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불교조계종 삼천사 삼천사 5층 석탑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삼천사 5층 석탑-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삼천사 경내 일주문을 들어서기 전 초입에 위치한 5층 석탑은 무진년 4월, 평산 성운 화상이 미얀마를 성지순례할 때 마하시사사나 사원에서 아판디타 대승정(大僧正)으로부터 전수받은 나한사리를 봉안하였다.
불교에서는 탑이 중요한 신앙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그것은 탑 안에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봉안한다는 점 때문이다. 탑은 인도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래는 반구형(半球形)의 분묘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대표적인 탑은 아쇼카왕 때 세워진 산치의 거대한 불탑을 들 수 있다.
-
대한불교조계종 삼천사 삼천사 평화대범종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삼천사 평화대범종-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백두영악(白頭靈岳)의 정기(精氣)가 모여 백운(白雲), 인수(仁壽), 만경(萬景)으로 치솟는 해동(海東)의 영산(靈山) 삼각산 영지(嶺地)에 자리한 삼천사는 당초 원효 대사가 개산(開山)하고 고려 시대에는 삼천 대중이 수도하던 큰 사찰로서 조선대 임란(壬亂)으로 소실되었으나 수십 년 동안 부단한 원력(願力)과 단월(檀越)들의 신심(信心), 불타의 가피로 오늘의 대가람을 중창 복원하였다.
이렇듯 중흥불사를 일차 마무리하면서, 평화와 번영이 온누리에 가득한 불국토(福祉佛國土)를 염원하는 평화의 대종을 조성(造成)하고자 발원(發源)하였고, 마침내 2년이 넘는 긴 시간 끝에 3,693명의 간절한 발원이 2005년 7월 보름, 삼각산하에 울려 퍼졌다.
범종의 신앙적인 의미는 종소리를 듣는 순간만이라도 번뇌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믿는 데 있다. 대종, 경종이라고도 하며 절에서 시각을 알리거나 대중을 모을 때 또는 불교의식, 행사 시에 치는 큰 종으로 우주의 모든 중생을 교화하고 제도하기 위하여 이 종을 치는 것이며, 이 종소리를 듣고 법문을 듣는 자는 오래도록 이어온 생사의 고해를 넘어 불과를 이룰 수 있다고 한다. 평상시 사찰에서는 아침 예불에는 28번을 치고 저녁 예불에는 33번을 친다.
願此鐘聲遍法界 鐵圍出暗悉皆明 三途離苦破刀山 一切衆生成正覺
원컨대 이 종소리 법계에 두루 퍼져 철위산의 그 어둠에서 벗어나 모두 다 밝아지소서. 삼악도의 고통을 여의고 도산지옥을 허물어 모든 중생이 올바른 깨달음을 이루어지이다.
-
대한불교조계종 삼천사 삼천사 연수원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삼천사 연수원-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연수원은 삼천사의 초창기 대웅전이었다. 1960년대 부처님을 모시고 염불, 기도, 참선, 포교, 수행하는 염불당이었다. 그 후 평산 성운 화상이 부임하여 중창발원을 세워 지금의 대웅보전 자리로 부처님을 봉안하였다.
연수원은 각종 시험을 준비하는 신도들의 자녀들에게 학업성취의 꿈을 이룰 수 있는 수련장소로행정고시, 사법고시, 진급시험 등에서 50여 명의 합격생을 배출한 길상지로 자리매김해 왔다.
최근 불교전통문화 탐방과 포교의 일환으로 부각되는 템플스테이를 실시할 계획으로 2005년내부 및 주변 환경을 새롭게 단장하였다.
도심생활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산사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존 사찰의 전통적인 분위기는그대로 유지하면서 인터넷 등 수련에 필요한 전자시설을 도입하여 30여 명의 인원이 수련할 수 있는염불장으로, 시민선방의 공간으로 가꾸었다.
