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전체보기
  1. 대한불교조계종 봉정사 봉정사 고금당(보물 제449호)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00507_66.jpg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1
    봉정사 고금당(보물 제449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1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00507_66.jpg
     

    보물 제449호
    지정일 : 2009년 6월 30일
    시대 : 조선시대 초기

    보물 제449호로 지정되어 있는 고금당은 극락전 앞 서쪽에 세워져 있다. 이 건물은 동쪽에 있는 화엄강당과 같은 시기에 같은 목수에 의하여 건축되어 조선시대 중기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화엄강당과는 달리 기둥과 기둥의 간격이 좁고 기둥의 키가 높은 구조를 하고 있어서 대조를 이루고 있다.


    자연적으로 쌓은 축대 위에 장대석으로 낮은 기단을 만들고 주춧돌을 놓았다. 평면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이다. 공포는 익공에 가까운 주심포계이며 가구는 고주가 없는 7량가이다. 정면 3칸에는 칸마다 2짝으로 된 띠살문을 달았다. 어간 문의 크기는 중앙으로 출입하게 되어 있어 좌우의 띠살문보다 높이가 조금 더 크다. 측면과 뒷면은 모두 벽으로 막았고 뒷면의 좌우 협칸에 외문의 띠살문을 달았다.


    공포의 구성은 기둥 위에만 포작을 짜올린 주심포계 구조를 택하고 있으며 주두 밑에 헛첨차를 끼우고 그 위에 주두 위에서 나온 살미첨차를 포개 놓았다. 이 위에 도리 방향으로 일출목의 행공첨차를 얹어 외목도리를 받치고 있는 관계로 익공계로 이해되기도 한다. 측면의 가구는 벽 중앙에 귀기둥보다 약간 긴 원형의 고주를 놓아 대들보를 받치고, 대들보 위에 짧은 동자기둥을 세워 종보를 받쳤으며, 이 위에 다시 짧은 기둥을 세워서 마루도리를 떠받치고 있다. 도리와 장여를 길게 밖으로 빼내어서 측면 지붕에 깊이감을 주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화엄강당에는 대들보와 마루보 사이에 조그만 살창을 두고 있지만 고금당에는 없다.


    이것은 화엄강당이 판고 등으로 쓰이던 건물이어서 측벽에 살대를 꽃은 통풍창이 있는데 반하여 고금당은 선원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살창이 필요하지 않은 것이다. 좌측면에는 아궁이를 내어 난방을 할 수 있도록 꾸몄다. 내부는 3칸 통으로 공간 활용을 넓게 하였다.

  2. 대한불교조계종 봉정사 봉정사 3층석탑(경북유형문화재 제182호)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00450_04.jpg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1
    봉정사 3층석탑(경북유형문화재 제182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1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00450_04.jpg
     

    시도유형문화재 182호
    지정일 : 1984년12월 29일
    시대 : 고려시대

    극락전의 정면에 있는 고려시대 중엽에 조성된 탑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중 기단의 방형 석탑으로서 기단부에 비해 탑신부의 폭이 좁으며 각층 높이의 체감이 적당한 반면 폭이 좁아 처마의 반전이 약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약간 둔한 느낌을 준다. 상륜부는 노반 복발 앙화 부분은 있고 나머지는 없어졌다.

    탑의 총 높이는 318cm이다. 2층 기단(基壇)을 쌓아 탑의 토대를 마련하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과 머리장식을 얹은 일반적인 모습이다. 아래·위층 기단의 각 면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새겼다. 기단에 비해 폭이 좁아진 탑신부는 각 층의 몸돌 크기가 위로 갈수록 적당하게 줄어들면서도, 폭의 변화는 적다. 지붕돌도 높이에 비해 폭이 좁고 두툼하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의 일부만 남아있다.

  3. 대한불교조계종 봉정사 봉정사 화엄강당(보물 제448호)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00403_91.jpg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1
    봉정사 화엄강당(보물 제448호)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1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100403_91.jpg
     

    보물 제448호
    지정일 : 1967년 06월 23일
    시대 : 조선시대 중기

    이 건물은 스님들이 교학을 공부하는 장소인 봉정사의 화엄강당으로 온돌방 구조를 갖추고 있다. 극락전과 대웅전이 17세기에 중수되었는데 스님들의 강학공간인 화엄강당도 함께 중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건물 내부는 남쪽 2칸이 부엌, 북쪽 4칸이 온돌방으로 되어있으나 원래는 정면 4칸, 측면 4칸으로 현재의 온돌방 뒤쪽으로 4칸의 마루가 깔려 있으며 부엌이 지금보다 넓게 자리잡고 있었다. 평면 구성이 언제 오늘날처럼 바뀌었는지는 정확하게 알기 어려우며 1930년대 이후로만 짐작될 뿐이다.


