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불교익산성지 익산성지 영모전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익산성지 영모전-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명칭 : 익산성지 영모전(益山聖地永慕殿)
번호 : 교보 제7호
소재지 : 전북 익산시 익산대로 501
지정일 : 91(2006)년 5월 9일
원불교 개교 반백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원기 55년 3월에 착공해 이듬해 9월에 완공한 건물입니다.
소태산 대종사 이하 역대 선영의 법은을 추모하기 위해 위패와 역사를 봉안하는 묘우廟宇로 지은 건물로 반백년기념관과 함께 지었습니다. 철근 콘크리트조 1층 건물로 건평은 70평 규모입니다.
영모전에는 개인 위패를 봉안하지 아니하고 공동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데, 본좌는 대종사 소태산 여래위를 비롯한 재가 출가 역대 선영 열위를, 별좌는 희사위와 일반 부모 선조위, 선성위와 일체 생령위를 봉안하고 있습니다. 건축 양식은 석축을 쌓은 누대 위에 지은 시멘트 현대식 건물로 지붕은 청기와를 얹은 반쪽 지붕입니다.
한국 건축의 곡선미와 서구 건축의 웅장미가 조화를 이루는 건축양식이며, 현판은 고산 이운권이 해서체로 썼습니다. 반백년 기념대회 때인 원기 56년 10월에 영모전 낙성 및 묘위봉안 봉고제를 영모전 광장에서 올렸으며 영모전 건물은 건축 당시 한국 건축 심사에서 장려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원래 묘위가 봉안된 불단은 돌출형이었으나 원기 76년에는 개축을 하면서 불단부를 북쪽으로 달아 내었으며, 위패를 모신 불단 위로 일원상을 봉안하여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추었습니다.
-
원불교변산성지 변산성지 변산 실상초당터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변산성지 변산 실상초당터-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명칭 : 변산 실상초당터
번호 : 성적 제9호
소재지 : 전북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165-10, 167
지정일 : 원기 85년(2000) 7월 6일
전북 부안군 봉래산 살상사 옆에 있었던 삼간초가로 소태산 대종사가 원기 5년(1920) ~ 원기 6년(1921)에 주석한 곳입니다.
소태산 대종사는 원기 4년 법인성사를 이룬 후 정산 종사를 월명암 백학명 선사의 상좌로 보내 머물게 한 후 그해 12월에 뒤를 따라 변산으로 들어왔습니다.
처음에는 마땅한 거처가 없어 월명암에 잠시 머물렀으나 원기 5년(1920) 2월 실상사 옆에 있는 초가를 매입하여 거처를 마련하였는데 이 집을 실상초당 또는 실상초옥이라 불렀습니다.
소태산 대종사는 이곳에 머물며 심신의 휴양에 전력하는 동시에 영광, 김제 등에서 찾아오는 신자들을 결속하며 새 회상 창립의 준비를 하였고, 원불교의 교강인 인생의 요도 사은 사요와 공부의 요도 삼학 팔조를 발표하였습니다.
소태산 대종사가 실상초당에 머문 지 얼마 되지 않아 왕래하는 제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원기 6년(1921) 가을 석두암을 준공하였습니다.
실상초당은 한국전쟁 때 소실되어 그 터만 남아 있으나 원기 88년 4월 그 자리에 18평 규모의 기도실을 완공하고 봉래정사라는 현판을 달았습니다.
봉래정사란 실상초당과 석두암을 합하여 부르는 이름입니다.
-
원불교변산성지 변산성지 변산 석두암터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변산성지 변산 석두암터-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명칭 : 변산 석두암터
번호 : 성적 제10호
소재지 : 전북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산 93-3
지정일 : 원기 85년(2000) 7월 6일
원기 4년 기미 10월 소태산 대종사 변산에 드시어 월명에서 법인기도 회향하시고 실상초당에서 제자들과 생활을 시작한 후 찾아오는 제자들이 갈수록 많아져 초당 바로 위에 집을 짓게 되었습니다.
월명암 주지인 백학명 선사의 주선으로 실상사 소유의 터 위에 백학명 선사가 재목을 보조하여 하산 송적벽이 기평基平을, 각산 김남천이 목수 일을 맡아 원기 6년 8월(음)에 착수된 초가삼간 집을 그해 10월에 준공하고 석두암石頭庵이라 이름했습니다.
석두암이란 현판은 학명선사가 썼습니다. 소태산 대종사는 석두암을 건축하고 나서부터 석두거사라는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석두암이 완공되자 실상초당은 여자 제자들이, 석두암 윗방은 소태산 대종사가, 아랫방은 남자 제자들이 사용했습니다.
석두암은 소태산 대종사가 교법제정과 함께 새 회상 공개를 위하여 제자들을 때로는 기다리고, 때로는 직접 찾으며, 정산 종사 등 제자들로 하여금 인연을 맺게 한 후 만났습니다.
