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전체보기
  1. 대한불교조계종 석굴암 석굴암 팔부신중(八部神衆)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석굴암 팔부신중(八部神衆)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팔부중 또는 천룡팔부 등으로도 부르는 불법을 수호하는 신중들의 상으로, 전실의 좌우 벽에 각 각 4구씩 배치되어 있다. 전실 입구 오른쪽부터 가루다 · 건달바 · 천 · 마후라가 · 왼쪽은 아수라 · 긴나라 · 야차 · 용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루다상은 인도의 새벽 태양의 신이 불교에서 불법을 설하는 곳의 수호신으로 표현되는 신중상이다. 석굴암에서는 두터운 옷을 입고 신을 신고 있는 입상으로 표현되었다. 왼손에는 삼지창을 쥐고 있고, 두 귓가에는 날개 모양이 분명하게 표현되어 있다. 이들은 본실의 조각들보다 후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두 번째의 마후라가는 인도의 수호신 격이었던 것이 불교에서 팔부신중으로 자리매김 되었다. 왼손에는 검을 들고 있고, 오른손에는 군지를 들고 있다. 세 번째의 야차의 상은 인도에 데바 신으로 불교의 팔부신중상의 하나로 자리한다. 석굴암의 천 상은 두광은 화염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두손은 가슴께에서 수인을 결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옷주름이 두껍게 표현되어 있다. 네 번째 데바가 상은 뱀을 상징하는 신으로 땅속의 마귀를 진압하는 신중이다. 석굴암에서는 오른손으로 칼을 들고 있고, 왼손은 자연스레 구부려서 손바닥을 하늘로 향하고 있다. 좌측 제1상인 아수라 상은 인도의 악의 신이었으나 불법에 귀의하여 신중의 자리를 점하였다. 석굴암에서는 현재 머리와 발 부분의 부재는 결실된 형태로 남아있으나, 3면의 얼굴과 여섯 개의 팔의 특징은 잘 남아 있다. 옷주름은 가벼운 천을 두른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 좌측 두 번째 상인 긴나라 상은 본래 악사의 기능을 담당한 신이었다가 팔부신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군복을 입은 모습에 왼손에 삼차극 무기를 들고 있으며 머리를 기른 상으로 단정한 형태로 서 있다. 좌측 세 번째 건달바 상은 인도 신화에서는 악신이었으나 불교에서는 부처님의 수호신으로 위치한 신중이다. 석굴암에서는 머리 위에 사자를 두르고 있으며, 가슴께는 밧줄을 감고 있는 입상의 형태이다. 좌측 네 번째 나가 상은 본래 비와 바람의 신으로, 불교의 수호신으로 위치하고 있다. 석굴암에서는 머리에 용을 두르고 있으며 왼손에는 보주를 쥐고 있다.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82816_65.jpg
     

  2. 대한불교조계종 석굴암 석굴암 금강역사(金剛力士 )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석굴암 금강역사(金剛力士 )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석굴암 금강역사(金剛力士)는 석굴암 입구에서 주실로 들어가는 좌우에 자리잡고 있다. 금강역사의 역동적인 자태는 이름 그대로 힘이 넘쳐 흐른다. 옷 매무시나 문양에서 보여지는 정교함은 다른 석굴암 조각물과 비교했을 때 많은 차이점이 있다. 두드러지게 양각이 강조된 것은 전반적으로 압도감을 느끼게 한다. 상신과 하신의 구분된 의상은 근육을 더욱 강조하고 현실감을 느끼게 만든다. 조각물의 기법은 제작자의 의도와 일치한다. 석굴암 제작 당시의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작자의 예술적인 감각과 작품에 대한 열정과 노력은 높이 사야할 것이다.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82773_93.jpg
     

