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전체보기
  1.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7교구 금산사 금산사 대적광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금산사 대적광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fc6945d8510925a44df8ff1b2045a8bb_1714925526_41.jpg
     

    미륵전의 서쪽 즉 가람의 중심에 대적광전이 자리한다. 대적광전은 연화장세계의 주인인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본존불로 모신 건물이다. 화엄종의 맥을 계승하는 사찰에서는 주로 이 전각을 본전으로 건립하며, 『화엄경』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하여 화엄전, 비로자나불을 봉안한다고 해서 비로전이라고도 부른다.

    현재 대적광전 건물은 앞면 7칸, 옆면 4칸의 다포식 팔작지붕으로 조선시대 건물이었으나 1986년에 화재로 전소된 후 1994년에 본래대로 복원하였다. 원래 대웅광명전(大雄光明殿) 또는 대법당이라고도 불렀다. 신라 때 진표율사가 창건하면서 지금의 미륵전을 금당(金堂)이라고 기록한 것을 보면 아마도 이 자리에는 법당이 들어서 있었을 것이다.

    대적광전이 지금의 웅장한 규모를 갖게 된 것은 정유재란 때 절이 전소된 후 1635년 수문대사의 중창에 의해서였다. 이후 영조 52년(1776)에 금파대사의 법손인 두월장로가 중수하였고, 1926년과 1938년 미륵전 보수 시에 수리되었다. 수문대사가 중창할 때 따로따로 모셨던 비로자나불, 노사나불,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약사여래불과 여섯 보살을 함께 모심으로써 대적광전 하나로 통합해 창건하였던 것이다. 거대한 규모이면서도 날렵한 느낌을 주는 것은 이러한 한국 전통건축의 기능적, 예술적 지혜 덕택이다. 금산사가 미륵전을 토대로 미륵신앙을 표방하였지만 한국불교의 이러한 통불교적 경향은 고려시대 이후 반영되었을 것이다. 그 뒤 조선시대에 들어와 마침내 대승불교의 대표적 부처와 보살을 모두 수용한 대 전각을 건립하게 되었던 것이다.

    외부 정면 처마 아래에 걸린 「대적광전」 편액은 석전(石田) 황욱(黃旭, 1898~1993)이 1991년 쓴 글씨다. 전라북도 고창에서 태어난 황욱은 붓을 손가락으로 잡는 것이 아니라 손바닥으로 잡고 붓 맨 윗부분을 엄지손가락으로 꽉 눌러쓰는 이른바 악필법(握筆法)을 창안하였는데, 이 편액의 글씨 역시 이러한 악필법으로 황욱의 글씨로는 이 외에 구례 화엄사(華嚴寺)의 일주문에 걸린 「대화엄사(大華嚴寺)」와 「해동선종대가람(海東禪宗大伽藍)」 편액 등이 있다.

    대적광전의 내부 불단에는 비로자나불을 비롯한 5여래와 그 협시로서 6보살을 봉안하였다. 5여래는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왼쪽에서부터 아미타불.석가모니불, 노사나불 그리고 약사불이다. 6보살은 역시 왼쪽에서부터 대세지보살, 관음보살, 보현보살, 문수보살, 월광보살, 일광보살이다. 대적광전에는 일반적으로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한 삼신불(三身佛)을 봉안하여 연화장 세계를 상징하게 된다. 삼신은 법신(法身), 보신(報身), 화신(化身)을 말한다.

    금산사의 대적광전에는 특이하게 5여래 6보살이 모셔진 것이다. 이는 한국의 불교의 특징인 통불교(通佛敎)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불타의 진리를 깨우치기 위해서 어느 하나의 사상이나 종파에 치우침이 없었고, 선과 교가 둘이 아님을 일찍부터 체득했던 때문이다. 전국의 명산대찰 어느 곳을 가보더라도 쉽게 알 수 있다. 왼쪽 벽에는 1991년 당시 주지 월주 스님과 증명(證明) 월산 스님이 조성한 신중탱화를 봉안하였다.


    fc6945d8510925a44df8ff1b2045a8bb_1714925537_53.jpg 


    대적광전 인등(1인, 1년, 10만원) :  5여래 6보살님 앞에 등을 밝혀 일년 내내 자신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합니다.
    대적광전 위패 :  20년 위패  1위당 50만원 ,  영구위패  1위당 150만원
    *추석, 설, 하안거 결·해제일, 동안거 결·해제일 1년에 6번 스님들이 합동 제사 올립니다.
    문의 : 종무소 063-548-4441

  2.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7교구 금산사 금산사 적묵당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금산사 적묵당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fc6945d8510925a44df8ff1b2045a8bb_1714925445_45.jpg
     

    적묵당은 주지스님을 비롯한 삼직 스님의 거주처이자 후원 요사의 중심건물이다. 일반 요사와는 달리 공양하고 예법을 갖추는 대중방(큰방)이 있는 수행전용 건물이다. 근년에 후원 요사를 전체적으로 개보수 등을 하면서 건물 위치를 옮기고 집의 칸수와 기단, 장대석, 지붕 모양 등을 대폭 변형시켰고 새로운 목재를 사용하면서 건물 외양에 현대적 수법을 많이 가미해서 개조(改造)하였다.