    대웅전 앞 경내에 들어서면 왼쪽에 화엄강당이 동향으로 세워졌으며 그 후면은 극락전의 앞쪽이 된다. 장대석 댓돌 위에 두꺼운 널판을 쪽마루와 같이 깔았는데 사분합의 띠살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서면 중앙칸과 북쪽칸은 하나로 통해서 넓은 온돌방이다. 나머지 남쪽칸은 부엌으로 만들었으나 그 박공쪽 벽을 헐어서 내부를 확장하였으므로 건물 원래의 모습이 약간 상하게 되었다.


    강당으로 사용한 건물이므로 대웅전 등의 불당에 비교하여 매우 낮은 기둥을 사용하였는데 그 대신 공포의 치수를 보통 이상으로 크게 잡아 건물의 균형을 어색하게 만들었다. 측면에는 중앙에 네모기둥 1개를 세워서 대들보를 받치도록 하였으며 이 대량과 그 위의 동량과의 사이에는 살창을 하나 만들었다. 정량위의 마루대공 좌우에는 소슬창이 보인다. 박공머리에 나와있는 도리 밑을 받친 첨차들은 그 전부가 다포집 계통의 첨차들이다.

  4. 대한불교조계종 봉정사 봉정사 연혁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1
    봉정사 연혁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1

    영가지에 따르면 '북서쪽 30리에 있는 천등산 아래에 있다. 신라시대에 이름난 절이 되었다. 가정 병인년(1566년) 봄에 퇴계 선생께서 절의 동쪽 낙수대 건물에 붙인 시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在府西三十里天燈山下羅代爲名刹前有落水-------]

    대한 불교 조계종 제 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 중 하나인 봉정사의 최초 창건은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의 창건이라는 기록과 능인대덕의 창건이라는 기록이 있으나 대체로 능인대덕의 창건으로 보고 있다.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능인대덕이 수도를 한 후 도력으로 종이 봉을 만들어 날렸는데,이 종이 봉이 앉은 곳에 절을 짓고 봉정사라 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창건 이후의 뚜렷한 역사는 전하지 않으나 참선도량 (參禪道場)으로 이름을 떨쳤을 때에는 부속 암자가 9개나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6.25 전쟁 때는 인민군이 머무르면서 사찰에 있던 경전과 사지(寺誌)등을 모두 불태워 역사를 자세히 알 수 없다. 봉정사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을 지닌 곳으로 유명하지만 정작 봉정사의 역사에 대하여 알려주는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창건에 관한 사실도 전설에 상당한 부분을 의존하고 있고 그 이후의 역사적 사실도 몇 차례 중수한 것을 제외하면 알 수 있는 사실은 전무한 편이다. 고려 공민왕 12년(1363)에 극락전의 옥개부를 중수했다는 기록이 1972년에 실시된 극락전의 완전한 해체 복원 시에 상량문에서 발견되어 지금까지 한국에서 최고 오래된 목조 건물이 봉정사 극락전 (국보15호)으로 인정 받게 되었고 극락전의 건립 연대는 적어도 12세기 이전으로 추정된다.

    2000년,2월 대웅전 지붕보수공사 과정에서 사찰 창건 연대를 확인해주는 상량문과 대웅전 내 목조 불단에서 고려말에 제작했다는 묵서가 발견되었다. 대웅전 지붕의 종도리를 받치고 있는 북서쪽 종보 보아지에서 발견된 [宣德十年乙卯八月初一日書](중국연호인 선덕 10년 <1435년, 조선조 세종 17년>에 쓴 글) 라고 적힌 상량문은 경상도 관찰출척사가 직접 썼고 자사 新羅代五百之余年至 乙卯年分法堂重倉(신라대 창건 이후 500여년에 이르러 법당을 중창하다)이라는 사찰 건축연대를 밝혀주는 내용과 당시 봉정사의 사찰 규모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있어 대웅전이 500여년 전에도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대웅전 내 불단 바닥 우측에서 [辛丑支正二十一年 鳳亭寺 啄子造成 上壇有覺澄 化主戒珠 朴宰巨] (지정 21년 <1361년,공민왕 10년>에 탁자를 제작,시주하다.시주자 박재거)라고 적힌 묵서명도 처음 확인되었다 한편 새로 발견된 상량문에는 신축, 단청을 한 시기, 임금으로부터 하사받은 토지, 사찰규모 등을 알려주는 내용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어 조선초 당시 봉정사는 팔만 대장경을 보유하고 500여결(1만여평)의 논밭에다 안거스님 100여명에 75칸의 대찰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5. 대한불교조계종 봉정사 봉정사 창건설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1
    봉정사 창건설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1

    천등산은 옛적에는 대망산이라 불렀다. 절 뒷산에는 거무스름한 바위가 산정을 누르고 앉아 있는데 그 바위 밑에 천등굴이라 부르는 굴이 있다. 능인대사가 아직 소년이었을 때 불문에 들어와 대망산 바위굴에서 계절이 지나는 것도 잊고 하루에 한끼 생식을 하며 도를 닦고 있었다. 살을 에는 듯한 추위가 휘몰아치는 겨울에도 찌는 듯한 더위의 여름에도 나무아미타불을 염(念)하며, 마음과 몸을 나른하게 풀어지게 하고 괴괴한 산속의 무서움과 고독같은 것은 아랑곳 없었다. 이렇게 십년을 줄곧 도를 닦기에 여념이 없던 어느날 밤 홀연히 아리따운 한 여인이 앞에 나타나