원기 65년 4월에 변산제법성지사업회에서 변산(제법)성지 장엄공사 1차 사업으로 소태산 대종사 교강敎綱반포 60주년 기념으로 석두암터 북쪽 자연석 위에 기념비를 세웠습니다.
-
원불교영산성지 영산성지 소태산 대종사 노루목 대각터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영산성지 소태산 대종사 노루목 대각터-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명칭 : 소태산 대종사 노루목 대각터
번호 : 성적 제1호
소재지 : 전남 영광군 백수읍 성지로 1218-54
지정일 : 원기 85년(2000) 7월 6일
노루목은 구수산 노루봉(일명 중앙봉) 아래에 위치한 노루의 목장항獐項에 해당하는 나지막한 고개를 말합니다.
소태산 대종사가 23세 되던 해 여름 장맛비로 귀영바위 집이 무너지자 이곳에 있던 빈 오두막으로 이사를 해 2년 남짓 지내게 되는데 바로 이 노루목 집이 소태산 대종사가 대각을 이룬 집입니다.
소태산 대종사가 이주할 당시에는 겨우 집 모양만 갖춘 3간 오두막으로 오랫동안 개초를 하지 않아서 지붕 위에 잡초가 자라고 가랑비만 내려도 방 안에 비가 스몄습니다.
소태산 대종사는 이곳으로 이사를 한 후 입정돈망入定頓忘에 드는 일이 많아졌는데, 법성포 장에 가기 위해 선진포 나루에 갔다가 온종일 입정에 든 때강변입정상江邊入定相도 이 때였습니다.
온 몸에는 종기가 나고 부스럼이 생겨 만신창이었고 배에는 물동이를 올려놓은 것처럼 거대한 적이 생기기도 했는데 마을 사람들은 이것을 보고 나병에 걸렸다 하여 가까이 오기를 꺼렸습니다.
소태산 대종사는 원기 원년(1916) 4월 28일 이른 새벽에 문득 정신이 맑아지고 전에 없던 이상한 영기가 와 닿음을 느끼고 마침내 ‘만유가 한 체성이요 만법이 한 근원으로 생멸 없는 도와 인과보응되는 이치가 서로 바탕하여 한 두렷한 기틀을 이루었음을 깨달았습니다.
원불교에서는 소태산 대종사의 대각한 이 날을 원불교의 기원으로 삼고 이 터를 원불교의 기점으로 삼고 있습니다. 하지만 노루목 집은 더이상 사람이 살기가 어려웠으므로 소태산 대종사는 대각 이후 구호동 집과 범현동 이씨 제각 그리고 강변 주점 등으로 거처를 옮겼으며 원기 3년(1918) 겨울에 이르러 구간도실이 완공되면서 그곳으로 거처를 옮겼습니다.
현재 노루목 대각터에는 소태산 대종사의 대각을 기념하는 대각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강암 송성용의 글씨로 ‘萬古日月(만고일월)’을 새겼으며 뒷면에는 이 터를 기리는 내용을 새겼습니다.
-
원불교영산성지 영산성지 삼밭재 마당바위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영산성지 삼밭재 마당바위-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명칭 : 삼밭재 마당바위
번호 : 성적 제2호
소재지 : 전남 영광군 백수읍 길용리 산 54-1
지정일 : 원기 85년(2000) 7월 6일
소태산 대종사가 11세부터 15세까지 5년간 매일 같이 산신령을 만나기 위해 기도를 올렸던 기도터입니다.
배를 짜는 대마가 많이 자라 마전령麻田嶺이라고 하기도 하고 산삼이 났다는 전설이 있어서 삼령蔘嶺 즉 삼밭재라 부르기도 합니다.
오랜 옛날 이 곳에는 개미절(일명 가야암)이 있었다고 하여 개미절터라고도 불리는데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작은 샘물이 있고 넓직한 마당바위가 있어 기도터로는 안성맞춤입니다.
소태산 대종사는 11세 때 집안의 시향제時享祭에 참석했다가 산신령이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산신령을 만나고자 눈이 오나 비가 오나 5년간을 하루도 빠짐없이 이곳에 올라 기도 정성을 다했습니다.
소태산 대종사 재세 시 삼밭재에 선방을 지으려 하였으나 형편이 어려워 신축하지 못했습니다.
원기 67년(1982) 원불교 대학생연합회가 ‘대종사 11세부터 15세까지 이곳에서 기도를 올리시다’라는 기념 표지석을 설치하였으며, 원기 72년(1987) 부산 진교당 김법용 교도의 희사로 삼령정(샘터)을 정비하였습니다.
