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전체보기
  1. 연곡사 템플스테이 연곡사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연곡사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연곡사] 마음쉬는 피아골
    일상의 복잡함을 벗어나 지리산 피아골 연곡사에서 몸과 마음의 휴식을 취하며, 지리산의 맑은 기운을 느껴 가시길 바랍니다. 휴식위주의 프로그램으로, 지리산만이 갖고있는 아름다운 자연속에서 지친 내면을 치유하고 자신을 다시한번 살펴보는 소중한 시간이 될것입니다.

    1박 - 성인 50,000원, 중고생 40,000원, 초등생 30,000원, 미취학 0원

    백신접종 완료자 또는 코로나 음성확인서를 지참하신 분만 참가 가능합니다.
    확인이 안 될 경우 입실이 불가 합니다.
    현재 코로나19로 인하여 혼자 참가하시는 분은 1인실만 신청이 가능하며 1박당 2만원이 추가됩니다. 예약하기 다음 화면의 옵션참가비에서 "1인 1실" 옵션을 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옵션 선택안할시 승인불가 할수 있습니다.
    - 2인 이상은 선택 불필요
    입금은!! 필히 승인완료 확인후 입금!부탁드립니다
    문의전화 템플스테이 사무국 : 010 - 3421 -1080 061)782-1072, 연곡사 종무실 : 010-5131-7412 061) 782-7412

  2. 연곡사 템플스테이 연곡사 템플스테이 청매당 숙소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연곡사 템플스테이 청매당 숙소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389_17.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389.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388_74.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388_48.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388_86.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388_64.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387_92.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381_78.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381_55.jpg
     


  3. 연곡사 템플스테이 연곡사 템플스테이 설선당 숙소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연곡사 템플스테이 설선당 숙소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350_09.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349_89.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349_74.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349_6.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16349_05.jpg
     


  4. 대한불교조계종 천은사 천은사 법회 기도 인등안내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천은사 법회 기도 인등안내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정기법회안내
    기도명 : 초하루, 보름, 산신재
    법사 : 주지스님
    일시 : 매달 음력 초하루,보름,초삼일 10시 30분
    장소 : 극락보전
    비고 : 초하루 법회일은 옹기종기 모여앉아 두런두런 담소 나누며 불기를 닦습니다.

    특별기도안내
    백일기도(1인) / 일년기도,천일기도(가족) / 수능기도
    하안거 : 백중기도
    동안거 : 동지기도, 입춘기도(삼재기도), 정초신중기도

    인등,연등 안내

    인등(1인) : 극락보전, 관음전, 삼성전
    연등(가족) : 극락보전, 명부전, 관음전, 삼성전

    기타 자세한 사항은 문의바랍니다.
    접수처: 061)781-4800, 010-2758-4172
    FAX(팩스) 061)781-4801

  5. 대한불교조계종 천은사 천은사 극락보전 보물 제2024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천은사 극락보전 보물 제2024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814_63.jpg
     

    극락보전 極樂寶殿은 아미타여래 부처님을 안치한 불전으로 천은사의 가장 주된 건물로서 앞면 3칸, 옆면 3칸의 단층이며 지붕마루부분에 삼각형의 벽과 여덟팔자 모양으로 널빤지를 붙인 형태의 지붕(팔작지붕)으로 공포는 외3출목의 조선 중기 이후의다포양식(기둥위, 기둥과 기둥사이에도 공포를 설치한 형태)을 이루고 있다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50호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求禮 泉隱寺 極樂寶殿)」을2019년 5월 23일 국가 지정 문화재 보물 제2024호로 지정하였습니다.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이하 극락보전)」은 천은사의 주불전으로 1774년(영조 50년)에 혜암선사(惠庵禪師)가 중창하면서세워졌으며, 중생들의 왕생극락을 인도하는 아미타불을 주불로 하여 정면 3칸, 옆면 3칸 규모의 다포계 팔작지붕 건물이다.
    * 중창(重創): 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새롭게 지음
    * 다포(多包式): 공포를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배열한 공포 형식