  3. 대한불교조계종 석굴암 석굴암 감실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석굴암 감실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석굴 주벽상의 위쪽에는 남북과 동으로 각각 5개의 반구형 감실이 배치돼 있다. 석굴과 잘 조화되어 그 아름다움을 더한 이 감실은 동시에 공간의 확대효과도 느끼게 해주고 있다. 대부분 보살상인 이 감불좌상은 본존불의 바로 전방과 그 후방인 십일면관음상의 상면만을 피하고 그 나머지 벽면에 배치되어 하늘과 땅과의 중간에서 이 석굴의 영광과 장엄을 찬미하고 환희하는 것 같다. 조각 또한 주위의 벽에 있는 다른 여러 상에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 우수한 작품이다.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82731_82.jpg
     

  4.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1교구 불국사 불국사 전각 배치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불국사 전각 배치도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77319_68.jpg
     


  5.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1교구 불국사 불국사 전각 관음전(觀音殿)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불국사 전각 관음전(觀音殿)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77143_36.jpg
     

    관음전은 조선 초기(1400년경) 건축양식으로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모신 법당이다. 관세음보살은 이승에서 고난받는 중생의 소리를 눈으로 보고, 그 고난으로부터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이다. 이와 같은 관음보살의 신앙은 대표적인 민간신앙의 하나다.

    원래 992년 전단향목(栴檀香木)으로 만든 관음보살상이 안치되어 있었으며, 1674년과 1701년 그리고 1796년에 각각 개금(改金)을 하였기에 이로써 임진왜란의 병화(兵火)에 관음전이 불에 탈 때도 관음상은 안전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언제 어떻게 없어졌는지 알 수 없다.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77164_99.jpg
    십일면관음보살상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77178_94.jpg
    관음전 연화문

  6.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1교구 불국사 불국사 전각 극락전(極樂殿)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불국사 전각 극락전(極樂殿)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77048_17.jpg
     

    아미타(阿彌陀)부처님을 모시는 법당. 이 법당은 김대성이 불국사를 중창한 750년경 6칸으로 건립되었으나 1593년 임진왜란 때 불에 타 버린 것을 1750년에 중창에 중창하고 1925년에 중수하였다. 건축양식은 조선 후기의 다포계이며, 정면 3칸, 측면 3칸의 이 건물은 안에 높은 기둥 네 개를 세웠고, 안쪽 두 기둥 사이에는 후불벽(後佛壁)을 세워 벽화(壁畵)를 그렸다. 본래의 벽화는 1514년에 중수한 기록이 있고, 지금의 후불벽화는 1973년 중건 때 조성한 것이다. 극락전에서 대웅전으로 올라가는 길에는 세 줄로 된 16단의 계단이 있으며, 이 48개의 계단은 아미타부처님의 48대원(大願)을 표현한다.

    극락전 앞 석등(長明燈)이 단아하면서도 매우 아름답다. 장명등은 부처님의 자비와 광명을 중생들에게 밝혀주는 등불이다. 대웅전 앞 석등과 그 모양이 똑 같아 동시에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아미타 부처님의 세계는 극락정토(極樂淨土)이므로 법당 이름을 극락전이라고 한다. 이 법당에 모셔져 있는 금동아미타여래좌상(金銅阿彌陀如來坐像)은 국보 제27호로 8세기 중엽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이다. 당시의 탁월한 주조(鑄造)기술을 보여주는 이 불상의 높이는 1m77cm로 본래는 광배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77066_56.jpg
    아미타여래좌상(국보 제27호)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77081_55.jpg
    극락전 복돼지(현판 뒤에 있음)

  7.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1교구 불국사 불국사 전각 나한전(羅漢殿)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불국사 전각 나한전(羅漢殿)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76972_13.jpg
     

    부처님의 제자상을 모신 곳으로 열여섯 분을 모셨으므로 16나한전 또는 16응진전(十六應眞殿)이라고도 한다.
    1593년 왜구의 침략으로 타 버린 뒤 1647년에 나한상을 조성하고 전각을 세웠으며, 1760년 중창 불사 때 현재의 곳으로 옮겼으며 1973년에 중수하였다.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76989_02.jpg
     

  8.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1교구 불국사 불국사 전각 무설전(無說殿)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불국사 전각 무설전(無說殿)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76858_73.jpg
     