-
대한불교조계종 삼천사 삼천사 부처님 글사랑 사찰도서관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삼천사 부처님 글사랑 사찰도서관-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삼각산 푸르른 숲에 위치한 ‘부처님 글사랑 사찰도서관’은 산사의 향기가 가득한 곳에서 마음의 양식을 쌓는 공간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삼천사는 부처님 글 읽기를 통해 부처님의 가르침을 불자들에게 전파하고 불서에 대한 관심 고취와 불자로서의 지혜를 증강시키고자 사찰도서관을 운영하게 되었으며 사찰도서관 모범 운영 사례로 평가되어 제15호 부처님 글사랑 사찰도서관으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대한불교조계종, 삼천사, 불교출판문화협회 및 은평구 공공 도서관의 수증도서로 운영되는 사찰도서관은 다종교사회에서 종교의 벽을 넘어 서로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곳으로 불서뿐 아니라 천주교와 개신교 등 이웃종교 서적들까지 갖추어 누구나 쉬어갈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도서관 이용 안내
운영시간 : 평일·주말 09:00~18:00
장서량 : 1,350권
위치 : 대한불교조계종 삼천사 내 탐방객 쉼터
-
대한불교조계종 삼천사 삼천사 건물지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삼천사 건물지-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계곡에서 올라오는 계단부가 심하게 붕괴되어 있으나 다행히 여타 구조물들은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다. 중심 건물지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로 추정되며, 정면의 주초간 거리는 270cm이다. 4개의 주초 중 3개가 남아 있고 나머지 1개는 교란되어 있는 상태이다. 건물지 안쪽에 화강암 장대석으로 만든 불단이 있는데 잔존부의 크기는 가로 190cm x 세로 170cm이다. 건물지 하부에 온돌시설의 일부인 고래가 지나가는데 화강암할석과 기와편을 사용했고 점토를 활용하여 마감하였다. 출토유물로는 유구 전역에 걸쳐 분청사기 인화문편과 도기편 등이 수습되었으며, 기와류로는 청해파문과 복합어골계의 와편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
대한불교조계종 삼천사 삼천사 대지국사탑비 귀부 및 이수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삼천사 대지국사탑비 귀부 및 이수-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귀부의 크기는 높이 137.5cm, 넓이 240cm, 길이 270cm이며, 이수의 크기는 가로 185cm, 세로 55cm, 폭 80cm이다. 귀부는 용의 머리와 흡사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배면(背面)에 육각형의 귀갑문이 베풀어져 있는데 그 안에 ‘王’자가 새겨져 있다. 발부분은 ‘L’자형으로 처리하여 비늘문을 장식했고, 귀갑대를 주름문으로 표현하여 돌리고 연주문을 장식한 점은 고려 전기 법상종 사찰인 현화사비, 원주 법천사지,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금산사 혜덕왕사비 귀부의 양식과 유사하다. 이수는 귀부 정면에 놓여 있는데, 여의주를 희롱하고 있는 두 마리 용을 운문과 더불어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는데 앞뒷면에 각각 두 마리씩 배치하여 대칭적인 모양을 보여주고 있으며, 측면에도 운룡문이 베풀어져 있다.
-
대한불교조계종 삼천사 삼천사 대지국사명문비편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삼천사 대지국사명문비편-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조선초기 편찬된 <고려사>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법상종파 승려인 대지국사 법경의 비문으로 추정되며, 비문의 파편 255점이 발굴되었다. 비문의 내용은 단절된 구절이 대부분이라 비문 전체 판독에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르지만 비문의 찬자 바로 뒤에 등장하는 최홍검이라는 인물이 비문을 직접 새긴 것으로 추정된다. 유가백축문(법상종의 중심 경전인 <유가사지론> 100권)과 대지국사 법경의 출신지와 나이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
대한불교조계종 삼천사 삼천사 청동사리함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삼천사 청동사리함-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지름 8.9cm, 높이 8.3cm인 청동 사리함은 북쪽기단하부에서 출토되었다. 뚜껑의 윗면에 2조의 원형 음각선을 2.1cm 간격으로 2줄 장식하였고, 뚜껑과 몸통 옆면에도 약 0.1cm 정도의 촘촘한 간격으로 음각장식이 되어있다. 원형의 몸통 앞면에는 섬유와 종이가 일부 겹쳐진 채로 남아있다. 바닥면에도 2조의 음각선을 1.7cm 간격으로 2줄 장식하였다. 사리함의 양식 및 연대로 보아 대지국사 법경과 연관되는 유물로 추정된다.
-
대한불교조계종 삼천사 삼천사 은제투각칠보문장식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삼천사 은제투각칠보문장식-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구슬 3개와 청동 제16화형의 고리 1개, 3개의 은제사다리꼴 장식편으로 구성되어있다. 구슬의 표면에서 금박의 흔적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원형을 은으로 성형한 후 도금한 것으로 추측된다. 구슬 중 크키가 큰 것은 사슬통로(구멍)가 5개 뚫려있고 작은 것은 각 3개와 4개씩 뚫려있다. 사슬의 두께는 0.24cm에서 0.35cm에 해당한다. 사다리꼴 장식편은 상단에서 사슬의 흔적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사슬 끝단 마무리 장식으로 이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
대한불교조계종 삼천사 삼천사 고려석조보살두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삼천사 고려석조보살두-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6-13
중앙 건물지 불단의 내부토에서 출토된 것으로 후대에 불단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매납된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 3.7cm의 소형이나 지금까지 출토된 바 없는 특이한 도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보통 오불보관(보관에 다섯부처가 장식)이나, 칠불(석가모니 등 과거에 출현한 일곱부처)을 표현한 것이 일반적인데 반하여, 이번에 출토된 보살두는 삼불보관을 갖추고 있어서 한국에서는 처음 출토되는 형태이다. 입술과 화불의 일부분에 붉은 채색을 하였던 흔적이 보이며, 머리부분에도 검은색으로 채색한 흔적을 볼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