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전체보기
  1. 대한불교조계종 운문사 운문사 전각 명부전(冥府殿)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운문사 전각 명부전(冥府殿)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신라시대 원응국사가 건립하였고 나말려초의 보양국사가 중창한 운문사 명부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에 맞배지붕을 한 건물로 조선 중엽의 건축양식을 보이고 있다.
    지옥 중생을 남김없이 제도하겠다는 원력을 세운 지장보살과 십대왕을 모신 전각이으로 지장보살을 모신 전각이므로 지장전(地藏殿)이라고 하기도 하며, 십대왕을 모신 전각이라 하여 시왕전(十王殿)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또한 명부전이라는 명칭은 지장보살과 시왕이 머무르는 곳이 저승세계 즉 명부이므로 이런 명칭을 사용한다.
    십대왕(十大王) 저승을 관장하는 열 명의 대왕으로 진광(秦廣)대왕, 초강(初江)대왕, 송제(宋帝)대왕, 오관(伍官)대왕, 염라(閻羅)대왕, 변성(變成)대왕, 태산(泰山)대왕, 평등(平等)대왕, 도시(都市)대왕, 전륜(轉輪)대왕 등을 일컫는다. 망자가 저승에 다다르면 이들 열 명의 대왕에게 심판을 받아 각각의 업식에 따른 과보를 받는다고 한다.
    절에서 망자를 위해 지내는 재(齋)의식 가운데 대표적인 49재는 망자가 열 명의 대왕에게서 심판을 받고 윤회하여 다음 몸을 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인 49일 동안 그의 업식이 맑아지고 보다 부처님의 세계에 가까워지길 발원하는 추모의식이라 할 수 있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617_85.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618_32.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617_71.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617_8.jpg
     


  2. 대한불교조계종 운문사 운문사 전각 범종루(梵鐘樓)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운문사 전각 범종루(梵鐘樓)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1층의 문이 운문사의 정문이기도 한 범종루는 2층 누각으로, 법고(法鼓)·범종(梵鐘·大鐘)·목어(木魚)·운판(雲版)의 사물(四物)을 안치했다.
    사물은 조석 예불 시에 울리는 것으로, 법고는 네발 달린 축생, 운판은 허공에 날아다니는 중생, 목어는 수중의 모든 생명, 대종은 지옥과 천당 등을 모두 아우르는 일체 중생들의 성불을 발원하며 울리는 것으로, 이 소리가 각각의 인연 닿는 중생들에게 부처님의 법음으로 전해진다고 한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565.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565_1.jpg
     

  3. 대한불교조계종 운문사 운문사 전각 비로전 (보물 제835호)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494_88.jpg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운문사 전각 비로전 (보물 제835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비로전(大雄寶殿·毘盧殿)  

    1105년 (고려 숙종 10년) 원응 국사가 건립하였다고 전하며, 발견된 상량문에 藏次 順治 十年 癸巳 九月이라고 기록된 것으로 보아 1653년(조선 효종 4년)에 중창한 것으로 보인다.
    정면 어간(御間: 법당의 중심축이 되는 부분. 주불을 봉안한 법당의 가장 가운데 부분을 일컫는다. 또한 불상이 바라보고 있는 직선상의 공간을 모두 어간이라고 한다.) 에 꽃살문을 새겨 부처님께 시들지 않는 법의 꽃 공양을 올리고 있음을 상징하고 있다.
    보물 제 83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웅보전”이라는 현판을 걸고 있으나, 통칭하여 비로전이라고 부른다.
    현재의 대웅보전을 짓기 전, 운문사 신앙 공간의 중심적 역할을 하였으며 문화재청 등록 당시 “운문사 대웅보전”으로 등재되었기 때문에 옛 현판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청정법신 비로자나불을 모셨으며 좌측에는 신중탱화, 우측에는 삼장탱화를 봉안하였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494_88.jpg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494_76.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495_28.jpg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Mahāvairocana)은 산스크리트어로 ‘두루 빛을 비추는 자’라는 뜻을 가진 부처님이다.
    대일여래(大日如來)라고 한역하기도 하므로 비로자나불을 모신 전각을 대광명전(大光明殿), 대적광전(大寂光殿), 비로전(毘盧殿)이라고 한다.
    『대방광불화엄경』에서 시방세계의 모든 부처님을 포괄하여 대표하는 법신불(法身佛: 부처님이 깨친 진리, 그 정신적인 부분을 인간의 모습으로 형상화 한 부처)로 등장하는 비로자나불은 지권인(指拳印·智拳印)을 맺고 있어서 여타의 불상에 비해 알아보기 쉽다.
    지권인은 이치(理致)와 지혜(智慧), 중생과 부처, 미혹함과 깨달음이 둘이 아님을 설하는 수인이다. 양손을 가슴 앞에 올리고 치켜 세운 왼손 검지를 오른손이 감싸는 형태와 좌우 엄지를 속에 넣고 다른 손가락으로 감싸 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운문사 비로전의 비로자나부처님은 첫 번째 형식을 띄고 있다.