    경론(經論)을 강술(講述)하는 강당, 말로써 경론을 강술하는 곳 임에도 무설(無說)이라고 한 것은 진리의 본질과 불교의 깊은 뜻이 언어라고하는 수단으로써는 도달 할 수없는 언어도단 (言語道斷)의 경지임을 표현한 것이다. 670 년 개창(開創)되자 중국에서 돌아온 의상(義湘) 대사가 최초로 강론을 하였다. 1593년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1648년과 1708년에 중건하여 1910년까지 보존되어 왔으나, 그 뒤 허물어 진 채 방치되었다가 1973년 불국사 복원 때, 유지(遺址)의 기단 위에 옛 크기대로 32 칸으로 지은 것이다 건물 양식은 맞배집으로서 조선에 속한다.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76875_76.jpg
    무설전 영산회상도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76890_3.jpg
    교각 지장보살상

  9.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1교구 불국사 불국사 전각 범영루(泛影樓)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불국사 전각 범영루(泛影樓)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76813_47.jpg
     

    범영루는 750 년경 김대성이 불국사를 중창할 때 건립하였고 1593년 임진왜란으로 불에 탄 것을 1612 년과 1688 년에 각각 중건하였으며, 현재의 건물은 1973 년 불국사 복원 때 정면 1 칸, 측면 2 칸, 3 층의 옛모습 그대로 중건한 것이다.

    범영루에 지금은 법고(法鼓)가 매달려 있으나 원래는 범종각(梵鐘閣)으로써 범영루는 범종각의 이름이다. 누각의 모양을 하였으므로 루(樓)라 하였고 범영(泛影)은 범종의 소리를 그림자에 비유하여 범종의 소리가 온 누리에 번져서 넘치는 것을 형용한 말이다.

    최초의 이름은 수미범종각(須彌梵鐘閣)이라고 한다. 이는 수미산(須彌山) 모양의 팔각(八角)정상에 108 명이 앉을 수 있도록 누를 짓고 아래는 오장간(五丈竿)을 세울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수미산은 세계의 중심에 위치하고 그 정상은 욕계(欲界)33 천의 위이다. 108 이라는 숫자는 인간의 번뇌를 통틀어서 하는 말이다. 그러므로 수미범종각이라는 이름은 소리가 33 천의 온 세상에 울려 퍼져 인간의 모든 번뇌를 씻어 없애주는 것을 뜻한다.

  10. 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 제11교구 불국사 불국사 전각 범종각(梵鐘閣)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불국사 전각 범종각(梵鐘閣)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4-29

    bea326d1e515bf680a117ee4363dcbfa_1714376777_23.jpg
     

    범종은 법구사물(法具四物) 중의 하나로 중생들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는 도구이며, 시간을 알리거나 공양과 예배를 알리는 기구이다.
    이 범종의 천판(天板)에는 한 마리의 용으로 뉴(鈕)를 두고 그 옆에 음통(音筒)이 마련되어 있으며 종신(鐘身) 상부에는 두 점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돌린 상대(上帶)를 돌려는데, 그 두 점선 사이 칸 안에 연당초문을 돋을무늬로 채우고 그 아래 상대와 같은 대(帶)로 사방위에 네 개의 정방형의 연곽(蓮廓)을 마련하고 각각 그 안에 9 개의 꽃잎 가운데 유두(乳頭)모양의 꼭지 둔 연뢰(蓮蕾)를 두었다. 또한 종신 허리 부분에는 비천인상 4 개를 유곽과 일직선을 이루는 곳에 돋을 문양으로 배치하였고 그 사이 두 곳에 연꽃문양의 당좌(撞座)를 표현하였으며, 종구(鐘口)에는 상대(上帶)처럼 하대(下帶)를두었는데 문양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전체적인 형태는 국보 제29호로 지정된 771 년에 만든 "성덕대왕신종" 일명 '에밀레종'(높이 333.cm)을 모방해서 만든 근세의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