  3.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7교구 금산사 금산사 명부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금산사 명부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fc6945d8510925a44df8ff1b2045a8bb_1714925384_25.jpg
     

    대적광전의 좌측으로 대장전과 나란히 명부전이 서 있다. 명부전은 저승의 유명계(幽冥界)를 사찰 속으로 옮겨 놓은 전각이다. 이 전각 안에 지장보살을 봉안하고 있기 때문에 지장전(地藏殿)이라고도 하고, 유명계의 심판관인 시왕(十王)을 봉안하고 있기 때문에 시왕전이라도 한다.

    명부전은 앞면과 옆면 각 3칸씩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안에는 지장삼존, 곧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하여 무독귀왕, 도명존자를 봉안했는데, 지장보살은 왼손에 금강보륜을 쥐고 있다. 지장삼존의 좌우로는 시왕상 10구와 판관, 녹사, 인왕상, 동자상 각 2체가 명부세계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한편 내부 정면의 출입문 위에는 「금산사시왕전중수기」를 비롯한 현판 9개가 나란히 걸려 있다.

    명부전 일년등(5만원) : 돌아가신 조상님들의 극락왕생을 발원하며 등을 올립니다.
    일년등 접수 계좌 : 농협 351-0674-6826-13 금산사
    문의 : 종무소 063-548-4441

  4.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7교구 금산사 금산사 범종각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금산사 범종각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fc6945d8510925a44df8ff1b2045a8bb_1714925290.jpg
     

    보제루 올라가 가람 중심의 서편에 있다. 대적광전을 중심으로 하여 볼 때 오른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범종각이 오른 쪽에 위치하는 이유는 불교의 체용설(體用說)에 입각하여 볼 때 오른쪽은 체(體), 왼쪽은 용(用)에 해당하는데 소리는 곧 용에 속하기 때문이다. 범종각에서 울려나온 소리는 곧 우리들 일심의 작용이요, 부첨님의 위대한 작용을 상징화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소리는 스스로를 밝히고 중생을 교화하는 크나큰 울림인 것이다.

    범종각에는 불전 사물인 범종(梵鐘), 법고(法鼓), 목어  (木魚), 운판(雲版)을 함께 비치하고 있다. 불교의식은 중생들을 착한 길로 인도할 뿐만 아니라 그들을 해탈의 길로 승화시켜 주는데, 이런 의식에는 장엄한 절차가 따르며 뭇 중생들의 심금을 울리는 신묘한 운율이 따르기 마련이다. 종소리는 명부세계의 중생을, 북소리는 모든 축생들을, 목어소리는 물 속 생물을, 운판소리는 날짐승을 제도한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담겨있다.


    fc6945d8510925a44df8ff1b2045a8bb_1714925302_03.jpg
     

  5.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7교구 금산사 금산사 원통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금산사 원통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fc6945d8510925a44df8ff1b2045a8bb_1714925248_47.jpg
     

    미륵전 옆 보제루 우측으로 원통전이 있는데 관세음보살님을 모신 전각이다. 관세음보살님은 대자대비하여 모든 곳에 두루하는 원융통을 갖추고 중생의 고뇌를 씻어주기 때문에 그 권능과 구제의 측면을 강조하여 원통전이라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음전, 대비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6.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7교구 금산사 금산사 보제루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금산사 보제루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fc6945d8510925a44df8ff1b2045a8bb_1714925199_79.jpg
     

    천왕문을 지나 가람의 중심에 이르면 누각 건물이 보제루이다. 정면 7칸, 측면 3칸의 2층 누각식 건물로서 아래층은 절 앞마당으로 오르는 계단역할을 한다. 우리나라 사찰에서 누각건물이 본격적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 것은 조선시대에 와서의 일이다.

