_43.jpg
     


  8.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9교구 동화사 1. 동화사 대웅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1. 동화사 대웅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동화사 대웅전은 팔공산을 대표하는 법당이다.
    봉서루 누대 밑을 지나 절 안마당으로 들어서면 정면으로 보이는 건물이 대웅전이다. 대웅전은 여러 차례 중창을 거듭하였는데 현재 건물을 조선 후기 영조 3년(1727)에서 영조 8년(1732) 사이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웅전 축대 아래 양쪽에는 한 쌍의 괘불대와 노주가 있고, 법당으로 오르는 층계는 정면에 반원형으로 쌓아 올렸다. 대웅전 내부 불단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좌측에 아미타불, 우측에 약사여래불을 모셨다. 또 천장에는 세 마리의 용과 여섯 마리의 봉황이 화려하게 조각되어 있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77594_43.jpg
     

  9.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9교구 동화사 2. 동화사 영산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2. 동화사 영산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대웅전 동편 뒤 담장으로 둘러싸인 별채에 위치한 영산전은 나한전, 또는 응진전이라고도 한다.
    법당 안에는 영산회상의 모습을 재현하여 석조 석가삼존불을 중심으로 십육나한상이 좌우로 열좌해 있다. 영산전 현판 글씨는 해사 김성근의 글씨이다. 맛배지붕에 겹처마 형식의 건축으로 1920년 중건하였다. 오른쪽에는 종정예경실이 있다.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77573_95.jpg
     

  10.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9교구 동화사 3. 동화사 조사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3. 동화사 조사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1

    조사전은 동화사를 거쳐간 역대 고승의 영정을 모셔둔 곳이다. 조사전에는 초창주로 알려진 극달화상과 보조국사, 사명대사, 세장, 두여, 의첨, 지화, 총륜, 조계종 초대 종정을 지낸 석우스님 등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대웅전 서편 뒤에 위치해 있으며 18세기 건물이다.


    e15db8ea9ca3eedf76d4e85423853177_1713677553_8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