    극락보전의 특징은 내부에 높게 세운 기둥인 고주(高柱)의 윗부분에서 대량(大樑)과 툇보를 일체화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인가구(架構) 구성뿐만 아니라 전체 규모는 크지 않으면서도 내부 고주를 뒤쪽으로 좀 더 옮기고 양옆에 보조기둥을 한 개씩 세워 넓은불단과 후불벽(불단 뒤쪽의 벽)을 구성하여 예불공간이 더욱 돋보이고 위엄을 갖추도록 구성하였다.
    * 고주(高柱): 한옥에서 대청 한복판에 다른 기둥보다 높게 세운 기둥
    * 대량(大樑): 앞뒤 중간 기둥에 걸쳐서 지붕 무게를 받치는 가장 큰 들보
    * 툇보(退―): 툇기둥과 안기둥에 얹힌 짧은 보. 퇴량(退樑)
    * 가구(架構): 기둥이나 공포위에 얹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나 구조물

    또한, 앞면과 옆면의 공포(栱包)는 풀과 꽃, 봉황머리를 조각하여 화려하게 장식했지만, 뒷면은 장식을 두지 않고 간략히처리하였다. 그리고 용의 머리와 꼬리를 조각한 안초공(按草栱)의 사용, 섬세하고 화려한 우물천장과 내부 닫집 등의 우수한 조각기법은 18세기말 다포식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 공포(栱包): 처마의 무게를 받치려고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나무쪽
     * 안초공(按草栱): 기둥머리의 내외로 두꺼운 가로재인 평방(平枋)에 직각으로 교차해 끼워 기둥 상부의 공포를 받는 부재
     * 닫집: 사찰 등에서 불상을 감싸는 작은 집이나 불상위를 장식하는 덮개

    극락보전 내부 단청은 안료분석 결과 19세기 이전의 천연안료가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로 벽화·단청 채화기법이 뛰어나고 보존상태도 양호하여 조선 후기의 단청 전통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은 18세기 말 다포식 불전의 여러 특성을 잘 보여줄 뿐만 아니라 해남 미황사 대웅전(보물제947호)이나 영광 불갑사 대웅전(보물 제830호), 나주 불회사 대웅전(보물 제1310호)과 비슷한 특징을 보인다는 점에서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역사적, 건축적, 예술적 가치가 충분하다.

    극락보전이 자리하고 있는 구례천은사는 지리산 남서쪽 자락에 있는 사찰로 828년(신라 흥덕왕 3년) 덕운선사(德雲禪師)에 의해 창건되어 감로사(甘露寺)로불리다가, 1679년(조선 숙종 5년) 조유선사(祖裕禪師)에 의해 중창된 후 천은사(泉隱寺)로 바뀌어 불렸다.

    문화재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이번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된 문화재가 체계적으로 보존‧활용되도록 노력할 것이다.

  6. 대한불교조계종 천은사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 후불탱화 보물 제924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 후불탱화 보물 제924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천은사 극락보전 아미타후불탱화는 세로360㎝, 가로277㎝ 크기의 삼베바탕에 짙은 녹색과 적색으로 채색되었는데, 그 구도와 기법등이 매우 훌륭하고 보존 상태가 좋아 현재 보물 제924호로 지정되었다. 제작은 1776년(영조52)에 극락보전을 지금의 모습으로 중수하면서 신암(信庵)스님을 비롯한 14명의 금어 스님이 조성하였다.
     