    악착보살

    비로전 서쪽 천장에 종을 매단 반야용선이 보인다. 반야용선(般若龍船)이란 피안의 극락정토에 갈 때 탄다는 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법당 자체가 지혜의 세계로 나아가는 반야용선과 같다고도 하는데, 운문사 비로전 내에 형상화 되어있는 반야용선에는 밧줄이 하나 걸려 있고, 그 밧줄을 잡고 매달려 있는 동자상을 일명 악착보살이라고 한다.

    주련은 전통 한옥의 기둥에 걸리는 좋은 글귀를 말합니다.
    기둥 주(柱), 매달 련(攣) 이라는 글자를 씁니다.
    선비님네 집에서 공자나 맹자의 가르침을 걸어둔다면, 우리 절집에서는 부처님 경전의 좋은 구절이나, 각 전각의 주인이신 불보살님을 찬탄한 구절을 써 둡니다. 오백나한님이 머무시는 운문사 오백전에는 어떤 내용의 주련이 걸려있나요? 자세히 보시고 함께 음미 해 주세요.
    우리들이 보지 못할 뿐, 늘 그자리에 계시는 광대무변한 부처님을 어서 만나지길 발원해 봅니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519_37.jpg
     

  4. 대한불교조계종 운문사 운문사 전각 삼장원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운문사 전각 삼장원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경율논 삼장을 모두 갖추고 있음을 뜻하는 이름답게 목판본 경전에서부터 대장경과 여러 출판 간행물을 두루 갖춘 도서관과 열람실 및 승가대학 도서관과 강사스님들의 연구실이 있는 건물이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406_79.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406_89.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406_26.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406_95.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406_35.jpg
     

  5. 대한불교조계종 운문사 운문사 전각 선열당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운문사 전각 선열당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각종 특강이 이루어지는 시청각실이 위치한 곳이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348_72.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348_82.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348_88.jpg
     

  6. 대한불교조계종 운문사 운문사 전각 설현당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운문사 전각 설현당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승가대학 대교반(4학년)스님들의 수업공간이자 요사인 설현당은 “대방광불화엄경”이라는 작은 편액을 가지고 있다. 이곳에서 수업이 이루어지는 『화엄경』의 정식 명칭이기도 한 이 편액은 ‘깊고 그윽한 이치가 늘 설해지고 있는 공간’이라는 이름, 설현당과 함께 이 건물을 상징한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301_68.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301_76.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301_83.jpg
     

  7. 대한불교조계종 운문사 운문사 처진 소나무 (천연기념물 제180)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230_08.jpg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운문사 처진 소나무 (천연기념물 제180)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천연기념물 제 180호로 지정된 운문사 처진 소나무는 주변의 인공적인 압력 없이도 늘어져서 넓게 자라는 나무로 유명하다. 수령 500년에 이르는 이 소나무는 어느 선사가 이곳을 지나다가 시들어진 나뭇가지를 꽂아둔 것이 뿌리를 내렸다고 전해지고 있다. 해마다 음력 3월 3일인 삼짇날 막걸리 12말을 희석하여 영양제로 부어준다.
    늘 푸른 기상은 수행자로서의 청정함을 상징하고, 넓게 자라서 큰 그늘을 만들어주는 것은 처음으로 스님이 된 학인들에게 널리 중생의 고통을 덜어주는 보살정신을 가르쳐 준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230_08.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230_61.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230_17.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230_7.jpg
     