    잦은 외침에 따라 승병이 조직되고 사찰이 의승군의 결집장소가 되면서 군사적 필요에 의해 누각이 번성하였다고 한다. 이후 승병이 사라지면서 누각건물은 법회와 강설, 그리고 대중집회의 장소로 사용되었고, 오늘날에는 이러한 실용적 기능보다는 가람의 한 구성요소로서 자리 잡고 있다. 보제루는 정확한 연혁이 남아 있지 않지만 조선 중기에 만세루(萬歲樓)라는 12칸짜리 누각이 있었으므로 아마도 이를 계승한 건물이라 생각된다.

  7.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7교구 금산사 금산사 성보박물관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금산사 성보박물관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fc6945d8510925a44df8ff1b2045a8bb_1714925157_34.jpg
     

    사천왕문을 들어서면 보제루 아래 서편으로 성보박물관이 있다. 성보란 부처님의 성스러운 보물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곳 성보박물관에는 금산사와 말사의 많은 성보문화재들이 전시되어 있다.

  8.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7교구 금산사 금산사 천왕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금산사 천왕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fc6945d8510925a44df8ff1b2045a8bb_1714925098_55.jpg
     

    금강문과 일직선상에 있다. 천왕문은 불법을 수호하는 외호신인 사천왕을 모신 전각이다. 외호신이란 불국정토의 외곽을 맡아 지키는 신이라는 뜻이며, 동, 서, 남, 북 네 곳을 지키게 된다. 이 곳 천왕문은 1994년에 가람을 중수하면서 새롭게 조성했다. 안에는 사방에서 불법을 외호하는 사천왕상을 봉안하였다. 원교 이광사 선생의 현판 글씨가 유려하다.

    사천왕은 불법세계의 호법신으로 수미산을 중심에 둔 불국토의 사방을 지키는 하늘의 왕이다. 천왕문은 사천왕을 모셔 높은 문 형태의 건물이다. 금강문이 없는 사찰에서는 천왕문이 금강문의 역할을 겸하는데, 금산사에서는 금강문과 천왕문을 모두 설치했다. 그만큼 강력하게 불법을 수호하겠다는 의지가 표현된 것이다. 금산사의 천왕문은 최근에 새로 조성한 것이다.

  9.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7교구 금산사 금산사 금강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금산사 금강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fc6945d8510925a44df8ff1b2045a8bb_1714925054_5.jpg
     

    일주문을 지나 100m 쯤 오르면 작은 개울 건너에 자리잡은 금강문을 보게 된다. 금강문은 대개 천왕문의 대문에 금강역사의 모습을 그려 놓거나, 때로는 천왕문 안에조각상을 만들어 세우기도 한다. 그리고 금산사와 같이 금강문을 천왕문 앞별도로 모시는 경우도 있다.

    금강역사는 불교의 수호신이다. 대체로 불탑 또는 사찰의 문 양쪽을 지키는 수문신장(守門神將)의 역할을 담당하며, 인왕역사라고도 한다. 이 신은 여래의 온갖 비밀스런 사적(事蹟)을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5백의 야차신을 거느리고 현겁 천불(千佛)의 법을 수호한다고 한다. 이 건물은 1994년에 새로 지어 안에는 인왕상 2기와 사자를 탄 문수동자, 코끼리를 탄 보현동자를 모셨다.

    본래 금산사에는 조선시대부터 내려온 금강문이 따로 있다.현재의 금강문을 지나 바로 오른쪽에 「모악산 금산사」 현판이 걸린 건물이 그것이다. 1994년에 가람을 일신할 때 절의 입구를 변경하면서 본래의 금강문 왼쪽 앞에다 새롭게 금강문을 세웠던 것이다.

    지금은 새로 세운 금강문에 자리를 내주고 전각이름마저도 사라졌지만, 1556년(명조 11)에 인언(仁彦) 경휘(敬輝) 스님이 재건한뒤 1972년의 중수 때까지 오랜 역사를 지닌 유서 깊은 건물이었다.

  10.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7교구 금산사 금산사 일주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금산사 일주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6

    fc6945d8510925a44df8ff1b2045a8bb_1714925009_18.jpg
     

    일주문은 금산사에 오르는 산길에서 처음 만나는 건물이 모악산 금산사」라는 현판이 걸린 일주문이다. 일주문은 기둥이 일직선상의 한 줄로 늘어서 있어 일주문이라 부른다. 이 일주문은 일심(一心)을 상징한다. 신성한 가람에 들어서기 전에 세속의 번뇌로부터 부산히 흩어진 한 마음을 하나로 모아 진리로 향하게 하는 상징적인 의미가 담겨져 있다. 1975년에 세운 목조의 맞배지붕 양식으로 되어 있다. 현판은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의 글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