    구도는 아미타불이 극락세계에서 설법하는 광경을 그대로 그림으로 옮겨놓은 듯 아미타불을 비롯하여 8대보살, 10대제자, 사천왕, 호법신중 등이 화면을 가득 메우고 있다. 더욱이 각각의 불보살과 신중 등에는 옆에 그 명칭이 적혀 있어 불화를 조성한 화사(畵師)의 세밀한 배려와 독창성을 엿보게 된다. 곧 중앙 아미타불의 광배에는 ‘광명보조수명난사사십팔대원무량수여래불(光明普照壽命難思四十八大願無量壽如來佛)’이라 적었고,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에도 각각 ‘문성구고(聞聲救苦)’, ‘섭화중생(攝化衆生)’이라는 설명을 붙여 중생의 고통을 없애주고 모든 이들을 교화시킨다는 대승불교의 보살사상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본존 무량수불의 좌우에는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금강장(金剛藏)보살과 제장애(除障碍)보살, 미륵보살과 지장보살이 짝을 이루고 있다. 관음보살, 대세지보살과 함께 이들 8대보살은 곧 「8대보살만다라경」등의 밀교 경전에서 나온다고 한다. 또한 화면 하단부의 좌우로는 다양한 지물을 지닌 사천왕의 모습이 매우 사실적이면서도, 마귀를 물리치는 험악한 인상이 아니라 약간은 희극적인 모습을 지녀 친근감을 갖게 한다. 아미타불의 대좌 아래로는 ‘금리불존자(金利佛尊者)’라는 비구가 무릎을 꿇고 법문을 청하는 모습이 보인다. 이 비구가 바로 10대제자 가운데 한분인 사리불존자이다.
    이처럼 천은사 아미타후불탱화는 복잡한 극락세계를 모두 나타내면서도 보는 사람의 이해를 돕도록 각각의 존명을 적고 있다.
    대체로 16세기의 설법도 둥근 원형의 구도를 지녔으나, 이후에는 화면 가득히 온갖 불보살과 신중을 복합적으로 배열하는 군도형식(群圖形式)의 불화로 변화한다. 이같은 군도형식의 불화가 가장 안정적이고 전형적으로 나타난것이 바로 천은사 극락보전 아미타후불탱화라 할 수 있다.
     
    천은사 아미타후불탱화 보물 제 924호로 지정된 이 탱화(幀畵)는 삼베바탕에 진한 채색을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1776년에 제작되었다. 화면은 중앙의 사각대좌 위에 앉은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8대보살과 사천왕, 10대제자 등이 둥글게 배열되어있다.
    각각의 불보살들에는 광배의 한쪽에 붉은색의 사각형 칸을 만들어 흰글씨로 그 명칭을 적고있어서 아미타불화의 연구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중앙의 본존은 화려한 금색 꽃무늬 단이 대진 붉은색 가사를 입고 있는데 가사에는 금색무늬가 일정하게 그려져 있다. 얼굴은 넓고 눈은 가늘며 입은 작고 입주변과 턱에 수염이 표현되어 있다. 머리는 나발로 육계가 적고 중간에 초승달같은 중간계주가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얼굴의 묘사는 다른 보살상들에도 거의 흡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아미타부처님은 여러색선의 원형 두광과 신광을 지니고 있는데 두광은 진한 녹색으로 처리하고 신광은 밝은 녹색을 사용하고 있다. 신광에는 향우측에 「광명보조수명난사사십육대원무양수여래불(光明普照壽命難思四十六大願無量壽如來佛)」이라고 씌여있어서 아미타불 중 무량수불임을 알 수 있다.
    대좌 앞에 향우측 보살은 화려한 보관과 영락장식을 갖추고 정면을 향해 서 있다. 보관에는 화불이 그려져있고 손에는 정병을 들고 있어서 관음임을 알수 있는데 두광에 문성구고관세음보살(門聲救苦觀世音菩薩)이라고 되어 있다.
    향좌측의 보살은 관음과 흡사한 얼굴에 천의를 걸치고 있는데 보관에 정병이 그려져 있고 손에는 경책이 들려져 있는 대세지보살이고 두광에 섭화중생대세지보살(攝化衆生大勢至菩薩)이라고 되어있다. 관음의 윗쪽으로 합장을 한 세보살은 문수보살, 금강장보살, 미륵보살이고 대세지보살의 윗쪽으로 합장을 한 보살은 보현보살, 연봉우리를 들고 있는 보살은 제장대보살이며, 승형머리에 석장을 든 보살은 지장보살이다.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의 외측에는 각각의 지물을 들고 둥근 눈과 거친 수염을 지닌 사천왕이 배열되어 있다.
    향우측 하단에 칼을 비스듬하게 잡고 있는 동방천왕, 그 위로 비파를 들고 있는 북방천왕, 향좌측 하단에 여의주와 용을 잡고 있는 남방천왕, 그 위에 보탑과 창을 들고 있는 서방천왕이 자리잡고 있다. 8대제자는 보살들의 윗쪽에 좌우 네분씩 거의 대칭으로 자리잡고 있는데 각각의 명칭은 없다. 특이하게 대좌 아래쪽에 한 비구가 무량수불을 향하여 무릎을 꿇고 앉아있는 모습이 보이는데 그 스님의 두광에 사리불존자(舍利佛尊者)라고 적혀있다.
    사리불존자는 부처님의 10대제자중의 한 분이어서 이 불화에는 9분의 제자가 자리하고 있는 셈이다. 화면의 좌우 하단에는 불화기가 적혀있지만 현재 봉안되어 있는 상태로는 조사가 불가능한 형편이다.
     
