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甲寺 石造藥師如來立像)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甲寺 石造藥師如來立像)-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도 유형문화재 제50호 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
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은 고려시대에 조성되었으며 갑사 중사자암에 있었던 것을 현재 위치로 이안하였다고 전해진다.
갑사 동쪽 계곡 약 100m 떨어져 있는 자연암석으로 이루어진 석벽 동굴에 남향으로 모셔져 있다.
불두의 머리는 큼직하고 상호는 긴편이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새겨져 있고 법의(法衣)는 양 어깨에 걸쳐 무릎 아래까지 늘어져 있다. 가슴 아래로는 반원형의 옷주름이 표현되었고, 왼쪽 어깨 부근에서는 한 가닥의 주름이 어깨너머로 넘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손 모양을 살펴보면 오른손을 가슴까지 들어 손바닥을 밖으로 하고 왼손에는 약합을 들고 있어 약사여래임을 알 수 있다. -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석조보살입상(石造菩薩立像)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갑사 석조보살입상(石造菩薩立像)-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도 유형 문화재 제 51호 석조보살입상
갑사 뒷산 중사자암에 약사여래입상, 갑사 부도와 같이 있던 것을 갑사에 옮겨 보관하고 있다. 화강암 석재로 만들었으며 목부분이 깨졌고 보주형(寶珠形) 두광(頭光)부분을 마애불처럼 붙여서 조각하였다. 얼굴은 마멸이 심해 분명하지 않으나 코가 오똑하고 눈은 감은 듯 하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데, 한 자락이 오른손 손목을 거쳐 등쪽으로 넘겨졌다. 하체에 걸쳐진 옷은 선이 부드럽고 얇아서 신체의 굴곡을 충실히 표현하고 있다. 가슴부분의 오른손은 뭔가 들고 있는 듯 하나 분명하지 않고, 왼손은 팔을 내려 무릎 부분에서 목이 긴 병을 들고 있다.
전체적으로 잘록한 허리, 어깨 등 조각수법이 세련된 감을 주고 있으며 백제시대의 작품으로 보인다. -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사적비(甲寺 事蹟碑)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갑사 사적비(甲寺 事蹟碑)-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도 유형문화재 제52호 갑사 사적비
갑사의 창건과정과 역사를 적은 비로, 자연의 암반에 장방형의 비받침돌[碑座]을 마련하고 그 앞에는 연꽃무늬를 조각하였다. 비몸[碑身]은 대리석으로 되어 있으며 비신 위에는 사모지붕형식의 머리를 올리고 꼭대기에 보주(寶珠)를 얹었다. 비신에는 4면 모두 비문을 새겼는데, 조선 효종 10년(1659)에 세웠으며, 비문은 여주목사(牧使) 이지천이 짓고 공주목사 이기징이 글씨를 썼다.
비문 내용은 필설로 이루 다 말할 수 없을 만큼 현묘한데, 비문 짓기가 어려움을 표현한 글을 보면 “선사(禪師)가 강력히 권하고 이상공의 뜻이 또한 얕지 않으니 어찌 감히 사양하겠는가, 다만 비문을 짓기가 어려운 것을 생각할 뿐이다. 진실로 조화(造化)[세상 이치 돌아가는 것]에 정통하고, 배운 것이 천인(天人)을 뚫고, 사림(詞林)에 근본하고 문원(文苑)이 우의(羽儀)하고 명성이 건필(健筆)하고, 금석풍류(金石風流)가 아니면 어찌 능히 산악(山岳)을 쪼을 수 있을 것이며 천하(天下)를 비출 것이며, 평범에서 빼어나 준례(準例)를 세울 수 있을 것이며, 깊은 촉망(囑望)을 얻을 수 있을 것인가!” 하고 뛰어난 재능이 있지 아니하면 비문을 지어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기가 쉽지 아니함을 말하고 있다. -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강당(甲寺 講堂)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갑사 강당(甲寺 講堂)-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도 유형문화재 제95호 갑사 강당
갑사 강당 보수공사시 나온 상량문에는 정문이라고 되어 있으며 창건된 것은 만력 42년(광해국 6년, 1614년)에 상량하였고 그 후 가경(嘉慶)2년(정조 22년, 1798년)에 중수하고 광서(廣西)16년(고종 27년, 1890년)에 중수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후 강당은 스님들이 법문을 강론하던 건물로 정유재란(1597)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뒤로 다시 지은 것이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의 옆선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배흘림의 기둥 위에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를 짰는데,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식 건물이다. 단청은 완전히 퇴색되어 무늬의 흔적만 남아 있다. 절도사 홍재의가 쓴 ‘계룡갑사(鷄龍甲寺)’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전체적으로 기교를 부리지 않은 조선시대 후기의 웅장한 건축물이다. -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대적전(甲寺 大寂殿)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갑사 대적전(甲寺 大寂殿)-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도 유형문화재 제106호 갑사 대적전
갑사 대적전의 연혁은 정면 어간에 걸린 현판에 『도광6년4월목암서』(道光6年4月牧岩書)라는 기록이 있는데 도광 6년(순조 26년, 1826년)이 대적전의 건립연대로 추정된다.
갑사 대적전은 현 갑사 경내 앞으로 흐르는 계곡 건너편의 원금당지(原金堂址)로 추정되는 곳에 요사채 1동과 일곽을 이루면서 서향하여 위치하고 있는데 대적전 우측으로 원금당지에는 한단의 쇠시리가 있는 원형 초석이 현재도 제위치에 남아 있다.
