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본문 바로가기
싸이룩스 불교 :: CYLOOKS BUDDHISM
카테고리 Hot
전체보기
  1. 대한불교조계종 청평사 청평사 청평식암(淸平息庵)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청평사 청평식암(淸平息庵)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6a9a189c84e948057024b653d1cc85ee_1716612855_6.jpg
     

    척번대를 지나 계곡을 오르면 식암 터이자 최근 해체한 적멸보궁 터가 있고 뒤편의 암벽에 새겨져 있다.

    청평선동과 함께 이자현이 썼다고 전한다.

  2. 대한불교조계종 청평사 청평사 식암폭포(息庵瀑布)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청평사 식암폭포(息庵瀑布)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6a9a189c84e948057024b653d1cc85ee_1716612788_23.jpg
     

    전체 높이 10m정도의 2단 폭포로 위, 아래쪽 폭포 위에 암자 터가 있다.

    위쪽 폭포 위 암자 터의 긴 바위에는 ‘강희사십오년병술이월일 / 행부사심중수 / 석수이강금(康熙四十五年丙戌二月日 / 行府使沈重 修 / 石手李康金)’이라는 암각문이 새겨져있는데 이는 1706년 2월에 이곳의 건물지를 부사 심씨가 중수하고 이강금이 새겼다는 것으로 진락공 이자현 부도와도 관계가 있다.


    또한 이자현이 손과 발우(鉢 盂)를 씻었다는 진락공 세수터가 있다.

  3. 대한불교조계종 청평사 청평사 진락공 세수터(眞樂公 洗手址)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청평사 진락공 세수터(眞樂公 洗手址)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6a9a189c84e948057024b653d1cc85ee_1716612713_47.jpg
     

    진락공 이자현은 이 주변에 작은 암자를 짓고 조용히 수양을 하는 등 참선공부를 하였다고 전해진다.

    이 터는 이자현이 손과 발우(鉢盂)를 씻기 위하여 네모로 두 개의 구멍을 파놓아 만들었다고 한다. 주변 에는 과거 나한전의 터가 있었으며 주변에 진락공 이자현의 유골을 담은 질그릇 함이 조선 후기까지 있었다고 전해진다. 진락공 이자현 부도와 연관이 있는 곳이다.


  4. 대한불교조계종 청평사 청평사 세향원(細香院)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청평사 세향원(細香院)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6a9a189c84e948057024b653d1cc85ee_1716612630_36.jpg
     

    영지의 서남쪽에 건립된 건물로 설잠 김시습이 머물렀던 건물로 서향원(瑞香院)으로도 불리운다.

    조선시대 유산기(遊山記)에는 현재의 세향원이 건립된 곳이 아니라 이 건물에서 뒤편 계곡 100m 지점에 있는 곳으로 복희암(福禧庵) 터라고 전하는 곳이라고 한다. 김시습의 매월당집(梅月堂集)에 ‘청평산 세향원(細香院) 남쪽 창문에서 쓰다’ 라는 한시도 기록되어 있다. 현재는 청평사 방문객을 위한 휴식공간 으로 활용되고 있다.

  5. 대한불교조계종 청평사 청평사 환적당 설화당 부도(幻寂堂ㆍ雪花堂 浮屠)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청평사 환적당 설화당 부도(幻寂堂ㆍ雪花堂 浮屠)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6a9a189c84e948057024b653d1cc85ee_1716612557_69.jpg
     

    동쪽의 부도가 환적당 부도로 환적당 의천은 서산대사의 손제자이며 1690년에 해인사 백련암에서 입적한 조선 후기 승려로 평생 전국을 돌아다니며 수행한 스님이다.

    전국 9곳에 사리를 봉안한 부도를 건 립하였는데 이중에 하나가 청평사에 세워진 부도이다. 부도의 기단부 중간 팔각형 부재의 뒷면에 환적당(幻寂堂)이라고 새겨 놓아 부도의 주인공을 알 수 있다. 전체높이는 약 2.4m이다. 서쪽의 부도와 매 우 비슷한데 지붕이 부른 형태이고 부도 중간의 둥근형태의 탑신석이 타원형으로 만든 세부적인 면이 다를 뿐이다.


    서쪽의 설화당 부도는 어느 시대의 누구의 부도인지 알려진 것이 없으나 문양이 섬세하 고 지붕이나 상륜부의 장식 등으로 보아 환적당 부도보다 오래된 조선 중기 이전에 세워진 부도라 추측된다.

  6. 대한불교조계종 청평사 청평사 각산당 석진부도(覺山堂 石眞浮屠)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청평사 각산당 석진부도(覺山堂 石眞浮屠)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6a9a189c84e948057024b653d1cc85ee_1716612472_25.jpg
     

    1990년대 초에 대웅전을 중창한 주지 석진 스님의 부도로 휘는 석진이며 법호는 각산이다.

    서기 1946년 11월 9일 충남 당진국 우강면 고리에서 출생, 15세 마곡사에 출가, 22세 팔공산 동화사에서 서운 대선사의 법제자가 되었다. 백양사와 마곡사 총무국장, 관악산 삼성암과 약수산 약수사 주지를 거쳐 청평사 주지를 역임하였다.