    현재까지 불화기 전체를 소개한 책도 없어서 화기 전체를 그대로 소개할 수는 없지만 그 내용을 어느정도 알 수 있는 글을 첨부하기로 하겠다.
     
    "화면 좌우 하단부에는 주색을 칠한 네모난 화기난을 두었는데 향우측 화기관을 보면 탱화의 제작년대와 불화의 명칭이 적혀있고 시주자 및 시명, 사명 등이 보인다. 이어서 이 불화를 그린 화사(금어)들의 이름과 이 불화에 직접 참가한 승려(僧侶)들과 그 직명(職 名)을 열거하고 있다.
    향좌측 화기난에는 이 불화를 조성할 때 시주한 시주자들의 명단을 적고 있어 이 불화와 관련된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 이 화기와 내용을 보면 1776년 8월 남원 천은사 대법당에 미타회를 조성하여 봉안한다는 내용이다. 여기에서 이 불화는 분명한 아미타불탱화임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주상전하의 만수무강을 기원하고, 아울러 대시주질(大施主秩)을 만들어 삼십육명에 이르는 비구와 일전 신도들의 시주를 받고 있다. 이어서 록화질에는 이 불화를 그릴 때 염불[송주(誦呪)]을 한 사명의 비구와 완성 후 이 불화를 증명한 삼명의 승려(증사)들의 이름을 열기하고 있는데, 이 록화질에는 주목되는 점은 이 불화를 그린 화사(畵師)들을 명기한 곳이다.
    화사를 보통 금어라고 하는데 금어로서 신암 등 십사명이 참가하고 있다.
     
    고려 불화와 달리 많은 화사들이 공동 제작하였다는 점이다. 향좌의 화기난을 보면 십오명 가량의 또다른 시주자들과 승려(僧侶)의 명단이 나열되고 맨 끝부분에는 '이 공덕(功德)이 누구에게나 두루 미쳐 모든 중생(衆生)이 다 함께 불도 (佛道)를 이루기를 기원합니다.'라고 끝맺음을 하고 있다."(홍윤직 "탱화 및 불상탱"『동산문화재자료보고서』1987. 3. 문화재관리국)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683_52.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683_64.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683_76.jpg
     

  7. 대한불교조계종 천은사 천은사 목조관세음 보살좌상 ,목조대세지보살좌상 보물 제 1889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천은사 목조관세음 보살좌상 ,목조대세지보살좌상 보물 제 1889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보물 제 1889호