  8. 대한불교조계종 운문사 운문사 전각 오백전(五百殿)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운문사 전각 오백전(五百殿)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주불로 석가모니불과 좌보처 제화갈라보살, 우보처 미륵보살과 오백나한상을 모신 전각이다.
    나한이란 아라한(阿羅漢)의 줄임말로, 응공(應供)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공양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 존경 받을 만한 사람을 의미한다. 이 외에도 살적(殺賊).불생(不生).응진(應眞).진인(眞人).성자(聖子) 등으로 의역한다. ‘고귀한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 산스크리트어 arhan의 음역이다. 부처님과 같이 깨달음을 얻어 열반에 이른 사람으로, 인간이 가진 욕망의 사슬을 완전히 벗어나 생사의 윤회에서 벗어나 다시는 태어나지 않는 경지에 이른 수행자를 이른다.
    부처님을 부르는 열 가지 명칭(十號) 중의 하나가 응공(즉 아라한)인 것을 볼 때도 아라한은 부처님에 대한 별칭이었다. 그 뒤 부처님과 아라한이 구별돼, 부처님의 제자가 도달하는 최고 깨달음의 경지를 의미하게 됐다. 즉 아라한이란 시대적으로 부처님 당시에 부처님께 가르침을 받아 깨침을 얻은 제자들을 이르는 말로, 부처님 입멸 후 깨침을 얻은 이들을 일컫는 보살과 구별하는 명칭으로도 사용한다. 이는 교리적으로 소승에서 깨침을 얻은 이를 일러 나한이라 하고, 대승에서 깨침을 얻고 중생 교화에 뜻을 둔 이를 일러 보살이라 칭하는 것으로 발전하였다.
    나한 신앙은 중국으로 건너오면서 신앙의 대상으로 전환되어, 16, 500, 1200 등으로 다양하게 규정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6나한과 500나한이 일반적이다. 500이라는 숫자는 『묘법연화경』「오백제자수기품」에 등장하여 다음 생에 성불할 것을 부처님으로부터 수기 받은 제자 500인 또는 불멸 후 바라나시에서 열린 첫 결집에 모인 500인 등에서 연유하였다.
    운문사 오백전에 모신 오백나한은 자유분방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오백나한 한 분 한 분께 각각 마지(공양)을 올리는 오백미 공양이라는 독특한 전통이 있다.
    한편 통도사 구하 스님이 86세에 쓰신 현판 글씨가 일품이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140_02.jpg
     


    주련은 전통 한옥의 기둥에 걸리는 좋은 글귀를 말합니다.
    기둥 주(柱), 매달 련(攣) 이라는 글자를 씁니다.
    선비님네 집에서 공자나 맹자의 가르침을 걸어둔다면, 우리 절집에서는 부처님 경전의 좋은 구절이나, 각 전각의 주인이신 불보살님을 찬탄한 구절을 써 둡니다. 오백나한님이 머무시는 운문사 오백전에는 어떤 내용의 주련이 걸려있나요? 자세히 보시고 함께 음미 해 주세요.
    우리들이 보지 못할 뿐, 늘 그자리에 계시는 광대무변한 부처님을 어서 만나지길 발원해 봅니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160_09.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160_17.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160_61.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159_98.jpg
     

  9. 대한불교조계종 운문사 운문사 은행나무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운문사 은행나무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수령 400년에 이르는 두 그루의 은행나무는 해마다 가을이면 황금빛으로 물들어 세인의 관심을 받는다. 그러나 불이문을 경계로 승가대학 구역 내부, 즉 일반 참배객으로서는 접근하기 힘든 곳에 위치하고 있다. 운문사에서는 은행나무 관람을 위해 은행나무가 물들어 최절정에 이른 하루를 정하여 일반에 개방하고 있다. 그러나 그 날짜는 일정하지 않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065_8.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066_31.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065_72.jpg
     

  10. 대한불교조계종 운문사 운문사 전각 응진전(應眞殿)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운문사 전각 응진전(應眞殿)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2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성자’, ‘번뇌를 끊고 불생(不生)의 경지에 도달한 성자’, ‘진리에 상응하는 이’ 등의 뜻을 가진 응진(應眞), 즉 16 아라한을 모신 전각으로, 대웅전 오른편에 위치하고 있다. 아라한은 처음 불교가 시작되던 당시 수행자를 일컬었으나, 이후 불교에서 깨달음을 이룬 이를 뜻하는 말로 규정되었다.
    16나한은 4명의 나한이 확대된 것이다. 『미륵하생경』에 따르면 석가모니 부처님이 열반에 들 때 대가섭, 군저발탄, 빈두루, 나운이라는 이름의 아라한에게 열반에 들지 말고 미륵불의 출현을 기다리며 정법을 수호할 것을 부촉하였다고 한다.
    이들 네 아라한의 법수가 네 번 반복되어 16이라는 숫자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모두 삼명(三明), 육통(六通), 팔해탈(八解脫)의 무량한 공덕을 갖추고 있어서 삼계의 오탁에 물들지 않으며 경율논 삼장에 능통하여 중생을 위한 참된 복전이라 일컬어진다.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011_7.jpg
    4d9a6ce19e2f65d93934b475441c77bb_1714617014_5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