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전체보기
  1.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대적전 목조삼존불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갑사 대적전 목조삼존불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4bfc1785c260a4405a9d88991dba58dc_1716701655_49.jpg
     

    도 유형문화재 제228호 갑사 대적전 목조삼존불

    17세기에 모셔진 높이 142cm, 폭 108cm의 목조 삼존존이다. 1659년 에 세워진 갑사 사적비와도 시기가 거의 일치하는 점에서 당시 중창불사 과정에서 제작되었으리라 본다.

    갑사 내원암 목조여래좌상과도 비슷한 형식으로써 충청도 지역에서 활동했던 불모(佛母) 혜희의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다.
    형식이나 양식적인 특징등에서 균형잡힌 자세와 조형성이 우수해 예술적 가치가 높아 2013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삼신불괘불탱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갑사 삼신불괘불탱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4bfc1785c260a4405a9d88991dba58dc_1716701598_83.jpg
     

    국보 제298호 갑사 삼신불괘불탱화

    삼신불 괘불탱화는 길이 12.47m, 폭 9.48m에 이르는 초대형 괘불화로 조선시대 효종 원년(1650년)에 완성된 17세기를 대표할 만한 수작(秀作)이다. 이 탱화는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석가모니불과 노사나불 등 삼신불이 진리를 설법하고 있는 장면을 그린 괘불로서 비로자나삼신불화(毘盧舍那三身佛畵)라고도 한다.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던 대형 불교그림을 말한다.

    전체적으로 상·중·하 3단 구도로 상단은 천상세계를 상징하고 중단은 삼신불, 하단은 외호중(外護衆)과 청문보살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가운데는 법신불(法身佛)인 비로자나불로서 등뒤에 화려한 키모양 광배가 있으며 결가부좌를 하고 가슴앞에서 손을 모아 왼손으로 오른손을 감싼 지권인의 손모양을 하고 계시다. 오른쪽에 보이는 보신불(報身佛) 노사나불은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두 손을 어깨까지 들어올려 설법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왼쪽에 보이는 석가불은 악귀를 물리친다는 뜻의 손모양인 항마촉지인을 하고 계시다. 윗부분에는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 8대보살과 제석 범천이 에워싸고 14대나한 금강역사, 벽지불 등이 계시다. 하단에는 중앙에 앉아 법을 청하는 청문보살 사리불이 자리하고 좌우에 문수,보현보살과 사천왕이 호위하고 계신다.

  3.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공우탑(功牛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갑사 공우탑(功牛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4bfc1785c260a4405a9d88991dba58dc_1716701538_87.jpg
     

    갑사 경내의 대웅전에서 대적전에 이르는 계곡변에 위치하고 있는 이 탑은 3층으로 이루어진 탑신과 기단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층에는 탑의 건립내용이 음각되어 있고 2층의 탑신에는 『우탑(牛塔)』이란 이름과 3층 탑신에는 『공(功)』이란 명문이 각각 음각되어 있다.

    이 탑은 탑신에 새겨진 명문으로 보아 갑사 중창시에 큰 공을 세운 소가 늙어 죽으니 그 은공을 기려 세운 것이라고 전해진다.

  4.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일주문(一柱門)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갑사 일주문(一柱門)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4bfc1785c260a4405a9d88991dba58dc_1716701502_76.jpg
     

    사찰에 들어갈 때 처음 만나는 문으로 기둥이 한 줄로 늘어서 있다고 하여 일주문이라고 부른다. 십자형의 주좌(柱座)가 있는 초석에 두 기둥을 나란히 세워 겹처마에 맞배지붕을 올린 형태로 세워졌다. 일주문에는 사찰 현판을 걸어 놓는데 갑사는 계룡산 갑사로 산과 사찰명이 표기 되어 있다.

    일주문에 들어설 때는 오직 일심(一心)으로 불법(佛法)에 귀의해야 하겠다는 마음을 다지며, 세속의 잡다한 번뇌를 떨치고 일심으로 진리의 세계로 들어간다는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5.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동종 보호각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갑사 동종 보호각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4bfc1785c260a4405a9d88991dba58dc_1716701463_28.jpg
     

    이 보호각은 보물 제478호로 지정된 동종을 보관할 목적으로 지어진 동종보호각이다. 이 보호각은 갑사 경내 강당의 우측에 있던 것을 화재에 대비하기 위해 현재의 위치로 옮겨져 범종루와 대칭되어 조화로운 가람을 형성하고 있다.