    1990년 5월 13일 향년 46세(법남 30)로 청평사에 입적하셨다. 부도의 양 식은 신라말~고려초에 유행하는 팔각원당형의 부도 양식을 복합적으로 도입하여 건립하였다.

  7. 대한불교조계종 청평사 청평사 헌답비(獻納碑)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청평사 헌답비(獻納碑)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6a9a189c84e948057024b653d1cc85ee_1716611383_06.jpg
     

    앞면에는 권흥식과 부인 박정명, 아들 기준과 병기가 기록되었는데 이들은 청평사에 토지를 기증한 가족의 이름이 있고 뒷면은 1923년 음력 4월 2일에 청평사 주지 황계월이 세웠다고 하였다.

    청평사에 토지를 헌납하게 된 동기를 알 수 있는 내용이 있는데 비를 세우게 된 동기를 시주자 이름 뒤에 부기한 군자(君子)·만녀(萬年)·개이(介爾)·경복(景福)에서 볼 수 있다. 이는 「시경(詩經)」의 「대아(大雅)」편 기 취(旣醉)에 “기취이주(旣醉以酒) 기포이덕(旣飽以德) 군자만년(君子萬年) 개이경복(介爾景福)”이란 구절을 인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부르니, 군자 만년토록 크나큰 복 누리소서’라는 뜻으로 사찰에 토지를 헌납한 일로 인하여 그 가족의 복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삽입한 것으로 보인다. 청평사지에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이 「청평사토지헌납기(淸平寺土地獻納記)」라는 기문 으로 수록되어 있다.

  8. 대한불교조계종 청평사 청평사 기우단 터(祈雨壇 터)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청평사 기우단 터(祈雨壇 터)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6a9a189c84e948057024b653d1cc85ee_1716611304_87.jpg
     

    계곡 건너에 있었으며 하늘에 비가 오게 해달라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조선시대 서종화의 문집인 『약헌유고藥軒遺稿)』의 「청평산기(淸平山記)」에 ‘기우제를 지내면 종종 감응이 있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청평사에서 기우제를 정성스럽게 지냈음을 알 수 있다.

  9. 대한불교조계종 청평사 청평사 오층석탑(五層石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청평사 오층석탑(五層石塔)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6a9a189c84e948057024b653d1cc85ee_1716611230_09.jpg
     

    1979년경에 주지 향봉스님이 스리랑카에서 부처님 진신사리를 옮겨와 아래의 식암 터에 적멸보궁(현재 해체)과 함께 이 탑을 세우고 사리를 봉안하였다.

    고려시대 석탑의 양식을 모방하여 건립하였다.

  10. 대한불교조계종 청평사 청평사 소요대(逍遙臺)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청평사 소요대(逍遙臺)
    작성자
    두레박
    작성일
    2024-05-25

    6a9a189c84e948057024b653d1cc85ee_1716611148_8.jpg
     

    여기선 소양호와 청평사 일대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어 등산객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조선시대 서종화의 「청평산기(淸平山記)」 에서는 ‘산기슭의 머리 부분이 잘라져 돌이 드러나면서 대가 된 것인 데, 그 위에 너 댓 사람이 앉을 만하다. 험한 골짜기에 임하여 있는데 수천 길이나 된다. 이곳에서 남쪽을 바라보면 층층이 쌓여 있는 봉우리가 주위를 빙 둘러싸고 있다. 뛰어올라 솟아나온 듯한 대단한 산 의 기세를 모두 보여주는데, 기이한 형태와 자태를 모두 다 기술할 수 없다. 산의 푸르른 기운은 아래로 퍼지고 상쾌한 기운은 옷소매를 가득 채우는데, 마침 늙은 중 천호(天浩)가 따라왔다. 그와 반나절 동 안 얘기를 나누었는데, 이야기가 맑고 깨끗하여 들을 만 한 것이 마치 신선인 홍애(洪厓)와 선문(羨門)과 함께 세상 끝 아득히 먼 곳에서 같이 있는 듯하다.’라고 표현하였다. 청평사를 중창한 보우대사의 『허응당집(虛應堂集)』에는 아래와 같은 시를 남겼다고 전해진다.

    [淸平八詠 逍遙遣寂 청평팔영 소요견적 : 소요대에서 적적함을 달래다]
    春深花織地 춘심화직지봄 깊어지자 꽃이 땅을 수놓고
    臺訪佛峯腰 대방불봉요불봉 허리에 대를 찾으니
    空碧浮雲卷 공격부운권하늘은 파랗게 뜬구름 걷히고
    山晴宿霧消 산청숙무소산 개어 자던 안개 사라지네
    九天遙底處 구천요저처구천 저 먼 곳
    三島杳難招 삼이묘난초삼도 아득해 찾아가기 어려워라
    一遺枯禪寂 일유고선적한 번 오래된 선적(禪寂) 처에 남으니
    悠悠興自饒 유유흥자요유유한 흥취 저절로 넘쳐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