원기 75년(1990) 종로교당 김만주화의 특지로 샘터 옆에 목조 3칸 맞배지붕 17평의 기도실을 신축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
원불교영산성지 영산성지 소태산 대종사 구호동 집터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영산성지 소태산 대종사 구호동 집터-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명칭 : 소태산 대종사 구호동 집터
번호 : 성적 제3호
소재지 : 전남 영광군 백수읍 길용리 278
지정일 : 원기 85년(2000) 7월 6일
소태산 대종사가 15세 되던 해 노루목에서 삼밭재로 향하는 길목에 위치한 구호동에 4칸 겹집을 지어 이사를 하고 부모의 뜻에 따라 십타원 양하운 대사모와 결혼하여 신혼살림을 차린 곳입니다.
소태산 대종사는 결혼 후에도 삼밭재를 오르내리며 기도 생활을 이어가다가 16세 되던 해 처갓집에 새해 인사를 갔다가 조웅전과 박태부전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스승을 찾아 6년간 구사고행求師苦行을 시작했습니다.
19세(1909년) 되던 해 이곳에서 장녀(박길선)를 낳았으며 20세(1910년) 되던 해 이곳에서 부친이 열반에 들었습니다.
구호동 집은 소태산 대종사가 큰 깨달음을 얻은 뒤 제자들과 함께 저축조합을 결성하고 그 자본금으로 간척사업을 시작하면서 매각을 하여 사업비용으로 충당했습니다.
구호동 집은 한국 전쟁의 와중에 소실되어 터만 남아있던 것을 원기 89년(2004) 4월 교단에서 매입하여 관리해오다가 원불교 100주년 성업봉찬회가 현재의 모습으로 말끔하게 정비하였습니다.
-
원불교영산성지 영산성지 소태산 대종사 선진포 입정터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영산성지 소태산 대종사 선진포 입정터-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명칭 : 소태산 대종사 선진포 입정터
번호 : 성적 제4호
소재지 : 전남 영광군 백수읍 장산로 353
지정일 : 원기 85년(2000) 7월 6일
영산출장소에서 와탄천을 따라 약 1Km쯤 가면 바위 옆에 큰 정자나무를 만나게 되는데 이곳이 바로 선진포 나루터입니다.
지금은 옛 나루의 모습은 찾아볼 길 없지만 소태산 대종사가 법성장에 가기 위해 이곳에서 배를 기다리며 서 있다가 온종일 입정入定에 든 곳입니다.
당시 법성은 물자가 풍부하고 내왕이 편리해 길용리 주민들이 자주 왕래하였는데 10리나 되는 산길 대신 이곳 선진포를 주로 이용했다고 합니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 지주들이 쌀을 운반하기 위해 이곳을 많이 이용했다고 하는데 당시만 해도 일본인 소유의 창고 4동과 나룻배를 운영하는 선주의 집과 주막 등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모두 도로로 편입됐습니다.
소태산 대종사가 이곳에서 입정한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나 불법연구회창건사에는 “어느 때는 법성포 시장을 가신다하고 집에서 출발하시어 얼마되지 않는 선진포 부근에 문득 서서 종일을 동動하지 아니하시더니, 시장에 다녀오는 사람들이 보고 와서 그 말씀을 본댁에 전하는지라 일반 가족은 모두 경황하여 곧 가서 모셔 왔다.”는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원기 71년(1986) 원불교 대학생연합회가 소태산 대종사의 입정터임을 알리는 ‘선진포 입정터’ 비를 세웠습니다.
-
원불교영산성지 영산성지 소태산 대종사 최초법어터
-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영산성지 소태산 대종사 최초법어터- 작성자
- 두레박
- 작성일
- 2024-05-17
명칭 : 소태산 대종사 최초법어터
번호 : 성적 제5호
지정일 : 원기 85년(2000) 7월 6일
소태산 대종사가 대각 후 노루목 오두막집에 허물어져 거처할 곳이 마땅치 않자 팔산 김광선 종사의 주선으로 임시 거처하던 곳입니다. 팔산 김광선 종사는 소태산 대종사의 첫 제자로 당시 전주 이씨의 세장산과 제각을 관리하고 있었습니다.
소태산 대종사는 대각 후 40여 명의 제자를 모은 뒤 이곳에서 최초법어를 설하고 처음 교화를 시작하였습니다.
소태산 대종사가 최초로 설한 법어는 수신의 요법, 제가의 요법, 강자 약자 진화의 요법, 지도인으로서 준비할 요법 등이었습니다. 소태산 대종사는 이곳에서 믿고 따르는 사십여 명의 제자 가운데서 신심이 굳은 여덟 사람을 먼저 골라서 표준 제자로 삼고 옥녀봉 아래 구간도실이 신축되기 전까지 이씨 제각과 강변주점을 오고 가며 저축조합과 간척사업을 이끌었습니다.
현존하는 이씨 제각은 한국전쟁 이후 새로 지은 것이며 소태산 대종사가 최초법어를 설한 최초 교화지는 누전으로 완전 소실되어 현재는 빈터만 남아있습니다.