대적전은 원래의 금당지 옆에 있는 건물로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으로 가장 화려한 팔작지붕이다. 기둥 위에서 지붕 처마를 받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식 건물이다. 가운데 칸은 공포가 2개이며, 양 끝칸은 1개의 공포로 이루어졌다. 내부에는 불단을 설치하고 위에 천장을 한단 올림으로써 닫집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내부 단청이 매우 아름다운 편이다. -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소조삼세불(甲寺塑造三世佛)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갑사 소조삼세불(甲寺塑造三世佛)-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소조삼세불상및사보살상 보물 제2076호, 복장전적 보물 제2077호
갑사 소조삼세불은 대웅전에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중앙에 봉안하고 우측에 아미타불, 좌측에 약사불을 봉안하여 삼세불의 봉안형식을 취하고 있다. 협시불(脇侍佛)로는 문수보살, 보현보살,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의 4대보살을 봉안하고 있다.석가여래상은 항마촉지인상(降魔觸地印像)이다. 상호는 둥글며 양미간에 백호가 있고 목에는 삼도(三道)가 있고 법의(法衣)는 통견(通絹)이며 가슴 부분이 벌어졌는데 조선시대 불상으로는 우수한 불상이라 할 수 있다. 아미타여래상의 수인(手印)은 오른손은 가슴앞에서 엄지와 중지를 대고 있으며 왼손은 무릎위에서 엄지와 중지를 대고 있어 아미타여래의 9품인(九品印)중 중품중생인(中品中生印)에 해당한다. 약사여래상도 소조(塑造)의 좌상(坐像)이며 협시보살로서 4대보살상은 모두 소조의 입상(立像)이다.
-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표충원(表忠院)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갑사 표충원(表忠院)-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문화재자료 제52호 표충원
표충원은 승병장(僧兵將) 휴정(休靜) 서산대사(西山大師), 유정(惟政) 사명대사(四溟大師), 기허당(騎虛堂) 영규대사(靈圭大師)의 영정을 봉안하고 있으며, 영조 14년(1738년)에 임진왜란 당시 왜적을 격퇴한 공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전각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자연석 기단 위에 둥근 기둥을 써서 세운 맞배 건물이다. 앞면 3칸에는 쌍여닫이 띠살문을 달았으며 양옆에는 판벽을 설치하였다. 갑사 경내 좌측편으로 조금 언덕진 곳에 자연석 답장으로 둘러져 1973년에 세운 의승장 영규대사사적비와 일곽을 형성하고 있다. -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삼성각(三聖閣)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갑사 삼성각(三聖閣)-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문화재자료 제53호 삼성각
삼성각은 칠성·산신·독성의 삼성을 모신 곳이다. 칠성은 도교의 북두칠성이 불교화한 것으로 수명장생을 주관하는 별이다. 산신은 우리 민족 고유의 토속신으로 호랑이와 더불어 나타난 만사형통의 신이며, 독성은 혼자 깨달은 성자를 말한다. 각각의 건물을 따로 지어 삼성을 모시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곳은 삼성각 안에 같이 모시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삼성각은 대웅전 우측 자연석 기단 위에 자리하고 있으며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맞배 지붕이다. 외부는 정면 여닫이문으로 처리하고 공포는 이익공 양식으로 내부는 우물 마루 바닥 위에 불단을 설치하여 칠성 탱화 좌우로 산신 탱화와 독성 탱화를 봉안하고 있다. -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팔상전(八相殿)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갑사 팔상전(八相殿)-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문화재자료 제54호 팔상전
팔상전은 석가모니불과 팔상탱화, 그리고 신중탱화를 모시고 있으며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꾸며 격식을 갖춘 전각이다. 팔상탱화는 석가여래의 일대기를 8부분으로 나누어 그린 불화이다.
팔상도(八相圖)는 1. 도솔래의상(兜率來儀相) : 석가모니가 도솔천에서 마야부인의 태중으로 내려오는 장면 2. 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 : 룸비니 동산에서 태어나는 장면, 3.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 : 싯달타 태자가 동서남북 각각의 성문 밖으로 나가서 세상을 두루 살펴 보는 장면 4. 유성출가상(逾城出家相) : 태자의 신분을 버리고 성을 뛰어 넘어 출가자로서의 삶을 시작하는 장면 5. 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 : 깨달음을 성취하기 위해서 고행 정진하는 장면 6. 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 : 나무 아래서 선정을 닦으며 마왕을 굴복시키는 장면 7. 녹원전법상(鹿苑轉法相) : 깨달음을 성취한 뒤 녹야원에서 설법을 펴는 장면 8. 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 : 사라 쌍수 아래서 입적하는 장면으로 나뉘어 진다. -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계룡산 천진보탑(鷄龍山 天眞寶塔)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갑사 계룡산 천진보탑(鷄龍山 天眞寶塔)-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26
문화재자료 제68호 천진보탑
계룡산 신흥암 위에 봉우리처럼 우뚝 솟아있는 자연바위로, 사람의 손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자연 그대로의 탑이다. 탑이란 부처의 사리를 모셔두는 곳을 일컫는 것으로, 이 탑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석가모니가 열반한 후 인도의 아육왕은 구시나가라국에 있는 사리탑에서 많은 양의 사리를 발견하여 이를 시방세계(十方世界:열곳의 방향에 있는 중생의 세계로, 동·서·남·북·동북·동남·서남·서북·상(上)·하(下)에 있는 무한한 세계를 가리킴)에 나누어 주었다. 그 때 4천왕(四天王 : 불교의 법을 지키는 무리로, 동·서·남·북 네곳을 지키고 있음) 가운데 북쪽을 담당하던 비사문천왕을 이곳 계룡산에 보내어 이 바위안에 담아 두도록 하였고, 뒷날 아도화상이 이를 발견하여 ‘천진보탑(天眞寶塔)’ 이라 이름붙여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