    1614년 만력42 광해군6 현직 작 양협십루 총고 94㎝ 2016년2월22일 보물 제 1889호로 지정
    이 2구의 보살상은 수화사 현진을 비롯한 5명의 조각승들이 조성하였다.
    두 보살상은 꽃잎모양의 판을 겹쳐 만든 보관을 착용하고 있으며 갸름한얼굴형에 푸른 눈두덩과 넓은 콧방울 상큼한 미소를 가진 순박한 청년의모습을 담아 실재감이있다 무릎은 긴장감이 있는 탄력적인 주름을 사용하였다 이 두보살상은 현진의 초기경향을 볼수 있는 수작에 속하며 조선후기 불교미술사 연구에도 매우 중요하며 2016년 2월22일 보물 제 1889호로 지정되었다.


    목조관세음 보살좌상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530_3.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530_36.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530_41.jpg
     

    목조대세지보살좌상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561_79.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561_86.jpg 


    대세지 보살좌상발원문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586_47.jpg
     

  8. 대한불교조계종 천은사 천은사 삼장보살도 보물 제1888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천은사 삼장보살도 보물 제1888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377_16.jpg
     

    천은사 삼장보살도는 1776년에 천은사 대법당(극락전)에 봉안하기 위해 제작된 삼장보살도이다. 불화의 제작에는 수화승  신암화련(信庵華連)을 비롯하여 내숙(來淑), 덕잠(德箴), 민휘(敏徽), 태윤(泰閠), 육원(六圓), 환종(幻綜), 태화(泰華),  유운(有云), 성잠(性岑), 성활(性闊), 보잠(普岑), 행정(幸正), 성감(性鑑) 등 모두 14명의 화승이 참여하였다.  신암화련은 국보 제314호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를 그린 18세기 중후반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크게 활약한 화승이다. 이 불화는 수륙재의 중단의례용 불화로 제작된 것인데, 세로폭에 비해 가로 폭이 매우 넓은 중대형 불화이다. 화면의 중앙에는 천장보살과  협시 진주·대진주보살을 비롯한 권속을, 왼쪽에는 지지보살과 협시 용수·다라니보살을 비롯한 권속을, 그리고 오른쪽에는 지장보살과 협시 도명존자·무독귀왕을 비롯한 권속을 나란히 배치하였다. 각 주존 보살은 높은 수미단 위에 결가부좌하고 그 주위에 각각의  권속들이 주존을 둘러싸고 시립한 모습인데, 화면에 비하여 많은 권속들을 표현하였지만 비교적 여유 있는 화면구성을 보여준다. 조선  중기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삼장보살도는 16세기 이후 많은 수의 작품들이 남아 있는데, 천은사 삼장보살도는 각 보살의 아래 화기란에  화면에 도설된 권속들의 이름을 낱낱이 기록해 놓은 유일한 자료로서 삼장보살도의 도상 연구에 기준이 되고 있다. 화기의 명칭에  의해볼 때 권속들의 명칭은 수륙재 의궤집인 『천지명왕수륙재의범음산보집』(1739년) 등에 근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삼장보살도  도상연구에 기준이 되고 삼장보살도와 수륙재 의궤와의 관련성을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물로 지정, 보호할  가치가 있다.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392_3.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392_46.jpg
     

  9. 대한불교조계종 천은사 천은사 금동불감 보물 제1546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천은사 금동불감 보물 제1546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305_7.jpg
     

    구례 천은사 금동불감(求禮 泉隱寺 金銅佛龕)은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천은사에 있는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금동불감이다. 2008년 3월 1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546호로 지정되었다.

    금동불감의 높이는 43.3cm, 폭은 34.7cm이고, 아미타여래좌상의 높이는 13.4cm, 무릎폭은 7.4cm이다. 약사여래좌상의 높이는 13.7cm, 무릎폭은 7.6cm이다.