    "여보세요. 낭군님"

    옥을 굴리는 듯 낭낭한 목소리로 그를 불렀다. 미처 능인이 고개를 들기도 전에 보드라운 손길이 능인의 손을 살며시 잡지 않는가! 눈을 들어 보니 과연 아름다운 여인이었다. 고운 살결에 반듯하나 이마와 까만 눈동자 오똑한 콧날, 거기에는 지혜와 정열이 샘솟는 것 같아 진정 젊은 능인의 마음을 사로잡을 만 했다.
    여인은

    "낭군님"

    다시 한번 맑은 목소리로 능인을 불렀다.

    "소녀는 낭군님의 지고하신 덕을 사모하여 이렇게 찾아왔습니다. 낭군님과 함께 살아간다면 여한이 없을 것 같사옵니다. 부디 낭군님을 모시게 하여 주옵소서."

    여인의 음성은 간절하여 가슴을 흔드는 이상한 힘이 있었다. 그러나 능인은 십년을 애써 쌓아온 수련을 한 여인의 간청으로 허물 수 없었다. 능인은 준엄하게 여인을 꾸짖었다.

    "나는 안일을 원하지 아니하며 오직 대자대비 하신 부처님의 공적을 사모할 뿐 세속의 어떤 기쁨도 바라지 않는다. 썩 물러나 네 집으로 가거라!"

    능인의 꾸중에 산도 크게 울리는 듯 했다. 그러나 여인은 계속 유혹을 하며 쉽게 돌아가지 않았다. 능인은 끝내 거절하였으며 오히려 여인에게 깨달음을 주어 돌아가게 했다. 여인이 돌아서자 구름이 몰려드는가 싶더니 여인이 사뿐이 하늘로 오르며

    "대사는 참으로 훌륭하십니다. 나는 천상 옥황상제의 명으로 당신의 뜻을 시험코자 하였습니다. 이제 그 깊은 뜻을 알게 되었사오니 부디 훌륭한 인재가 되기를 비옵니다."

    여인이 하늘로 사라지자 그곳에는 산뜻한 기운이 내려와 굴 주변을 환히 비추었다. 그때 하늘에서 여인의 목소리가 또 울려왔다.

    "대사, 아직도 수도를 많이 해야 할텐데 굴이 너무 어둡습니다. 옥황상제께서 하늘의 등불을 보내드리오니 부디 그 불빛으로 더욱 깊은 도를 닦으시기 바라나이다."

    그러자 바로 그 바위 위에 커다란 등이 달려 어둠을 쫓고 대낮같이 굴안을 밝혀주고 있었다. 능인은 그 환한 빛의 도움을 받아 더욱 열심히 수련을 하여 드디어 득도하여 위대한 스님이 되었다. 하늘에서 내려온 등의 덕택으로 수도하였다하여 그 굴은 '천등굴' 대망산을 '천등산'이라 이름지어 불렀다고 한다.

  6. 봉정사 템플스테이 봉정사 템플스테이 시설 안내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1
    봉정사 템플스테이 시설 안내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1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097879_5.png
    a406cf7ed700f362f8bb3dbdd23b81fe_1717097879_78.png
     


  7. 도리사 템플스테이 도리사 템플스테이 시설 안내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1
    도리사 템플스테이 시설 안내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1
    895e0856b1a8d2df22085840c82df22c_1717090541_3.png
    895e0856b1a8d2df22085840c82df22c_1717090541_62.png
     


  8. 대한불교조계종 대승사 묘적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0
    묘적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0
    0591c9e669bd6676056d6f13111c9a75_1717053204_83.jpg
    0591c9e669bd6676056d6f13111c9a75_1717053208_76.jpg
    0591c9e669bd6676056d6f13111c9a75_1717053215_52.jpg
    0591c9e669bd6676056d6f13111c9a75_1717053221_01.jpg
     


  9. 대한불교조계종 대승사 윤필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0
    윤필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0
    0591c9e669bd6676056d6f13111c9a75_1717053456_65.jpg 
    사불암에서 본 윤필암 전경

    0591c9e669bd6676056d6f13111c9a75_1717053160_59.jpg
    0591c9e669bd6676056d6f13111c9a75_1717053165_31.jpg
     


  10. 대한불교조계종 대승사 총지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0
    총지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30
    0591c9e669bd6676056d6f13111c9a75_1717053367_1.jpg
     
    0591c9e669bd6676056d6f13111c9a75_1717053109_03.jpg
    0591c9e669bd6676056d6f13111c9a75_1717053117_0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