  6.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적묵당(寂默堂)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갑사 적묵당(寂默堂)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4bfc1785c260a4405a9d88991dba58dc_1716701417_33.jpg
     

    본전(本殿)인 대웅전(大雄殿) 전면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적묵당은 조선 광무 3년(1899년)에 다시 중수된 건물로 알려지고 있다.

    건물의 규모는 서측으로 8칸, 북측으로 6칸이며 동측과 남측으로 각각 3칸, 2칸으로 구성되어 있는 'ㄴ'자형 건물로 현재 종무소와 승방으로 사용되고 있다.

  7.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진해당(振海堂)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갑사 진해당(振海堂)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4bfc1785c260a4405a9d88991dba58dc_1716701377_8.jpg
     

    본전(本殿)인 대웅전(大雄殿) 전면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진해당은 조선 고종 12년(1875년)에 대웅전과 함께 중건되었다고 전해진다.

    건물의 규모는 남측으로 7칸, 서측으로 10칸이며 북측과 동측으로 각각 4칸씩의 주간(柱間)을 형성한 비교적 큰 'ㄴ'자 건물로 겹처마에 팔작지붕을 올렸다. 안에는 약사불을 모신 불단이 마련되어 있다.

  8.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강당 편액(講堂 扁額)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갑사 강당 편액(講堂 扁額)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4bfc1785c260a4405a9d88991dba58dc_1716701335_28.jpg
     

    강당에 「계룡갑사(鷄龍甲寺)」라는 편액이 붙어 있는데, 백판(白板)에 양각(陽角) 청서(靑書)로 쓰인 이 글씨는 말미에 정해국추절도사홍재희(丁亥菊秋節度使洪在羲)라고 되어 있어1887년(고종 24) 충청 절도사 홍재희(洪在羲)가 쓴 것이다.

  9.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대웅전 금고(金鼓) 및 금고거(金鼓)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갑사 대웅전 금고(金鼓) 및 금고거(金鼓)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4bfc1785c260a4405a9d88991dba58dc_1716701292_47.jpg
     

    갑사 대웅전에는 금고와 그것을 매달고 있는 목조 금고거가 있으며 그 제작연대는 18세기 중반으로 추정되고 있다. 검은 빛이 감도는 금고의 정면은 당좌로 추정되는 동심원을 표현하였다. 그 바깥에는 범자(梵字)가운데 ‘옴’자 4개만이 간략하게 표현된 원권(圓圈)의 범자를 장식하였으며, 측면에는 금고가 거에 매달릴 수 있도록 연결하는 3개의 반원형 고리가 부착되었다.

    갑사의 금고(金鼓)는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금고와는 다르게 서수(瑞獸)와 용(龍)을 화려하게 조각한 거(虡)에 연결된 형태이다. 금고거는 금고를 걸 수 있는 몸체부분과 그것을 지지하는 대좌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몸체부분은 두 마리의 용이 구름 위로 날아 올라서 붉은 색 여의주를 앞발로 부여잡는 형상이다. 대좌부분은 서수의 형상을 하였고, 등에는 양련과 복련의 연잎을 사용하여 몸체부분과 결구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금고거는 현존하는 조선시대 ‘거’ 가운데 조형적으로 가장 우수하며,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복제, 전시하고 있다.

  10. 대한불교조계종 갑사 갑사 삼성각 독성탱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갑사 삼성각 독성탱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6

    4bfc1785c260a4405a9d88991dba58dc_1716701230_47.jpg
     

    독성탱화도 심산유곡(深山幽谷)의 산수(山水)를 배경으로 독각성인과 시동(侍童)이 있어 산신탱화와 비슷하나 산신탱화에는 반드시 호랑이가 있으나 독성탱화는 호랑이가 없음이 다르다.

    독성(獨聖)은 불교에서는 독각(獨覺)이라고도 하며 아무 스승없이 깨달은 성인(聖人)을 말하며 범어로 pindolabharadvaja인데, 빈두로파라수(賓頭盧頗羅隨)로 음역되는 부처님의 제자이다. 이 독각성인은 남인도의 천태산에서 수도하면서 부처님이 열반한 이후 모든 중생을 제도하고자 하는 아라한으로 나반존자(那畔尊者)로 잘 알려져 있다. 성인(聖人) 나반존자를 중심으로 천녀와 동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