    전각형 불감으로 내부에는 두 구의 불상을 모시고 후벽과 좌우 벽에는 후불탱화의 역할을 하는 비로자나불·약사여래·아미타여래  삼불회도를 타출기법으로 표현하였고, 문 좌우에는 기운이 넘치는 근육질의 인왕상을 나타내었다. 이와같이 이 불감은 비로자나를  본존으로 하는 삼불을 봉안한 법당을 완벽하게 재현하고 있고, 각 벽면마다 고부조로 새겨진 후불도의 세부 표현 역시 매우 정교하고  화려하다. 특히 불감의 뒷면 좌측상부에는 선각으로 불감 조성에 참여한 제작자, 시주자 등이 새겨져 있어 주목된다.

    이 불감은 삼신불과 삼세불의 도상이 융합되어 도상적으로 매우 의미 있을 뿐만 아니라 여말 선초의 조각, 회화, 금속공예, 건축양식, 문양 등을 알려주는 매우 귀중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323_48.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323_38.jpg
     

  10. 대한불교조계종 천은사 천은사 괘불탱 보물 제1340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천은사 괘불탱 보물 제1340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09

    괘불은 기우제, 영산제, 예수제, 수륙제 등 사찰에 대중이 많이 모이는 큰 집회 때 야외에 모셔지는 거대한 불화이다. 평소에는 법당   뒷편의 괘불함에 보관되며, 사용시에는 옥외의 괘불대에 걸려진다. 이러한 괘불의 조성은 불교국가 일반에 보편한 것이   아니라, 우리 나라와 서역 등 몇몇 국가에서만 유행하였다. 지금까지 조사된 우리 나라의 괘불은 1600년대에서부터 1900년대에까지 약 300년에 걸쳐 제작된 70여점이 전해지고 있으며, 그중 절반 이상이 영남지역의 사찰에 소장되어 있다.

    괘불의 내용으로는 주로 석가모니불이 많은데, 1위, 3위, 또는 다위의 입불, 좌불 등이 있다. 그 형태는 석가모니불을   보신불로 하여 장엄 보살상으로 표현하는 것이 많으며, 영산회상도와 같은 그림도 있다.

    괘불의 도상적 특징은 괘불특유의 대형화된 형식상의 문제와 영산회상의 주존에 대한 표현에 있다. 일반불화에서 통용되는   의궤와는 달리 괘불 특유의 도상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전적으로 영산회상의 장엄한 종교적 분위기를 대형화하여 표현하였다고   풀이 할 수 있겠다. 오늘날 티벳의 괘불가운데 30여미터의 크기에 달하는 것도 있어 대형괘불의 기원은 아무래도 서역과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티벳에서는 탱화를 탕가(Thangka)라고 발음하고 있는데, 그 발음이 우리의 탱화와 유사하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불화를 한자로 ‘幀畵’라 표기하고 그대로 ‘정화’라 읽지 않고 ‘탱화’라 발음하는 것에서 그 영향을 짐작할 수 있다하겠다. 천은사 괘불은 비단채색으로 크기는 길이 894㎝, 폭 567㎝로, 거대한 화면에 꽉 차게 정면을 향하여 서있는 석가의 모습을 그렸다.

    1673년(조선 현종14년)에 그려진 영산회상도로 한폭의 화면에 권속을 대동하지 않고 석가모니불을 단독으로 등장시킨 가장 단순한 형식이다.폭 35㎝의 삼베 15조각을 이어 붙여서 크기는 894㎝ 폭567㎝로 거대한 화면정면에 석가모니를 배치했다

    마본채색 894.0x567.0㎝ 천은사 극락보전,성보문화재 보뭃 1340호

    畵記 ....證明 比丘 勝旭 畵員 敬心比丘, 志鑑比丘, 聖比丘 ....南原府 地異山 甘露寺, 大靈山敎主尊像日軸 時維   康熙十二年 癸丑 五月日 莊嚴己畢 求禮泉隱寺掛佛...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243_26.jpg
    e3aebd2393aa5e51aaf8a4b74605401f_1715205243_3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